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atus in Employ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Analysis Demand Factors : Evidence from Gangwon, South Korea

강원도 농업부문 고용인력 실태 및 수요 결정요인 분석

  • Received : 2017.11.02
  • Accepted : 2018.02.0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영농을 위해 영농작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한 농업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농업노동 임금의 지속적인 증가는 경영주에게 이중의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처분가능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강원도를 지역 표집으로 선정하여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해 내국인과 외국인 고용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고용인력 수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3개월 이상 노동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의 경우 내국인 고용수요와 외국인 고용수요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업의 특징을 나타내는 춘천시에 비해 강원도내 타 지역 농가들은 다른 변수들이 일정할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고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젊은 경영주일수록 내국인 상시 고용에 대한 수요가 높고, 농가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자가노동 확률은 0.13% 감소하고, 상시 농업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농업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시고용된 농업인력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문화 차이를 인지하고, 내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영농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별로 내국인 또는 외국인 노동자의 상시고용 수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내 지역별 농산업 현황을 기반으로 "(가칭)강원도 농업 인력 수급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창업농과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작업 상시고용 인력을 우선적으로 매칭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aenicke, J. (2009) Detecting Social Interactions in Bivariate Probit Models, Statistical Journal 7(1): 67-85.
  2. Jang, M. G., Lee, J. H. (2011) The Study on the Agricultural Labor Supporting System of Marketing Organization and the Case Analysis in Japan and Korea,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28(4): 109-128.
  3. Kim, J. S. (2015) Hired Farm Labor and Policy Direction on Agricultural Labor Market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2(2): 145-158. https://doi.org/10.12653/jecd.2015.22.2.0145
  4. Lee. Y. D. (1999) A Study on the Utilization Method of Foreign Worker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Fields in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31(1): 97-112.
  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7) Foreigners Employment Trend under the EPS.
  6. Oh, S. H. (2011), Research Trend in Urban-to-Rural Migration: Focusing on Korean Literature from 1996 to 2010,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4(2): 77-90.
  7. Shin, H. H., Cho, G. D., Seo, J. S., Kim, I. S.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of farmers and Hired Labors: an Analysis using the 2010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Data, Korea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54(4): 149-175.
  8. Statistics Korea (2016a) 2015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9. Statistics Korea (2016b) Farm and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 in 2015.
  10. Yi, H. M. (2016) A Study on Determinants of 'Employment' : Focused on 6th industrialization,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3(3): 109-133.
  11. http://kosis.kr
  12. http://www.easylaw.go.kr
  13. https://www.ep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