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연구모형
그림 2. 최종모형
표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표 2. 연구변인들의 상관관계
표 3. 스마트폰 중독 위험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의 주요변인 평균비교
표 4. 이중매개 효과에 대한 경로계수
표 5. 이중매개 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래핑 검증 결과
References
- 김정호, 김선주,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 H. W. Perkins, "Stress-motivated drinking in collegiate and postcollegiate young adulthood: Life course and gender pattern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60, No.2, pp.219-227, 1999. https://doi.org/10.15288/jsa.1999.60.219
- 구민준, 성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D. F. Jacobs, "A general theory of addictions: A new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Vol.2, No.1, pp.15-3, 1986. https://doi.org/10.1007/BF01019931
- 이선주, 김귀애, 홍창희, "인터넷 사용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청소년의 병리적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6권, 제3호, pp.265-284, 2011.
-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2호, pp.425-443, 2016.
-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18-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318
- 정새롬, 여대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우울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현숙, 배상윤,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이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26-33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326
-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4.163
- 정구철, 조민국,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75-18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8.175
- 김민경,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2호, pp.117-125, 2014.
- 김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F. B. Bryant and J. Veroff, 인생을 향유하기-행복체험의 심리학(권석만, 임영진, 하승수, 임선영, 조현석 역), 학지사, 2010.
- 이향종,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낙관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김지연,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박지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S Wemm, A. Fanean, A. Bake, E. R. Blough, S. Mewaldt, and M. Bardi, "Problematic drinking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lcohol, Vol.47, No.2, pp.149-157, 2013. https://doi.org/10.1016/j.alcohol.2012.12.006
- 삼성서울병원,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조사, 서울: 삼성서울병원, 2017.
-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 서울: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ifth Edition (DSM-5), Washington DC: Author, 2013.
- 하진미, 손정락,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제1권, 제1호, pp.1-16, 2016.
-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629-644, 2012.
-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2호, pp.563-580, 2012.
- 김교헌, 변서영, 임숙희,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131-154, 2016.
-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 M. D. Griffith, "A component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Vol.10, pp.191-197, 2005. https://doi.org/10.1080/14659890500114359
- R.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3, pp.269-307, 1991. https://doi.org/10.1007/BF01319934
- 황은비, 김향숙, "군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403-429, 2016.
- N. Garnefski, V. Kraaij, and P. St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제26권, pp.5-29, 2008.
- N. Garnefski, T. V. D. Kommer, V. Kraaij, J. Teerds, J. Legerstee, and E. Onste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problems: Comparison between a clinical and a non-clinical sampl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6, pp.403-420, 2002. https://doi.org/10.1002/per.458
- 김혜련, 초등학생이 지각한 일상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이정아, 정현희,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935-952, 2012.
- 전호선, 장승옥,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03-129, 2014.
- 봉은주, 김윤경,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121-129,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7.121
- 조혜영, 스트레스가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신경증과 외향성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하혜신,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이지현, 이정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113-1126, 2009.
- 최우경, 김진숙,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권, pp.255-272, 2012.
-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https://doi.org/10.2307/2136404
- S. Cohen and G. Williamson, "Stress and infections disease in human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9, pp.5-24, 1983.
- 박준호, 서영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도니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29권, 제3호, pp.611-629, 2010.
- E. Diener, H. Smith, and F. Fujita,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pp.130-141,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9.1.130
- 안신능, 자기 개념에 따른 자기 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3.
- P.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Guilford Press, 2011.
-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2005.
- 이동용,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지영, 권석만,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3호, pp.461-493, 2006.
- 신아영,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 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정호,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 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6권, 제1호, pp.23-58, 2001.
- 문예지, 대학생의 자기 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지각된 이상적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박성준, 장문선, 곽호완, 이상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유형에 따른 실행기능, 대인관계, 공감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인지 및 생물, 제29권, 제1호, pp.1-19, 2017.
- J. Chen, Y. Liang, C. Mai, X. Zhong, and C. Qu, "General deficit in inhibitory control of excessive smartphone users: Evidence from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Vol.14, April, 2016. https://doi.org/10.3389/fpsyg.2016.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