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of National Risk Alarm 4-Stage Criteria for Flood Disaster

홍수재난 대응을 위한 국가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 개선

  • 이수경 ((주)우노 재난위험관리연구부) ;
  • 박재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소) ;
  • 오은호 ((주)우노 재난위험관리연구부)
  • Received : 2018.01.25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EAP, which is operated on the frame of Risk Alarm 4-stage of National Risk Management Guideline, is a critical method in order to promptly respond to disasters. Korea Flood Control Office issues major and moderate flood alarm at each river station by respectively 50% and 70% of design flood discharge in terms of watermark or sea level, however, the criteria deciding major and moderate floods are vague for field managers to control the disaster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Japan and USA use river water level as a main criterion in order to classify the stage of flood disaster, which is higher design flood level than Korea. Thus, the authors analyzed domestic and oversea EAP guidelines and suggested improved criteria showing easy display method and raising the criteria of flood level for reflecting more effective action plans through testing a simulation training on the test-bed.

홍수 발생 시 제공되는 적절한 비상대처방안(EAP) 정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며, 상습 침수지역과 예상지역의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EAP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의 위기경보 4단계를 근간으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단계별 대응업무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홍수통제소는 수위표 또는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하천지점별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를 계획홍수량의 50%와 70%를 기준으로 발현하고 있으나, 위기경보 각 단계별 설정기준과의 명확한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있지 않다. 반면, 일본과 미국의 경우 수재해 대응단계를 구분하는데 있어 하천수위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국내보다는 높은 계획홍수위 설정기준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홍수 대응 수재해 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규정 및 적용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실무자 관점에서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위기경보단계별 설정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수위표 기준으로 표기방식을 개선하도록 제안하였다. 적용성 및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개선된 설정기준(안)을 수변구조물 재난대응 의사결정시스템에 적용하고 테스트베드에 대한 모의훈련을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열, 오은호, 김진만, 문인종, "도시건물 및 SOC시설물 보호를 위한 도시형 임시홍수차단장비 개발 방향 연구," 대한토목학회 201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일반세션, p.106, 2017.
  2. 서울특별시한강사업본부, 안전관리 포켓매뉴얼 (풍수해분야), 2015.
  3. https://rawris.ekr.or.kr, 2018.1.10.
  4. 일본 국토교통성 수관리.국토보전국, 도도부현 수방계획서, 2014.
  5. 일본 도쿄도, 도쿄도 방재계획서, 2014.
  6. 박무종, "미국의 홍수예보 시스템," 물과미래, 제39권, 제7호, pp.47-54, 2006(7).
  7. National Weather Service, NATIONAL WEATHER SERVICE MANUAL 10-950- DEFINITIONS AND GENERAL TERMINOLOGY, Department of Commerce/National Oceanic &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8.25.
  8. Eun-ho Oh, Impact Analysis of Natural Disasters on Critical Infrastructure, Associated Industries, and Communities, 퍼듀대, 박사학위 논문, 2010(8).
  9. http://www.nakdongriver.go.kr, 2018.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