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고흥석 (동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신중현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8.01.10
  • Accepted : 2018.02.27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study aimed to explore media use by digital natives in Korea. To date, Korea is a country that has both the highest level of digital natives and fastest Internet access in the world. The study also intended to deeply understand the simultaneous activity use of different media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gital natives. Based on Korea Media Panel Data for 2015, analyses of the digital natives' traits of time-space, media use, and simultaneous use of media were made through a statistic multi-correspond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spatial attribute and media use of digital natives are homogeneous in pattern and the degree of simultaneous use of media seems to be limited in type. Moreover, the study suggested the new concept of digital natives' media use and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the Internet generation.

이 연구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적 현실에서 이들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시작됐으며, 미디어 동시이용행태에 대한 한국적 디지털 네이티브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5년도 <한국미디어패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해당하는 10대 청소년들의 시간대에 따른 공간적 속성과 이용매체, 동시이용 형태 등에 대해 다중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의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라고 할 수 있는 10대 청소년의 경우, 시간적, 공간적 매체이용은 매우 균질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미디어 동시이용비율도 제한된 형태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추후 다양한 세대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총체적인 미디어 이용행태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6.
  2. 윤해진, 문성철, "지상파 프로그램 레퍼토리 유형 화와 레퍼토리 형성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3호, pp.251-301, 2011.
  3. 심미선, "다중 미디어 이용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미디어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40-73, 2010.
  4. 이재현, "미디어 이용의 시공간적 매핑: 크로노토프 접근과 그 적용," 언론정보연구, 제51권, 제1호, pp.214-250, 2014.
  5. 이재현, "미디어 레이어: 이론화와 활용," 언론정보연구, 제51권, 제2호, pp.109-141, 2014.
  6. M. Prensky,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Vol.9, No.5, 2001.
  7. 고흥석, "국가별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s) 현황과 IDI(ICT Development Index),"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6권, 제2호, pp.35-42, 2014.
  8. D. Tapscott, Growing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New York, NY: McGraw-Hill, 2009.
  9. W. Strauss and N. Howe, Millennials rising: The next great generation, New York: Vintage books, 2000.
  10. S. Perillo, "Reaching Generation Y To Be or Not to Be? Relevant," Australian Anglican Schools Network, Melbourne, pp.17-19, 2007.
  11. J. W. Dimmick, T. A. McCain, and W. T. Bolton, "Media use and the life span: Notes on theory and method,"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23, pp.7-31, 1979. https://doi.org/10.1177/000276427902300102
  12. D. Gauntlett and A. Hill, TV living: Television, culture and everyday life, New York, NY: Routledge, 1999.
  13. J. Harwood,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aging: Developing knowledge and awarenes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7.
  14. H. Vandebosch and S. Eggermont, "Elderly people's media use: At the crossroads of personal and societal developments," Communications, Vol.27, pp.437-455, 2002.
  15. A. C. Huston, J. C. Wright, J. Marquis, and S. B. Green, "How young children spend their time: Television and other activities," Development Psychology, Vol.35, pp.912-925, 1999. https://doi.org/10.1037/0012-1649.35.4.912
  16. O. Samdal, J. Tynjala, C. Roberts, J. F. Sallis, J. Jari Villberg, and B. Wold, "Trends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TV watching of adolescents from 1986 to 2002 in seven European Countries,"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7, No.3, pp.242-248, 2006. https://doi.org/10.1093/eurpub/ckl245
  17. A. M. Rubin and R. B. Rubin, "Contextual age and television us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8, pp.228-244, 1982.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2.tb00666.x
  18. 이호영, 고흥석, 김석호, 이윤석, 허명회, 디지털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비교 연구, 정보통신정책 연구원, 2013.
  19. J. Pilotta, D. Schultz, G. Drenik, and P. Rist, "Simultaneous Media Usage: A Critical Consumer Orientation to Media Planning," Journal of Consumer Behavior, Vol.3, No.3, pp.285-292, 2004. https://doi.org/10.1002/cb.141
  20. F. Bardhi, A. J. Rohm, and F. Sultan, "Tuning In and Tuning Out: Media Multitasking Among Young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9, No.4, pp.316-332, 2010. https://doi.org/10.1002/cb.320
  21. S. Aral, E. Brynjolfsson, and M. W. Van Alstyn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Worker Productivity: Task Level Evidence, NBER Working Paper No. W13172, 2007.
  22. C. J. Konig, M. Buhner, and G. Murling, "Working Memory, Fluid Intelligence, and Attention Are Predictors of Multitasking Performance, but Polychronicity and Extraversion Are Not," Human Performance, Vol.18, No.3, pp.243-266, 2005. https://doi.org/10.1207/s15327043hup1803_3
  23. U. G. Foehr, Media Multitasking Among American Youth: Prevalence, Predictors and Pairings, Menlo Park, CA: Kaiser Family Foundation, 2006.
  24. 박현정,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미디어 이용과 N스크린 서비스 수용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43-15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43
  25. 최윤정, "예능 프로그램 수용 방식의 변화 : '사회적 시청'(social viewing)과 수용자 공중 등장," 방송문화연구, 제27권, 제2호, pp.7-37, 2015.
  26. 박진우, 김위근, "미디어 이용의 다중화 혹은 수렴화, 그리고 일상생활: 미디어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4권, 제12호, pp.694-70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694
  27. http://stat.kisdi.re.kr
  2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년 미디어보유와 이용 행태 변화, KISDI STAT REPORT, pp.15-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