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Community-Residing Elderly's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Focused on Elder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최해경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01.02
  • 심사 : 2018.02.05
  • 발행 : 2018.03.28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자신의 노화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유의표집으로 60세 이상 노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2.0을 이용해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인 지역사회 노인들은 자신의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태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은 개인자원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경제력이 좋을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가족의 정서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노화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사회참여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시킨 모델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사회참여 수준의 유의성이 사라져 자아존중감과 경제력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own aging among community-residing elderly and the predictors of the attitude focusing on 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elders aged 60+ with the cooperation of several social service center for the aged, senior centers, and senior citizen association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PSS 22.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research participant elderly's attitude toward own aging indicated fairly negative perception of their own aging; (2) self-esteem and economic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dicating the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economic status predict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ir own aging; (3)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hat predicted the positive attitude of their own aging; (4)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attitude; (5) In the full model of all independent variables,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social participation disappeared, but self-esteem and economic status among personal resources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community-residing elderly'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own aging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15년 생명표, 2016.
  2. B. R. Levy, "Mind matters: Cognitive and physical effects of aging selfstereotypes," Journal of Gerontology, Vol.58, No.4, pp.203211, 2003.
  3. G. Low, A. E. Molzahn, and D. Schopflocher, "Attitudes to aging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lder peoples'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20 countri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11, p.146, 2013. https://doi.org/10.1186/1477-7525-11-146
  4. S. Wurm, M. J. Tomasik, and C. Tesch-Romer, "Serious health events and their impact on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e role of age and a positive view on ageing," European Journal on Ageing, Vol.5, No.2, pp.117-127, 2008. https://doi.org/10.1007/s10433-008-0077-5
  5. M. Top, H. Eris, and F. Kabalcioglu, "Quality of life(QOL) and attitudes toward aging in older adults in Şanliurfa, Turkey," Research on Aging, Vol.35, No.5, pp.533-562, 2012. https://doi.org/10.1177/0164027512447822
  6. 이미진, "중노년층의 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잠재성장모델을 이용한 패널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1호, pp.101-124, 2012.
  7. 김수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이 노인의 건강증 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6호, pp.932-940, 2007.
  8. C. Bryant, B. Bei, K. Gilson, A. Komiti, H. Jackson, and F. Jud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 aging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older adult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4, No.10, pp.1674-1683, 2012. https://doi.org/10.1017/S1041610212000774
  9. Y. Yamada, L. Merz, and H. Kisvetrova, "Quality of life and comorbidity among older home care clients: Role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aging,"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4, No.7, pp.1661-1667, 2015. https://doi.org/10.1007/s11136-014-0899-x
  10. C. Bryant, B. Bei, K. Gilson, A. Komiti, H. Jackson, and F. Judd, "Antecedents of attitudes to aging: A study of the roles of personality and well-being," The Gerontologist, Vol.56, No.2, pp.256-265, 2016. https://doi.org/10.1093/geront/gnu041
  11. B. R. Levy and L. M. Myer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influenced by self- perception of aging," Preventive Medicine, Vol.39, No.3, pp.625-629, 2004. https://doi.org/10.1016/j.ypmed.2004.02.029
  12. K. A. Sargent-Cox, K. J. Anstey, and M. A. Luszcz,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27, No.3, pp.750-760, 2012. https://doi.org/10.1037/a0027578
  13. S. Wurm, C. Tesch-Römer, and M. J. Tomasik, "Longitudinal findings on aging-related cognitions, control beliefs, and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Gerontology, Vol.62, No.3, pp.156-164, 2007. https://doi.org/10.1093/geronb/62.3.P156
  14. B. R. Levy, M. D. Slade, and S. V. Kasl, "Longitudinal benefit of positive self- perceptions of aging on function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 Vol.57, No.5, pp.409-417, 2002. https://doi.org/10.1093/geronb/57.5.P409
  15. 한지나, "노인의 연령정체성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5호, pp.33-42, 2015.
  16. 김지영, 대학생의 노인관련 학습 및 활동 경험이 노인 및 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7. 최유석, 오유진, 문유진,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28-241, 2015.
  18. 탁지연, A comparative analysis on attitude towards ageing of middle-aged adults in South Korea and Japan,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조아라, 오희영, "중장년 성인과 노인의 노화에 대한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제29권, 제1호, pp.41-50, 2017. https://doi.org/10.7475/kjan.2017.29.1.41
  20. 김정희, 정혜선, "노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감을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40-850, 2013.
  21. 박재숙, 성희자, "사회복지사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사회복지교육, 제13권, pp.1-26, 2010.
  22. M. H. Kalfoss, "Attitudes to ageing among older Norwegian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Vol.22, No.5, pp.238-245, 2017. https://doi.org/10.12968/bjcn.2017.22.5.238
  23. 송인경,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4. 정영미,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기분상태, 일상생활활동 및 노화에 대한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pp.656-667, 2005.
  25. P. O. Sijuwade, "Attitudes towards old age: A study of the self-image of aged," Studies on Home and Community Science, Vol.3, No.1, pp.1-5, 2009. https://doi.org/10.1080/09737189.2009.11885268
  26. M. P. Lawton,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30, No.1, pp.85-89, 1975. https://doi.org/10.1093/geronj/30.1.85
  27. H. K. Black, "Pictures of suffering in elders' narratives," Journal of Aging Studies, Vol.23, No.2, pp.82-89, 2009. https://doi.org/10.1016/j.jaging.2008.12.002
  28. R. J. Yun and M. F. Lachman, "Perceptions of aging in two cultures: Korean and american view on old age," Journal of Cross-Cultural Gerontology, Vol.21, No.1-2, pp.55-70, 2006.
  29. C. Yoon, L. Hasher, F. Feinberg, T. A. Rahhal, and G. Winocur,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memory: The role of culture -based stereotypes of aging," Psychology and Aging, Vol.15, No.4, pp.694-704, 2000. https://doi.org/10.1037/0882-7974.15.4.694
  30. B. Ingersoll-Dayton and C. Saengtienchai, "Respect for the elderly in Asia: Stability and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48, No.2, pp.113-130, 1999. https://doi.org/10.2190/G1XR-QDCV-JRNM-585P
  31. K. T. Sung,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motivations for parent care: The case of Americans and Koreans," Journal of Aging Studies, Vol.8, No.2, pp.195-209, 1994. https://doi.org/10.1016/S0890-4065(05)80006-4
  32. 장숙랑, "한국 노인의 나이 듦에 대한 인식," 이주일 외,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박학사, pp.164-176, 2008.
  33. 권중돈, 손의성, "노인의 자기인식과 차별경험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81106, 2010.
  34. 김정현, 김욱, "노화태도척도(AAQ)의 한국 노인 적용을 위한 타당성 연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1181-1197, 2012.
  35. P. Ron, "Elderly people's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aging and old age: The role of cognitive disso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2, No.7, pp.656-662, 2007. https://doi.org/10.1002/gps.1726
  36. 이소영, "재가노인의 건강행위 관련 특성, 자아 존중감, 일상생활수행 능력 및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89501, 2010.
  37. R. A. Lamont, S. M. Nelis, C. Quinn, and L. Clare, "Social support and attitudes to aging in later lif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84, No.2, pp.109-125, 2017. https://doi.org/10.1177/0091415016668351
  38. 진영선, 노년 인생 제2막의 삶,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4.
  39. S. M. Cummings, N. P. Kropf, and K. L. DeWeaver, "Knowledge of attitudes toward aging among non-elders: Gender and race differences," Journal of Women and Aging, Vol.12, No.1/2, pp.77-91, 2000.
  40.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1.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42. 최해경, 노인복지론, 학지사, 2016.
  43. 최승호, "노년에 대한 인식전환," 충북 Issue & Trend, 제27권, pp.18-20, 2017.
  44. 오종희, 전리상, "노인의 여가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161-186, 2010.
  45.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 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3호, pp.81-106, 2004.
  46. 곽아람, 허만세, 이신영,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35권, 제2호, pp.315-335,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