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Burnout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Jo, Sang Ho (The Graduate Dept. of Psychotherapy,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
  • Kang, Dae Ok (The Graduate Dept. of Psychotherapy,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 Cheol (Dept.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조상호 (제주국제대학교 사회복지임상치료대학원 심리상담치료학과) ;
  • 강대옥 (제주국제대학교 사회복지임상치료대학원 심리상담치료학과) ;
  • 김성철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10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Methods: This study was 329 educare teachers work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self-encouragement scales, social support scales,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was conducted and t-test, F-test, Turkey post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Research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self-encouragement of educare teachers was remark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that of social support notice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career while tha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notice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Second,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psychological burnout in negative manner. In particular, self-encouragement functions, more than social support, as a main factor i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designed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for educare teachers and help them give more positive child-care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고,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32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격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기격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격려는 연령대에서, 사회적 지지는 연령대와 경력에서, 심리적 소진은 연령대 및 결혼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격려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가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격려는 사회적 지지보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한 자기격려 및 사회적 지지 증진 전략과 심리적 소진 감소 방안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효과적인 완화와 예방을 위한 자기교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적 접근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대와 심리적 부적응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2013).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지연(2017). 초등교사의 완벽주의의 성향과 자기격려의 수준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혜원, 홍계옥(2013) 생의 의미와 자기위로능력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2(4), 95-110.
  4. 고동우, 문상정, 이형래(2008). 칭찬의 의미: 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관광학연구, 32(2), 83-108.
  5. 권나연, 이희영(2012).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99-218.
  6. 권영란, 문영경(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7. 권영미(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2013). 유치원의 조직특성과 교사의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251-266.
  9. 기채영, 홍경자(2008). 아동의 자기격려적 생각, 행동, 감정연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1), 55-69.
  10. 김경희(2008). 보험심사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소진과의 관계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누리, 박상희(2018). 보육교사의 자기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 465-473.
  12. 김선희, 김경현(1999). 아동의 행동문제와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155-166.
  13. 김성철(2010).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연옥, 천성문, 이정희(2012). 유아교사 소진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73-298.
  15. 김영은(2011).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한 조직지원인식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1(3), 45-64.
  16.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2011). 보육교사-원장 간의 관계의 질과 근무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89-213.
  17. 김은숙(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전문성 인식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의 관계 연구. 아동복지연구, 6(2), 1-18.
  18. 김정은, 이한우(2017). 예비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자기격려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7(2), 131-151.
  19. 김정희(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정희, 문혁준(2010).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교사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임파워먼트의 영향 비교. 아동학회지, 31(2), 69-83.
  21. 김지연(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중재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김춘경(2006). 아들러 아동상담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3. 노안영, 정민(2007). 자기격려-낙담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675-692.
  24. 노은호(2012). 보육환경의 질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2(2), 67-83.
  25. 박미화(2016).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 110-129.
  26.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27. 박성호(2001).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소영(2009). 보육교사로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배성희, 김연화, 한세영(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234-258.
  31. 보건복지부(2017). 영유아보육법. 세종: 보건복지부.
  32. 서선순(2007).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성경주, 황성원(2017).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7(4), 71-90.
  34. 신성아(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안선희, 김지은(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
  37. 오선균(2001). 보육교사 직무만족과 소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우수경(2016). 유아교사의 개인변인과 낙관성 및 정서지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1), 55-74.
  39. 유연화, 이신혜, 조용례(2010). 자기 자비, 생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40. 유은경(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윤혜미, 노필순(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42. 이선희, 곽정현(2016).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자기격려가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2), 93-107.
  43. 이재영(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정순(2012). 청소년지도자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정현(2006).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정희, 조성연(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47. 이주령(2016). 사립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주연, 지명원, 김경화(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1), 41-57.
  49. 이지영, 문혁준(2015). 기혼영아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일과 가정의 양립갈등, 소진, 자아탄력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2, 103-125.
  50. 이현주(201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3), 65-82.
  51. 정덕희(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52. 정재은, 김성현(2018).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8(1), 193-216.
  53. 정현희(2017).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임상미술심리연구, 7(1), 1-17.
  54.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55. 조영주, 박익렬(2015). 무용수행의 자기격려 인식과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4(5), 651-662.
  56. 조은진(2013). 격려 프로그램 소그룹 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격려 및 주관적 안녕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주진(2010). 한중 충고와 경고 화행에 대한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최윤진, 김정희(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59. 최형성(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8(5), 271-292.
  60. 최혜윤(2002).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최희아(2017). 심리치료사의 소진과 자기 돌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허용남(2007).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허지애, 김정문(2017). 자기격려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지지 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스트레스연구, 25(1), 44-51.
  64. Freduenb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1), 159-165.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4.tb00706.x
  65. Maslach C., & Jackson S. E. (1981). Understanding Burnout: Definitional Issues in Analyzing a complex phenomenon. In W. S. Paine (Ed.), Job stress and burnout (pp. 29-40). Beverly Hills, CA: Sage.
  66. Neff, K. (200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https://doi.org/10.1080/15298860309027
  67. Rogers, C. R. (1980).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68. Schaufeli, W. B., Bakker, A. B., & Van Rhenen, W. (2009). How changes in job demands and resources predict burnout, work engagement, and sickness absenteeism.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0(7), 893-917. https://doi.org/10.1002/job.595
  69. Schwarzer, R. & Nina, K. (2007). Foundation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70. Sweeney, T. J. (2005). 아들러 상담이론과 실제(노안영, 강만철, 오익수, 김광운, 송현종, 강영신, 오명자 공역), 서울: 학지사(1998 원저 발간).

Cited by

  1. A Path Model for Burnout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ofessionals vol.18, pp.18, 2018, https://doi.org/10.3390/ijerph18189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