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 Work Appraisals Held by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시설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돌봄노동 평가의 매개효과

  • 김수정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3.15
  • Accepted : 2018.04.23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negative appraisals of care work held by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 worker's appraisals of care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98 care workers by using non-random and purpose sampl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job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in explaining in the variances of care work appraisal and service quality. In addition, care worker's positive and negative appraisals of care work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association of between job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ervice quality could be improved by not only improving job environment but also strengthening care worker's positive appraisal of care work.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분석하고,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평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 포항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설요양보호사들의 돌봄노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수준은 중간값 이하인 반면 긍정적 평가는 중간값 이상이었다. 근무환경은 긍정적 돌봄노동 평가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평가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인 서비스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과 서비스의 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부정적 돌봄노동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며, 부정적 평가보다는 긍정적 평가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 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양난주, 임세희, 한성윤,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의 영리 비영리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4호, pp.27-52, 2012.
  2. M. Daly, "The concept of social care and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elfare estat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51, No.2, pp.279-293, 2000.
  3. 조영주, 백종만, "관계적 직무환경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재가 돌봄 서비스 제공자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5권, 제4호, pp.115-141, 2013.
  4. 오세진,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괜찮은 일자리'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20권, pp.101-136, 2010.
  5. 이정석, 이호용, 권진희, 한은정, 장기요양기관 종사자 임금 및 근로환경 실태조사,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4.
  6. 박영희, 나중덕, 김선희,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하여,"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49-368, 2011.
  7. 지영, 이미진, "서비스 관리자가 인식한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에 대한 질적 연구: 서비스의 질 개념, 방해요인 및 평가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29-57, 2011.
  8. 선희, 남희은, 박소진,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282-29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282
  9. M. P. Lawton, M. Moss, M. H. Kleban, A. Glicksman, and M. Rovine, "A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Vol.46, pp.181-189, 1991.
  10. 김연수,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긍정적 돌봄경험 평가와 긍정적 정서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2권, pp.91-124, 2006.
  11. B. F. Piko, "Burnout,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Hungarian healthcare staff: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3, pp.311-318, 200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05.003
  12. D. C. Vahey, L. H. Aiken, D. M. Sloane, S. P. Clarke, and D. Vargas, "Nurse burnout and patient satisfaction," Medical Care, Vol.42, No.2, pp.57-66, 2004.
  13. B. J. Kramer, "Gain in the caregiving experience: Where are we? What next?," Gerontologist, Vol.37, pp.218-232, 1997. https://doi.org/10.1093/geront/37.2.218
  14. J. Secrest, D. H. Iorio, and W. Martz, "The meaning of work for nursing assistants: Its who stay in long term ca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4, pp.90-97, 200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5.01282.x
  15. S. Himmehweit, "Caring labor,"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561, No.1, pp.27-38, 1999. https://doi.org/10.1177/000271629956100102
  16. H. C. Sung, S. M. Chang, and C. S. Tsai, "Working in long term care settings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s' aid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4, pp.587-593, 2005.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4.01111.x
  17. P. C. Hsieh and H. F. Su, "Retention and Attrition of certified care assistants in the long term care industry from the Taipei area: an interview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4, pp.93-104, 200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11.024
  18. 임성옥, 김현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pp.151-176, 2011.
  19. 남현주, 이현지, "시설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슈퍼비전, 소진과의 관계: 직업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9-28, 2016.
  20. 이상곤, "방문요양센터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이 요양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0권, pp.9-30, 2015.
  21. 김행렬, 모지환, 김석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 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7권, 제2호, pp.205-227, 2010.
  22. 서민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3. 김정애, 이혜경,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4권, 제4호, pp.1-33, 2014.
  24. 곽미정, 김영미, "수도권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영향요인 연구: 교육, 직무스트레스, 업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9권, 제2호, pp.135-166, 2015.
  25. M. K. Corman, "The positives of caregiving: Mothers' experiences caregiving for a child with autism,"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Services, Vol.90, No.4, pp.439-445, 2009. https://doi.org/10.1606/1044-3894.3923
  26. 김수정, "장애아동 가족의 양육부담과 가족적응과의 관계에서 장애아동이 가족에 미친 긍정적 기여에 대한 부모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35권, pp.41-72, 2012.
  27. R. P. Hastings and H. M. Taunt, "Positive perception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Vol.107, pp.116-127, 2002. https://doi.org/10.1352/0895-8017(2002)107<0116:PPIFOC>2.0.CO;2
  28. 이혜자, 권순호,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125-144, 2011.
  29. 김정희, 장천식, "노인요양시설 종사자 근무환경이 요양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33-547, 2016.
  30. N. G. Castle, H. Degenholtz, and J. Rosen, "Determinants of staff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in two nursing homes in Pennsylvani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6, pp.59-71, 2006. https://doi.org/10.1186/1472-6963-6-59
  31. 임시아,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서비스 질과의 관계,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2. R. Hastings and S. Horne, "Positive Perceptions Held by Support Staff in Community Mental Retardation Servic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Vol.109, No.1, pp.53-62, 2004. https://doi.org/10.1352/0895-8017(2004)109<53:PPHBSS>2.0.CO;2
  33. M. J. Rantz, M. Zwygart-Stauffacher, V. T. Popejoy, D. R. Mehr, L. L. Hicks, V. S. Conn, D. Wipke-Tevis, R. Porter, J. Bostick, and M. Mass, "Nursing home care quality: A multidimensional theoretical model integrating the views of consumers and provider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14, No.1, pp.16-37, 1999. https://doi.org/10.1097/00001786-199910000-00004
  34.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Berry,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pp.12-37, 1988.
  35. 최희경,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좋은 돌봄'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8권, pp.31-58, 2010.
  36. 이성윤, 요양보호사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7. 이현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8. 김수정,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돌봄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영향 요인,"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8권, pp.25-46, 2017.
  39. 곽진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노인장기요양시설 근무자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1. R. P. Hastings, R. Allen, M. KcDermontt, and D. Still, "Factors related to positive perception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15, pp.269-275, 2002. https://doi.org/10.1046/j.1468-3148.2002.00104.x
  42. B. F. Piko, "Burnout,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Hungarian healthcare staff: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3, pp.311-318, 2006.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5.05.003
  43. 장신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적 능력,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영향구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8권, 제3호, pp.31-5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