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Physical Change in the Earthen Finish Layer of Tomb Murals Due to Drying

건조에 따른 고분벽화 토양 마감층의 물리적 변화

  • Cho, Ha-J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Lee, Tae-Jo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Lee, Hwa-So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Yong-Ja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조하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 이화수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7.09.30
  • Accepted : 2017.11.15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Mural paintings drawn inside ancient tombs are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especially the finish layer of the tomb murals differ in preservability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and humidity condition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mural painting of Songsan-ri Tomb No.6, where the finish layer was made of earth, and identified the physical changes that can occur due to drying, depending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finish layer. I found out through particle size analysis that the finish layer of the mural painting in Songsan-ri Tomb No.6 is about 85.0wt% below silt, about 14.0wt% clay therein, mostly composed of silt and below clay. I also found out through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that surface change rate of samples showed the largest change at 15.5% in reproduced finish layer sample made up of bentonite, followed by 7.8% of reproduced finish layer sample made up of celadon soil, 6.3% of reproduced finish layer sample made up of loess, 6.2% of reproduced finish layer sample composed of white clay and the same order of change in appearance was confirmed in each sample consisted of soil. In addition, it showed the same trend of surface change rate, and the bentonite condition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the measurement of shrinkage rate and expansion rate.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finish layer composed of soil is affected by cohesion among particle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fine par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glomeration due to the content of the differentiated part and the stress due to the expansibility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lay mineral etc.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hysical damage occurred in the mural painting finish layer of the Songsan-ri Tomb No.6 is related to the factors such a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nd the highly humid environmental change inside the tomb.

고분 내부에 그려진 벽화는 온 습도 등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고분벽화의 마감층은 사용된 재료 특성과 습도 조건에 따라 보존성에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을 사용하여 마감층을 제작한 송산리 6호분 벽화를 대상으로, 마감층의 재료 특성에 따라 건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물리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송산리 6호분 벽화 마감층은 실트 이하가 약 85.0wt%, 그 안의 점토가 약 14.0wt%로 대부분이 실트와 점토이하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시료에 대한 물성평가 결과 표면 변화율은 벤토나이트 마감층 재현 시료가 15.5%로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청자토 마감층 재현 시료 7.8%, 황토 마감층 재현 시료 6.3% 그리고 백토 마감층 재현 시료 6.2%의 순으로 확인되었고, 태토별 시료에서도 같은 순서의 변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축률 및 팽창률 측정 결과에서도 유사한 경향의 표면 변화율을 나타냈으며, 벤토나이트 조건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다. 실험결과, 토양으로 구성된 마감층은 미분부 함량으로 인한 입자간의 응집도와 함께 점토광물의 종류에 따른 팽창성 등의 영향으로 인한 응력과의 관계 등이 물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송산리 6호분 벽화 마감층에 발생된 물리적 손상은 토양이 갖는 재료적 특성과 고습한 고분 내부에서 발생되는 환경변화 등의 요인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훈, 2016, 토양학, 향문사
  2. 김현지, 2013, 송산리 6호분 벽화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3. 문희수, 1996, 점토광물학, 민음사
  4. 안병찬.홍종욱, 2006,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실태 조사보고서 제1권, 국립문화재연구소.남북역사학자협의회
  5. 안병찬.백찬규, 2003, 고구려 미술: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 연구 - 바탕벽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 고구려 연구 Vol.16, pp.457-480
  6. 유혜선, 2015, 高句麗雙楹塚 壁畵의 顔料分析 박물관 보존과학 Vol.6, pp.47-54
  7. 이민영.박희문.정용재 , 2015, 공주 송산리 6호분에서 분리한 진균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및 생장제어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1 No.3, pp.227-241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4
  8. 이민영.김대운.정용재 , 2014, 공주 송산리 고분 내 미생물 분포 및 보존환경 연구 보존과학회지 Vol.30 No.2, pp.169-179 https://doi.org/10.12654/JCS.2014.30.2.06
  9. 이소정, 1997. 토양의 입도 조성이 토양의 물리성 및 목본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Vol.25 No.2, pp.54-61
  10. 이화수.한경순, 2014, 한국 고대 고분벽화 제작기술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4, pp.147-178
  11. 임성훈, 2005, 포화된 사질토에서 등방재하시럼에 의한 비배수 공극수압의 거동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7, pp.43-52
  12. 충청남도 공주시 2014, 공주 송산리 고분군 친환경 공조시스템 개발
  13. 충청남도 공주시 2012, 공주 송산리 고분벽화 보존방안연구
  14. 충청남도 공주시, 2010, 백제 송산리 6호 벽화고분 보존연구
  15. 충청남도 공주시, 2000, 송산리 고분군의 보존현황
  16. 충청남도 공주시, 1997, 송산리 고분군의 현황과 보존대책
  17. 한경순, 2011,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기술 고찰 보존과학회지 Vol.27 No.4, pp.451-458
  18. Atique, A. & Sanchez, M., 2011, 'Analysis of cracking behavior of drying soil', In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IPCBEE, Singapore.
  19. Mitchell, J.K. and Soga, K., 1992, 'Fundamentals of Soil Behavior', Wiley: New York.

Cited by

  1. Experimental Reinforcement Agent for Damaged Walls of Payathonzu Temple Murals in Bagan, Myanmar vol.36, pp.4, 2017, https://doi.org/10.12654/jcs.2020.36.4.06
  2. Biological Risk for Hypogea: Shared Data from Etruscan Tombs in Italy and Ancient Tombs of the Baekje Dynasty in Republic of Korea vol.10, pp.17, 2017, https://doi.org/10.3390/app10176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