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Singapore: Focus on the Field of Geology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및 탐구활동 요소 비교 분석: 지질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3.26
  • Accepted : 2018.04.18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of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textbooks focused on the field of geolog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the study, it was selected as the 2015 revised science textbook in Korea and 'My pals are here' that is the most used textbook in Singap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 had a lower level of concept than Singapore. Second, we could confirm that Korea is composed of 'inquiry' centered compared to Singapore. Third, Korea deal with only one concept in one grade, however Singapore is structured so that concepts are divided hierarchically into several grades. Fourth, Singapore has been instructing students to learn how the learned concept interact with the Earth, which is different from Korea. These results may giv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in Korea.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교과서에 제시된 지질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진술된 개념과 탐구활동을 비교하여 앞으로 있을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는 2015 개정과학교과서를 선택하였으며, 싱가포르 교과서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과서로 싱가포르 교육부로부터 교육적인 우수성을 입증받은 'Science; My pals are here'를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교과서는 싱가포르 교과서에 비해 개념을 다루는 수준이 낮았다. 둘째, 싱가포르 교과서에 비해 우리나라 교과서는 '탐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는 한 가지 개념을 한 학년에서만 다루는데 비해 싱가포르는 개념을 위계적으로 나누어 여러 학년에 걸쳐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싱가포르 교과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학습한 개념이 지구와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내용도 함께 학습하도록 안내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구성과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서울: 교육부
  2. 교육부(2018). 초등학교 3-4학년군(과학수정본): 과학 3-2. 서울:비상교육.
  3. 교육부(2018).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서울: 비상교육.
  4. 교육부(2018). 초등학교 3-4학년군(과학수정본): 과학 3-2. 서울:비상교육.
  5. 김미영, 김경희(2010).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98-518.
  6.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7. 김중욱, 이윤종, 임성규, 정원우(1999). 조암 광물실험 키트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0(5), 445-453.
  8. 김재춘(2003). 국가 교육과정 개정 담론의 비교 분석 (I) : 제 4차에서 제 7차에 걸친 '교육내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1(2), 105-122.
  9. 유솔아(2011). 학년군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싱가포르 초등과학 교과서 분석. 교육과정연구, 29(3), 147-171.
  10. 이효녕(2006). 지구환경시대의 지구과학교육의 중요성과 최근 동향: 미국 사례 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1-22.
  11. 이효녕, 권영륜(2008).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75-188.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175
  12. 이효녕, Fortner, R. W., Mayer, V. J. (2004). 지구시스템교육: 한국의 통합 과학교육과정 구성. 중등교육연구, 52(1), 397-426.
  13.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4. 임성만(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15. 정하나, 전영석(2012).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 영역 탐구 활동의 특징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6(1), 139-152.
  16. 최재중, 박재근(2010).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내용용소 및 탐구활동 비교 분석. 과학교육논총, 23, 115-126.
  17. Ball, D. L., & Feiman-Nemser, S. (1988).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 401-423. https://doi.org/10.1080/03626784.1988.11076050
  18.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https://doi.org/10.1002/tea.20061
  19. Chiappetta, E., & Fillman, D. (2007). Analysis of fiv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for inclus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847-1868. https://doi.org/10.1080/09500690601159407
  20. Goh, S., Teo-Gwan, W. L., & Koh, S. L. (2012). MY PALS ARE HERE!: Science 3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1. Goh, S., Teo-Gwan, W. L., & Koh, S. L. (2012). MY PALS ARE HERE!: Science 4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2. Rillero, P. (2010). The rise and fall of science education: A content analysis of Science in elementary reading textbooks of the 19th centu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110(5), 277-286. https://doi.org/10.1111/j.1949-8594.2010.00034.x
  23. Roseman, J. E., Kulm, G., & Shuttleworth, S. (2001). Putting textbooks to the test. ENC Focus, 8(3), 56-59.
  24. Schwarz, C. V., Gunckel, K. L., Smith, E. L., Covitt, B. A., Bae, M., Enfield, M., & Tsurusaki, B. K. (2008). Helpi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learn to use curriculum materials for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92, 345-377. https://doi.org/10.1002/sce.20243
  25. Stoffels, N. T. (2005). "There is a worksheet to be followed": A case study of a science teacher's use of learning support texts for practical work. African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9, pp.147-157. https://doi.org/10.1080/10288457.2005.10740585
  26. Teo-Gwan, W. L., Goh, S., Koh, S. L., & Dr-Kwa S. H. (2012). MY PALS ARE HERE!: Science 5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7. Teo-Gwan, W. L., Goh, S., Koh, S. L., & Dr-Kwa S. H. (2012). MY PALS ARE HERE!: Science 6B.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8. Trend, R. (1998). An investigation into understanding of eological time among 10-and 11-year 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973-988. https://doi.org/10.1080/0950069980200805
  29. Trend, R. (2001). Deep time framework; A preliminary study of U.K. Primary teachers' conceptions of geological time and perceptions of geo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191-221. https://doi.org/10.1002/1098-2736(200102)38:2<191::AID-TEA1003>3.0.CO;2-C
  30. Owen, J. C., Norton, S. A., Maasch, K., & Wittmann, M. (2004). Design,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of an Earth systems science course for secondary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2(4), 379-385. https://doi.org/10.5408/1089-9995-52.4.379
  31.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NY: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