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xpert Recognition on th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ocused on Ministry of Justice

재정성과 목표관리제도에 대한 전문가 인식도 분석: 법무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1.22
  • Accepted : 2018.02.13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operation status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target management system which is currently operated and to provid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is analysi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is one of the criminal justice administration agencies. Although the overall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considered to be somewhat appropriate as a whole,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the achievement of the performance target, and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target i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riticism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measurement of the Ministry of Justice's overall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the tendency to select indicators that are easy to achieve and easy to measure. In order to remedy these problems, it was highly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indicator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expanded so as to set up high-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ome suggestions for policy implications and some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arget management system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형사사법 행정기관 중 하나인 법무부의 성과관리체계 및 성과지표의 구성현황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최근 5년간 제기되어 온 법무부의 성과관리 관련 문제점들을 성과계획과 성과보고 두 부문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현행 성과관리 체계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다소 적절하다고 보고 있지만, 성과목표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성과측정 방식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성과목표의 국민의 관심사항 반영 정도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달성하기 쉽고 측정하기 용이한 지표 선정 경향이 있다는 지적과 같이 전반적으로 법무부의 성과지표 설정 및 측정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표성이 높은 성과지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중요도를 더욱더 강조하고 확대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은국,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국무조정실 연구용역, 연구기관: 한국정책학회, 2015.
  2. 임현준, 김성종,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47-35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47
  3. 고승희,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pp.437-438, 2011.
  4. J. K. Kristensen, W. Groszyk, and B. Buhler, "Outcome-focused Management and Budgeting," OECD Journal on Budgeting, Vol.1, No.4, pp.7-34, 2002. https://doi.org/10.1787/budget-v1-art20-en
  5. 박노욱, 원종학, 김진, 박명호, "재정성과관리제도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조세연구원, 2008.
  6. 박홍엽,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성과계획서를 중심으로," 예산정책연구, 제1권, 제2호, pp.167-202, 2012.
  7. 공병천, "정부성과의 관리 실태 및 국가최고감사 기구의 역할: 감사원 성과검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8권, 제4호, pp.297-320, 2009.
  8. 신상훈, 차경엽, 정부 성과관리와 감사원의 역할: 외국 감사원 성과보고서 검사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감사연구원, 2009.
  9. 원종학, 금재덕, 성과정보 신뢰성 제고를 위한 통제시스템 구축방안,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2012.
  10. 유승현, "정부기관 재정성과관리의 현황과 과제: 성과측정의 역설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1권, 제3호, pp.135-166, 2013.
  11. 유승현, 공병천, "정부기관 만족도 조사의 빛과 그림자: 재정성과목표관리제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22권, 제3호, pp.155-183, 2013.
  12. 조선일, "성과관리 관리체계 효율성 분석: 재정 사업 성과관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5권, 제3호, pp.67-89, 2016.
  13. 한국조세연구원, 주요국의 성과관리제도,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2011.
  14. 오영민, "우리나라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재정성과정보 활용에 대한 실증연구: 재정성과목표관리 제도 성과정보 활용의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5권, 제1호, pp.551-576, 2016.
  15. 최성락, "성과목표관리제도 운영에 관한 공무원 인식조사 연구," 2012년도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19-436, 2012.
  16. 최성락, "성과관리 효과 인식의 영향요인 분석: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2년도 한국 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030-2045, 2012.
  17. 오영민, "재정사업성과평가제도의 운영성과와 제도적 개선방안," 재정포럼, pp.6-22, 2014.
  18. 김상헌, 재정성과관리제도 정착을 위한 재정제도와의 조화방안. 기획재정부 연구용역보고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