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on Purchase Intention for an Autonomous Driving Car -Focusing on Extended TAM-

자율주행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 김해연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 성동규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18.01.26
  • Accepted : 2018.03.02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tial factor over the intention to buy autonomous driving car by apply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2). To this end, 117 ordinary persons experienced in driving car were analyz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s positively affected by social influence and recognized risk. It i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not affected, but purchase intention is positively affected in the case of innovation. On the contrary, analysis shows that driving capability and car playfulness recognized by individual have no influence on the perceived easiness. Although the result that driving capability recognized by individual nega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was not included in the study hypothesis, it was remarkable. Generalizing the above result, it is found that social influence, innovation and recognized risk as variables which affect the intention to buy autonomous car play the role of significant variab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ch result can foresee the perception of preliminary accommodators of new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utonomous driving car.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적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동차 운전경험이 있는 이들 가운데 일반인 117명을 대상으로 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영향과 지각된 위험은 인지된 유용성과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의 경우는 인지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매의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과 자동차 유희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연구가설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나 개인이 자각하는 운전능력이 인지된 유용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주목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했을 때 자율주행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사회적 영향과 혁신성 및 지각된 위험은 중요한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인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예비 수용자들의 인식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goo.gl/cmJXR4
  2. H. Lipson and M. Kurman, 박세연 옮김, 넥스트 모바일: 자율주행혁명, 더퀘스트, 2017.
  3. 남두희, "자동차와 사회 변화, 월간교통," pp.66-69, 2016.
  4. R. Izumida, 이수형 옮김, 구글은 왜 자동차를 만드는가, 미래의 창, 2015.
  5. 이종영, 김정임,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문제," 중앙법학, 제17권, 제2호, pp.145-184, 2015,
  6.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7. 이재신, 이민영,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IP-TV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7권, 제1호, pp.100-131, 2006a.
  8.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9. V. Venkatesh and F. D.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10. 정귀임, 박상성, 장동식, "TAM2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의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학술 대회논문집, pp.726-730, 2007.
  11. 이재신, 이민영, "수정된 기술수용모델(TAM2) 를 이용한 지상파 DMB 휴대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8권, 제2호, pp.251-283, 2006b.
  12. 이재신, "기술사용에 대한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개인의 주관적 판단과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6호, pp.388-414, 2006.
  13. 유재현, 박철,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9권, 제2호, pp.31-50, 2010.
  14. 박기혁, 알파고처럼 진화하는 스마트카의 미래, 동아앰엔비, 2016.
  15. 이재관, "자율주행자동차 동향과 전망," 융합연구정책센터, 융합 WeeklyTIP, pp.1-8, 2015.
  16. 이백진,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와 교통계획 분야의 대응과제," 국토정책 Brief, 제600호, pp.1-8, 2017.
  17. http://cll.kr/10r9
  18. 홍지수, 김숙진,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펫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인지가 구매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42권, 제7호, pp.1412-1421, 2017.
  19. R. E. Rice, A. E. Grand, J. Schmitz, and J. Torobin, "Individual and enetwork influences on the adoption and perceived outcomes of electronic messaging," Social Networks, Vol.12, No.1, pp.27-55, 1990. https://doi.org/10.1016/0378-8733(90)90021-Z
  20. H. C. Triandis, "Value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behavior," in Nebraska Symposiumon motivation,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Vol.27, pp.195-259, 1980.
  21. V. Venkatesh and F. D. Davis,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Vol.27, No.3, pp.421-482, 1996.
  22. G. R. Salancik and J. Pfeffer,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to job attitudes and task 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No.23, pp.224-252, 1978. https://doi.org/10.2307/2392563
  23. 강소라, 한수진, 김유정, "와인의 온라인 구매의 주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123-138, 2013. https://doi.org/10.9708/JKSCI.2013.18.12.123
  24. G. C. Moore and I. Benbasat, "Development of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logy innovation," Infromation System Research, Vol.2, No.3, pp.192-222, 1991. https://doi.org/10.1287/isre.2.3.192
  25. J. Pfeffer, Power in Organuzations, Ballinger, 1982.
  26. 왕진흥, 정상훈, "한국 소비자와의 비교를 통한 20대 중국 소비자의 자동차 선호도 및구매도 분석-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3권, 제1호, pp.55-65, 2014. https://doi.org/10.21195/jidr.2014.13.1.005
  27. 여환립, 김판수, "얼리어답터의 IT제품 구매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pp.313-334, 2011.
  28. 고수자, "디지털 TV 이용자 성향에 관한 연구- 독일 디지털 TV이용 및 수용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21-245, 2001.
  29. 김영용, 김성욱, "HDTV 초기 확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3호, pp.75-104, 2001.
  30. R. Agarwal and J. Prasad,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Research, Vol.9, No.2, pp.204-215, 1998.
  31. 강현정, "인터넷 정보습득과정이 얼리어답터 혁신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8권, 제2호, pp.229-246, 2008.
  32.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modifications of a model for telecommunications. In Die Diffusion von Innovationen in der Telekommunikation, Springer, 1995.
  33. R. A. Bauer, "Customer behavior as risk tak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p.389, 1960.
  34. H. Choi and J. W. Kim,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uncertainty avoidence on post-adoption behavior: Focusing on mobile servic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No.16, 2006.
  35. J. Jocoby and L. B. Kaplan, "The component of perceived risk," Association for Customer Research: College Park, p.392, 1972.
  36. S. M. Cunningham, The majors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in risk taking and information s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D. F. Cox (Ed), Harvard University Press, 1967.
  37. 박세현, 정기한, "소비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과 가격 민감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 29권, 제4호, pp.575-595, 2016.
  38. http://news.donga.com/3/all/20170407/83747124/1
  39. 이순철, "운전자행동의 심리학적 연구," 심리과학, 제6권, 제1호, pp.11-26, 1997.
  40. 이순열, 이순철, 박선진,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 수준이 위험운전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제13권, 제3호, pp.111-125, 2007.
  41. A, Katila, E. Keskinen, and M. Hatakka, "Conflicting goals of skid training," Accident Analysis andPrevention, Vol.28, pp.785-789, 1996. https://doi.org/10.1016/S0001-4575(96)00045-0
  42. 김종기, 남수태, "스마트폰의 특성이 지속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유희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4호, pp.2021-2045, 2012.
  43. 윤해진, 문성철, "태블릿 PC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스마트폰 이용경험의 조절효과," 방송 통신연구, 제79호, pp.169-202, 2012.
  44.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18-326,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318
  45. V. Venkatesh,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r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1, No.4, pp.342-365, 2000. https://doi.org/10.1287/isre.11.4.342.11872
  46. 박현희, 노미진, "혁신성과 가격민감도가 스마트 의류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36권, 제2호, pp.218-230,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2.218
  47. 전정아, "이용객의 특성에 따른 브랜드 자산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0권, 제3호, pp.227-247, 2008.
  48. N. Spears and S. N. Singh, "Measuring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purcahse intentions,"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6, No.2, pp.53-66, 2004. https://doi.org/10.1080/10641734.2004.10505164
  49. 김태문, 한진수, "인터넷 여행상품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4권, 제1호, pp.185-204, 2009.
  50. 이정기, "광고 인식, 기술수용모델 변인이 팟캐스트 광고의 단계별 효과에 미치는 영향: 팟 캐스트 광고 상품의 검색의도와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제14권, 제1호, pp.19-34, 2017.
  51. 박윤주, 윤성준, "온라인 쇼핑에 있어 SNS 속성이 사용자 만족, SNS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관계-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6호, pp.35-49, 2016.
  52. R. E. Goldsmith and C. F. Hofacker, "Measuring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26, No.12, pp.42-55, 1991. https://doi.org/10.1108/03090569210022498
  53. S. Ozdemir and P. Trott, "Exploring the adoption of a service innovation: A study of intent banking adopters and non-adopters," Journal of Financial Services Marketing, Vol.13, No.4, pp.284-299, 2009. https://doi.org/10.1057/fsm.2008.25
  54. J. Reason, A. Manstead, S. Stradling, J. Baxter, and K. Campbell, "Erros and violations on the roads: a real distinction?," Ergonomics, Vol.22, No.10-11, pp.1315-1332, 1990.
  55. D. Parker, L. McDonald, P. Rabbitt, and P. Sutcliffe, "Elderly drivers and their accidents: the Aging Driver Questionnaire," Accident Analysis &Prevention, Vol.32, No.6, pp.751-759, 2000. https://doi.org/10.1016/S0001-4575(99)00125-6
  56. 박선진, 이순철, 김종희, 김인석, "오류와 착오가 고령운전자의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55-79, 2006.
  57. 이솔, 안우영, 안강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대도시권 버스이용자의 통행시간 만족도에 대한 중요도 분석," 교통연구, 제22권, 제4호, pp.33-43, 2015
  58. B. M. Byrn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PRELIs, and SIMPLIS: Basic concept,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59. A. E. Hurley, T. A. Scandura, C. A. Schriesheim, C. M. T. Brannick, A. Seers, R. J. Vandenberg, and I. J. William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uideliness, issues, and alternativ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No.6, pp.667-683, 1997. https://doi.org/10.1002/(SICI)1099-1379(199711)18:6<667::AID-JOB874>3.0.CO;2-T
  60.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16.0, 법문사, 2009.
  61. 김정윤, 성동규, "미디어 리터러시의 자본화-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확장과 측정문항의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2권, 제1호, pp.5-32, 2018.
  62. M. W. Browne and R. Cue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and Long, J. S(Ed.),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age, Newbury Park, 1993.
  63. 심준섭, 구조방정식모형: 이해와 활용, 법문사, 2013.
  64. 이재영, 박진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도심 쇠퇴요인과 도심 이미지간 영향관계 연구," 국토계획, 제49권, 제6호, pp.145-158, 2014.
  65.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66. 홍석순, 전우영, "사용후기가 제품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경쟁메시지와 시간경과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24권, 제3호, pp.91-107,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