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Advanced Degree Programs Commissioned by the ROK Armed Forces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의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03.22
  • Accepted : 2018.04.16
  • Published : 2018.05.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programs commissioned by the ROK Armed Forces, and to search for improv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IPP evaluation model of Daniel Stufflebeam.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nalysis of documents, interviews, surveys, and data associated with the commissioned degree programs. On the basis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debated various ways of improving the programs. This study found that the object of commissioned education in the Army did not actively reflect national defense strategy nor the army strategy in cultivating talented people. Neverthel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helped improve individual competency because the budget for the programs was sufficient and was effectively implemented.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personnel to administer these commissioned programs. The contents of education strongly reflected the objective of the original commission's programs. However, the research papers produced by the students did not live up to the needs of the military to some extent. Lastly, most graduat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is program and found the program to be very helpful to carry out their missions and cultivate their expertise.

연구 목적은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에 대한 성과를 평가하고 발전방향을 탐색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을 중점으로 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에 따라 위탁교육 관련 문헌분석과 각종 자료분석 그리고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해 육군의 전문학위 위탁교육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육군의 위탁교육은 국방전략과 인재육성 전략을 반영해야 하며 위탁교육 국가의 다변화가 필요하였으나 위탁교육은 개인의 역량개발과 증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위탁교육 예산은 충분하게 편성되었고 효율적으로 집행되고 있었으나 담당인력의 추가 편성이 요구되었다. 위탁교육 목표와 교육활동은 연계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위탁교육 목적에 부합하고 군에 적용 가능한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탁교육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었으며 직무수행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위탁교육을 통해서 전공지식 습득과 업무수행능력이 향상되고 전문성이 증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육군본부, 육군 인재개발규정, 육군본부, 2015.
  2. 육군본부, 2016년도 위탁교육계획, 육군본부, 2015.
  3. 최원석, 육군의 대학 전문학위과정 위탁교육 평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4. 육군본부, 육군 위탁교육 성과관리체계 수립 연구, 육군본부, 2011.
  5. C. Politt, "Integrating financial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OECD Journal on Budgeting, Vol.1, No.2, pp.7-37, 2002. https://doi.org/10.1787/budget-v1-art9-en
  6. 고영선, 공공부문의 성과관리, 한국개발연구원, 2004.
  7. 이윤식, "우리나라에 있어서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중앙부처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7권, 제3호, pp.1-30, 2007.
  8. 류랑도, 성과관리 유형과 경영성과,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9. 황성준, 김진모, "성과관리 이론에 기초한 기업교육 성과지표 탐색,"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3호, pp.259-278, 2009.
  10. 전성칠, 군 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특히 현육군장교 위탁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11. 안필준, 육군장교 군외교육 개선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12. 박윤근, 육군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 특히 육군장교 국내 민간대 위탁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13. 이길형, 한국의 육군장교 위탁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14. 서영규, 육군 전문인력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15. 오재현, 국방 전문인력 관리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6. 최욱근, 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김경준, 육군 전문학위 위탁교육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8. 전화춘, 초등학교 특별보충과정 프로그램 평가 척도 개발 : CIPP 평가모형의 적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9. D. L. Stuffl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Vol.5, No.1, pp.19-25, 1971.
  20. M. Scriven, Evaluation Thesaurus, Thousand Oaks, CA: Sage, 1991.
  21. W. J. Popham, Educational evaluation, Prentice Hall, 1988.
  22. 육군본부, 위탁교육 성과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분석 결과, 육군본부, 2013.
  23. 이강근, 군 전문인력 양성 위탁교육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해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4. 박찬영, 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위탁교육제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5. 육군본부, 2016년도 위탁교육 선발계획, 육군본부, 2015.
  26. 국방부, '14-'28 국방기본정책서, 국방부, 2013.
  27. 육군본부, '14-'28 육군 기본정책서, 육군본부, 2013.
  28. 육군본부, '14-'28 육군 기본정책서 부록 '가' 인사종합발전방향, 육군본부, 2014.
  29. 육군본부, 2016년 전문학위/군사교육 위탁생 참고자료, 육군본부, 2015.
  30. 육군본부, 2015년 장교 근무평정 작성 지시, 육군본부, 2015.
  31. 육군본부, 전문분야별 인재 육성 DB 구축방안, 육군본부, 2010.
  32. 육군본부, 병과 특기체계 개선 시행 방안, 육군본부,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