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Examination of the Moderator Effect of Active Stress Coping o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이민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임선아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 투고 : 2018.10.15
  • 심사 : 2018.12.07
  • 발행 : 2018.12.31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teacher communication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if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used functions as a moderator in relationships among parent-teacher communicati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data from 223 surveys from childcare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EM and multi-group SEM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tur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Second,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job stress was not found in the high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This was different from the significant effect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Also,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eacher's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In contrast,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hown in the higher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키워드

BOJGB2_2018_v14n6_5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집단(적극적대처 하집단과 적극적대처 상집단)에 따른 경로계수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BOJGB2_2018_v14n6_53_t0001.png 이미지

표 1. 계속

BOJGB2_2018_v14n6_53_t0002.png 이미지

표 2. 기술통계치와 상관값

BOJGB2_2018_v14n6_53_t0003.png 이미지

표 2. 계속

BOJGB2_2018_v14n6_53_t0004.png 이미지

표 3. 부분매개모형의 경로계수

BOJGB2_2018_v14n6_53_t0005.png 이미지

표 4. 집단별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BOJGB2_2018_v14n6_53_t0006.png 이미지

표 5. 직접, 간접, 총효과 결과

BOJGB2_2018_v14n6_53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강경란 (2002). 교사효율성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사들의 대인간 의사소통, 교직 태도 및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수진 (2001). 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 연구, 15(4), 93-113.
  4. 김기영 (2007).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구통계학적변인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향, 이현진 (2016).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부모와의 관계 탐색: 감정노동의 관점에서. 열린부모교육연구, 8(1), 79-104.
  6.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7. 김선미 (2018). 보육교사의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아경 (2017). 유치원에서 어린이집으로의 이직경력 1년 미만의 교사가 겪는 보람과 어려움.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유진, 정민정 (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doi:10.5934/kjhe.2009.18.1.065
  11. 도명애, 유현숙 (2011). 유아교육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261-289.
  12.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실천, 12(3), 67-80.
  13. 방지은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효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배성희, 김연화, 한세영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 234-258.
  15. 백영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보건복지부 (2018. 4). 어린이집 및 이용자 통계: 연도별 어린이집 보육아동 현황. http://www.mohw.go.kr/react/jb/sjb1101vw.jsp?SEQ=103&MENU_ID=03320101&page=1&PAR_MENU_ID=03에서 2018년 10월 1일 인출
  17. 서현, 서경희, 정은숙 (2012). 유아의 어머니와 교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의미 들여다보기. 한국영유아보육학, 71, 73-99.
  18.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19. 신두균 (1988). 교사 효율성 훈련(T.E.T)이 교사의 의사소통 수준향상 및 아동의 교사지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지혜 (2016).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부모 의사소통 어려움 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안재현 (2014).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혜미, 노필순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24. 이남희 (2008). 유아교사의 이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 원장 및 학부모와의 인간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미자, 문혁준 (2008). 교사-어머니의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 아동학회지, 29(1), 1-14.
  26. 이소영 (2015).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스트레스 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영애 (2011).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주연, 김경화, 신혜경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1(4), 213-230.
  29. 이효영 (2013). 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수준 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임성택, 김성현 (2007). 스트레스자극-학교폭력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통제 및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8(2), 451-466. doi:10.15703/kjc.8.2.200706.451
  31. 장성예, 이주연 (201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 성의 조절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1), 1-25. doi:10.21213/kjcec.2018.18.1.1
  32. 전선영, 최혜순 (2013).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3-220.
  33. 정유미 (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은경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홍석영 (2012). 어린이집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1(2), 271-281. doi:10.15812/ter.51.2.201208.271
  36.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doi:10.1111/j.2044-8325.1990.tb00506.x
  37. Bienvenu, Sr, M. J. (1971).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 Journal of Communication, 21(4), 381-388. doi:10.1111/j.1460-2466.1971.tb02937.x
  38.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USA.
  39. Daniel, G. R., Wang, C., & Berthelsen, D. (2016). Early school-based parent involvement,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Australian longitudinal stud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6, 168-177. doi:10.1016/j.ecresq.2015.12.016
  40. D' Arienzo, R. V. (1981).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USA.
  41. Galindo, C., & Sheldon, S. B. (2012). School and home connections and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gains: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volve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1), 90-103. doi:10.1016/j.ecresq.2011.05.004
  42.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43. Lapierre, L. M., & Allen, T. D. (2006). Work-supportive family,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use of organizational benefits, and problem-focused coping: Implic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2), 169-181. doi:10.1037/1076-8998.11.2.169
  4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45. Reedy, C. K., & McGrath, W. H. (2010). Can you hear me now? Staff-parent communication in child care centre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3), 347-357. doi:10.1080/03004430801908418
  46. Rudasil, K. M., & Rimm-Kaufman, S. E.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2), 107-120. doi:10.1016/j.ecresq.2008.1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