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Instructional Program by Water Circulation System Device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 개발 및 수업 프로그램 효과 분석

  • Received : 2018.03.26
  • Accepted : 2018.04.23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isualize the concept of water circul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science behavioral system.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pts related to the water cycle.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nk it rains because the clouds are heavier. It is most difficult to explain invisible concepts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experiments in current textbooks are likely to disrupt scientific concepts. Accordingly, conventional water cycle, dew, fog, and cloud experiments were integrated into one system. The researchers then developed a device that allowed students to see the water's circulation at a glance. It is intended to enable integrated thinking on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precipitation. In addition, a instruction program to guide students using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Employ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on their concept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water circula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 is more effective in changing the concepts of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water circulation than in previous experiments. Also,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king use of the device were found, and there were no various experimental parameters, such as condens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행동 체계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이 물의 순환 개념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으며,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구름이 더 무겁기 때문에 비가 내리는 것의 과학적 개념이 아닌 오개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행 교과서의 실험들은 연결성이 낮고 물의 순환 개념들이 세분화되어 올바른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줄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 이슬, 안개 및 구름 등의 실험들을 통합하여 물의 순환 개념에 대한 시스템적 사고가 가능하도록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와 이를 활용한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준실험 설계를 통해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은 증발, 응결, 그리고 물 순환의 개념을 시스템적으로 이해하는데 이전의 실험들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물의 순환 시스템 장치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장 효과적인 실험 조건과 최적의 실험변수인 응결량의 매개변수를 분석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9].
  2. 교육부(2015a).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74호 [별책 9].
  3.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4. 김지현(2009).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그리기를 통한 증발과 응결에 대한 이해. 교원교육, 25(1), 275-288.
  5. 김진범(2003). 물의 순환 과정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문병찬(2014). 초등과학교육에서 지구시스템 인식 강화를 위한 시스템사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3), 313-326.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3.313
  7. 박현주(1996).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에 대한 개념 생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215-222.
  8. 서정욱, 김형범, Potvin, P.(2014). 탄소 배출 시나리오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질량 보존의 개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5(3), 192-202. https://doi.org/10.5467/JKESS.2014.35.3.192
  9. 이근연(2001) 입자적 분자개념을 적응한 수업전략이 초등학생의 공기와 물의 순환 개념 획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용섭, 김윤경(2012). 과학 기반 STEAM의 '날씨와 우리 생활' 학습이 창의적 사고 및 창의성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204-212.
  11. 이용복, 이성미(1998).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7(1), 89-103.
  12. 안현복(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물 순환 구성요소와 물 순환 과정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윤재화(2001).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관한 개념변화 유형 조사 탐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최계영(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원.
  15. Assaraf, O. & Orion, N. (2010).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5), 540-563. https://doi.org/10.1002/tea.20351
  16. Clark, J., Marks, J., Haden C., Bell, M., & Hungate, B. (2012). The Carbon cycle game: A regionally relevant activity to introduce climate change. Journal of National Earth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8, 9-13.
  17. Cohen, J.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revised ed.). New York: Academic Press.
  18. Johnson, J. K. & Reynolds, S, J. (2005). Concept sketches-using student and instructor generated, annotated sketches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in geology cours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1), 85-95. https://doi.org/10.5408/1089-9995-53.1.85
  19. Kim, H. & Chae, D. H.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12(7), 1925-1936.
  20. Osborne, R. J. & Cosgrove, M. M. (1983).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9), 825-838. https://doi.org/10.1002/tea.3660200905
  21. Mayer, V. J. (1995). Using the earth system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4), 375-391. https://doi.org/10.1002/sce.3730790403
  22. McNamara, C. (1998). Applied systems thinking, Proceedings of the 42nd annu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s, In J. K. Allen, et al.(Eds.),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ystems Sciences, Atlanta, Georgia, USA, 1-26.
  23. Shadish, W. R., Cook, T. D., & Campbell, D. T. (2002). Experimental and quasi experimental designs for generalized causal inference. Belmont, CA: Wadsworth.
  24.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Beverly Hill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