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상 몰입도에 따른 중간광고 배치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짜증 정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terstitial Position of In-program Advertising based on the Engagement to the Media Contents on Consumer Behavior: Focusing on the Irritatioin

  • 투고 : 2017.09.26
  • 심사 : 2017.11.14
  • 발행 : 2018.01.28

초록

본 논문은 시청하던 영상이 중단되고 광고가 삽입되는 시점에서 유발되는 소비자들의 감정이 광고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시청하던 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에 비해 영상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짜증을 더욱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이 느끼는 짜증은 부정적 감정일치 현상으로 인해 광고 제품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편으로는 짜증을 느끼는 시점에서의 고각성 상태는 광고 제품의 브랜드 기억(회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간광고가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이끄는 매커니즘으로서 짜증이라는 감정의 역할을 탐구하였으며 짜증이라는 부정적인 감정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긍정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해당 연구의 폭을 넓혔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중간광고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We try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emotions of viewers caused by the insertion of the in-program adversiging on the advertising effect.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ed the data through two lab experiments and analyze the data with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engagement to the media contents impacts positively on the feeling of viewer's irritation when the movie clip is interrupted and an in-program advertising is inserted. Second,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irration are congruented, which affect the attitude of the advertised product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the irritation caused by the in-program advertis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awareness and memory(recall) of the advertised product because of high state of arousal. These results enric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in-program advertising which affect viewer's feeling and behvior. Moreover, these findings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to help advertising managers manage their in-program advertising more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희복, 차영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91-10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091
  2. 2017년 6월 19일자, 서울경제, http://www.sedaily.com/NewsView/1OH9CQP4OL
  3. 2013년 11월 6일자, PD저널, http://www.pdjournal.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50013
  4. 김재휘, "광고기억 및 광고태도와 관련된 중간광고의 효과," 광고학연구, 제10권, 제4호, pp.59-84, 1999.
  5. 이규완, 박원기,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재도입시 광고시청량 변화에 관한 예측," 광고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13-133, 2004.
  6. 김상훈, 박현수, "방송광고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총량제와 중간광고의 활용," 광고학연구, 제13권, 제5호, pp.137-158, 2002.
  7. 이수범, "방송광고 규제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광고인과 소비자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8권, 제3호, pp.7-28, 2007.
  8. 서범석, 양병화, "방송광고총량규제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2권, 제5호, pp.31-56, 2001.
  9. 정연우, "수용자 주권과 방송광고제도: PPL과 중간광고, 총량제," 한국언론정보학회 세미나, 제31권, pp.24-35, 2005.
  10. S. C. Thota and A. Biswas, "I Want to Buy the Advertised Product Only!: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Additional Product Offers on Consumer Irritation in a Cross-Promotion Context," J. of Advertising, Vol.38, No.1, pp.123-136, 2009.
  11. S. A. Greyser, "Irritation in Advertising,"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13, No.1, pp.3-10, 1973.
  12. R. J. Lutz, S. B. Mackenzir, and G. E. Belch,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Advance in Consumer Research, Vol.10, pp.532-539, 1983.
  13. 서은국, 구재선, "단축형 행복 척도 (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1호, pp.96-114, 2011.
  14. S. J. Bacon, "Arousal and the Range of Cue Utilization," J.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102, No.1, pp.81-87, 1974. https://doi.org/10.1037/h0035690
  15. D. M. Landers, D. L. Feltz, G. E. Obermeier, and T. R. Brouse, "Socialization via Interscholastic Athletics: Its Effects on Educational Attainment,"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 Sport, Vol.49, No.4, pp.475-483, 1978.
  16. 정종건,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지역 지상파방송 대응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1192-209, 2011.
  17. 김봉철, 김주영, 최명일,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TV 중간광고에 대한 인식 비교,"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70호, pp.117-143, 2010.
  18. 유창조, "중간광고 도입에 따른 주요 쟁점에 대한 마케팅 관점에서의 재평가,"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제11권, 제1호, pp.95-115, 2010.
  19. 박석철, "규제와 규제완화: 타이완과 우리나라 방송사업자 진입규제 완화의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제17권, pp.79-96, 2015.
  20. 서범석, "지상파 방송의 광고활성화 방안에 대한연구," 광고연구, 제94호, pp.94-116, 2012.
  21. 서범석, 권호영, 문철수, 박원기, 황근, "방송재원으로서 중간광고, 간접광고 그래고 총량제 도입의 현실과 한계,"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pp.41-77, 2008.
  22. 김상훈, "중간광고 도입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4권, 가을호, pp.105-127, 1999.
  23. 이현선,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3호, pp.282-314, 2008.
  24. 정만수, 조가연,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제품관여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3권, 제2호, pp.201-227, 2012.
  25. 이종선, 장준천, "TV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83호, pp.155-191, 2009.
  26. 오세성, "TV프로그램의 양적인 측정지표와 질적인 측정 지표의 상호작용이 방송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29-150, 2011.
  27. 김유정, 박경민, "스마트폰환경에서의 광고 인게이지먼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53-163, 2013. https://doi.org/10.9708/jksci.2013.18.9.153
  28. S. B. Mackenzie and R. J. Lutz,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 of Marketing, Vol.53, No.2, pp.48-65, 1989. https://doi.org/10.2307/1251413
  29. F. Vespe, "High-Tech Bllboards: The Same Old Litter on a Stick," J. of Oublic Policy & Marketing, Vol.16, No.1, 1997.
  30. 김정현, 박병희, 이명천, 최양호, "인터넷 광고 유형에 따른 침입성 지각 수준 및 광고/제품에 대한 태도 연구," 광고연구, 제84호, pp.5-28, 2010.
  31. 최지은, 박종철, "인터넷 검색 목표와 소비자의 심리적 반발 성향이 팝업광고에 대한 짜증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6권, 제2호, pp.7-24, 2015.
  32. N. Schwarz and G. Bohener, "Feelings and Their Motivational Implications: Moods and Action Sequence," The Psychology of Action: Linking Cognition and Motivation to Behavior, Vol.2, pp.527-561, 1996.
  33. R. Batra and D. M. Stayman, "The Role of Mood in Advertising Affectiveness," J. of Consumer Research, Vol.7, No.2, pp.203-214, 1990.
  34. Y. Yi, "Cognitive and Affective Priming Affects of Context for Print Advertisements," J. of Advertising, Vol.19, No.2, pp.40-48, 199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0.10673186
  35. 이학식, 최재익, 임지훈,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브랜드의 태도: 소비자-브랜드 관계에서의 역할," 소비자학 연구, 제15권, 제2호, pp.85-108, 2004.
  36. A. Lang, "Using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otivated Mediated Message Processing to Design Effective Cancer Communication Messag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56, pp.556-580, 2006.
  37.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5, 1996.
  38. 남인용, 장천, "모바일 앱광고의 특성이 광고가치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4호, pp.197-208, 2014.
  39. 최명일, 김경환, 김대욱, 주지,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의 의사인간관계가 협찬 광고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프로그램 주목과 협찬 광고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0권, 제4호, pp.157-169, 2009.
  40. 김현숙, 심성욱, 손영곤, "SNS를 통한 정보 노출이 브랜드 인지 및 구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수의 법칙과 고착성 법칙, 상황의 힘 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7권, 제5호, pp.75-99, 2016.
  41. 전효진, 김이연, 주병철, "커피 브랜드 PPL광고 의 수용태도가 소비자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제40권, 제3호, pp.43-6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