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upervisor Supports on Novice Counselor's Psychological Burnout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수퍼바이저의 지지가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 현민홍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홍혜영 (명지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7.12.07
  • Accepted : 2018.02.07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each of its subscales, i.e. self-insight, self-integration, empathy ability, anxiety-management, and conceptualizing skills, in the effect of supervisor support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novice counselors. For this purpose, 202 novice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 of supervision less than 3 years in counseling experie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First, The supervisor suppor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 and all its five subscales. Additionally, supervisor suppor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 and its five subscales were proved to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demonstrated the complete mediation. third, The self-integration, empathy ability, anxiety-manag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s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self-insight, conceptualizing skill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skill is a strong influential factor between supervisor supports and psychological burnout.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가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역전이 관리 능력 및 각각의 하위요인들(자기통찰,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 개념화 기술)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경력 3년 이하의 슈퍼비전 경험이 있는 초심상담자 2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는 역전이 관리 능력 및 5개의 하위요인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 역전이 관리능력, 5개 하위요인 모두는 심리석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석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역전이 관리능력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저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석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찰, 개념화 기술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역전이 관리능력이 수퍼바이저의 사회석 지지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아, 집단자존감과 역전이 관리능력이 초심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 김정숙, 유금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2권, 제1호, pp.53-69, 2010.
  3. 유정이, 박성호, 유성경, "상담자와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2호 pp.111-120, 2003.
  4. J. C. Norcross, "Psychotherapist Self-Care : Practitioner- Tested Research-Informed Stragies."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Vol.31, No.6, pp.710-713, 2000. https://doi.org/10.1037/0735-7028.31.6.710
  5. 김정희, "상담자의 자기관리," 한국 상당 및 심리치료학회 : 제11회 상담심리사수련과정자료집, pp.3-18, 2001.
  6. 곽주현, 최한나, "한국 직장인의 일중독 유형에 따른 자존감과 심리적 소진의 차이,"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39-154, 2015.
  7. 권경인, 한국집단상담 대가의 발달과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8. 이소립, 상담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 R. R. Ross, E. M. Altmaier, ard D. W. Russell, "Job stress, social Ssupprot, and bu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Journal of Counseling Personality, VoI.36, No.3, pp.464-470, 1989.
  10. 이자영, 남숙경, 박희락, 김동현, 이미경, 이상민, "상담경력과 상담자 소진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1호, pp.22-42, 2008.
  11. 조문주, 불안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최혜윤, 정남운,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279-300, 2003.
  13. C. Delia and T. Patrick, "Stress in Clinical Psy-chologist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joatru, Vol.42, pp.141-149, 1996. https://doi.org/10.1177/002076409604200208
  14. 윤정임, 정남운,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1권, 제2호, pp.49-68, 2009.
  15. 박용아, 초심상담자의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6. 김시내,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7. 김연희, 상담자의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8. 이영순, 김은정, 천성문, "청소년동반자의 자기효능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의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제8권, 제2호, pp.179-195, 2009.
  19. C. Brown and K. M. O'Brien, "Understanding stress and burnout in shelter worker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 Practice Vol.29, pp.383-385, 1998. https://doi.org/10.1037/0735-7028.29.4.383
  20. 권가은, 상담자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1. 강소영, 선우현,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및 역전이 관리 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마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제6권, 제1호, pp.5-29, 2014.
  22. 국혜진, 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3. 박재이, 진미경, "놀이치료자의 사회적 지지 및 역전이 관리능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놀이치료 연구, 제19권, 제3호, pp.251-264, 2016.
  24. 신상은,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 능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이경윤, 상담자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6. 이연주,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및 역전이 관리능력이 치료적 관계애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7. 최수빈, 놀이치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S. M. Friedman and C. J. Gelso, "The development of theinventory of couteransference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56, No.9, pp.1221-1235, 2000. https://doi.org/10.1002/1097-4679(200009)56:9<1221::AID-JCLP8>3.0.CO;2-W
  29. 최윤미, 양난미, 이지연, "상담자 소진 내용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3호, pp.581-598, 2000.
  30. 김길문, 정남운, "초보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 :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1호, pp.1-20, 2004.
  31. 강현진, 놀이치료자의 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2. 최지영, 이영애,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역전이 관리능력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놀이치료 연구, 제12권, 제3호, pp.31-45, 2008.
  33. C. R. Loganbill, E. V. Hardy, and U. Delworth,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10, No.1, pp.3-42, 1982. https://doi.org/10.1177/0011000082101002
  34. M. Wiley and P. Ray, "Counseling Supervision by Develop-mental Lev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3, pp.439-445, 1986. https://doi.org/10.1037/0022-0167.33.4.439
  35. 박희현, 김광웅,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8권, 제2호, pp.39-56, 2005.
  36. M. K. Ronnestad and T. M. Skovholt,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Chochester, England: Wiley, 1992.
  37. T. L. Sexton and S. C. Whiston, "The status of the counseling relationship: Anempirical review,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2, No.1, pp.6-78, 1994. https://doi.org/10.1177/0011000094221002
  38. 고윤희, 박성현,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4호, pp.805-839, 2014.
  39. 허재경, 김지현, "성찰중심 수퍼비전을 통한 상담자 발달의 변화과정 탐색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재2호, pp.719-740, 2009.
  40. 박희현, 김광웅,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설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8권, 제2호, pp.39-56, 2005.
  41. R. S. Scott, M. Fortelius, K. Huttunen, and M. Armour-Chelu, Abundance of "Hipparion". In (M. Fortelius, J. Kappelman, S. Sen & R.L. Bernor, Eds)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Miocene Sinap Formation, Turkey, pp.380-397,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
  42. S. R Furr and J. J. Carroll, "Critical incidents in student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81, No.3, pp.483-489, 2003.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3.tb00275.x
  43.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움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75-90, 2005.
  44. 홍영식, 한재희, "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의 자각이 상담과정에 마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387-1406, 2012.
  45. 김광웅, 박희영,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 측정도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제18권, 제2호, pp.39-56, 2005.
  46. 이형주, 최해림, 상담자의 공감, "상태-특성불안, 완벽주의 부정적 결과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1권, 제1호, pp.29-45, 2010.
  47. 한선아, 상담자의 성격특성과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8. S. Thomson, J. Figueras, T. Evetovits, M. Jowett, P. Mladovsky, and A. Maresso et al., eds, Economic crisis, health systems and health in Europe: impact and implications for policy, Maidenhead: Open University Press, 2014.
  49. J. M. Bernard and R. K. Goodyear, Fundamentals of clinical supervision (3rd Edition), Boston : Pearson Education, 2004.
  50. 이미경, 놀이치료 수퍼비전, 서울 : 학지사, 2006.
  51.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인턴상당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움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75-90, 2005.
  52. 방기연, "상담심리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2호, pp.233-254, 2006.
  53. Worthen, Vaughn, McNeill, and W. Brian, "A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 of 'good' supervision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3, No.1, pp.0022-0167, 1996.
  54.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서울 : 한빛아카데미, 2014.
  55. 우종필,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 한나래아카데미, 2012.
  56.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No.4,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57. E. B. Ray and K. I. Miller, "Soickal support, home/work stree, and burnout; Who help?,"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30, pp.357-373, 1994. https://doi.org/10.1177/0021886394303007
  58. J. M. Littrell, N. Lee-Borden, and J. A. Lorenz, "A developmental framework for counseling supervis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Vol.19, No.2, pp.129-36, 1979. https://doi.org/10.1002/j.1556-6978.1976.tb02021.x
  59. 유성경, 박성호, '상담환경의 위험요소,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2호, pp.389-400, 2002.
  60. 방기연, 상담 수퍼비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