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인의 평생교육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의 매개검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elf -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Volunteer Activity-

  • 안화순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문재우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8.04.09
  • 심사 : 2018.04.27
  • 발행 : 2018.05.28

초록

본 연구 목적은 노인의 평생교육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이 매개하여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일반노인대상으로 노인복지회관, 노인대학, 경로당 등의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하는 300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 22.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응용하였고, 매개경로의 유의수준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으로 Bootstrap 분석과 추가적으로 Sobel test 검증 방식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평생교육활동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활동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s a part of the self -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2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5 items of lifelong education, 6 items of volunteer activity, 15 items of life satisfaction, and 10 items of self - integ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living in Seoul, Gyeonggi - do, and Incheon, and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elderly welfare center, elderly university, and ward. As a method of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2.0 was applied. The results obtain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was tested.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predictability, accuracy, and validity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eco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verifying the fit of measurement variables through participation factor of lifelong education, self - integration, life satisfaction, and voluntary servi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2.0 and Amos 22.0 programs.

키워드

참고문헌

  1. E. H. Erickson,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1997.
  2. S. O. Chang, E. S. Kong, K. B. Kim, N. C. Kim, J. H. Kim, C. C. Kim, H. K. Kim, M. S. Song, S. Y. Ahn, K. J. Lee, Y. W. Lee, S. J. Chon, N. O. Chl, M. O. Cho, and K. S. Choi, "The concept analysis of ego-integrity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Nurs, Vol.34, No.7, pp.1172-1183, 2004. https://doi.org/10.4040/jkan.2004.34.7.1172
  3.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801-817, 2012.
  4. P. Lendgrand,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Paris, UNESCO Press. 1975.
  5. 홍미화, 한수정,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 미치는 요인," AJMAHS, 제6권, 제2호, pp.149-157, 2016. https://doi.org/10.14257/AJMAHS.2016.16
  6. 정현정, 윤숙희,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99-508,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4.499
  7. 정일영,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권2호, pp.346-365, 2017.
  8. 신동민,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통권 제57권, pp.261-288, 2012.
  9. 김고은, 신은주,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자아실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109-136, 2016.
  10. 양정훈, "근거이론을 통한 노인의 자아통합감 연구 : 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5권, 제2호, pp.23-48, 2015.
  11. 오지희, 김종남, "노인의 상실감, 응집감 및 우울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3호, pp.687-710, 2017.
  12. 장진호, 평생교육과 사회교육, 대은, 1985.
  13. 최은수, 기영화, 최성우 외,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0.
  14. 이금룡, 박상육, 유은경, "노년기 생성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3권, 제2호, pp.365-379, 2013.
  15. 김혜령, "일 도시지역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 :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23-236, 2012.
  16. 조영구, 이재문, 이은모, 노인복지론, 정민사, 2016.
  17. R. J. Haviguurst,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y, Vol.111, pp.67-76, 1968.
  18. 서용숙, 노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9. 이안나, 조성숙, "노인의 자원봉사활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754-76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54
  20. 한정란, 노인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5.
  21. R. J. Haviguurst,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 a book of readings, J. R. Barry and C, R Wingrove(eds.), New York, 1977.
  22. 김성국, 여성 재가노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우울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3. 장혜경, 손정남, 차보경,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64-71, 2004.
  24. 김정순,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25. 이금주, 자원봉사활동이 노년기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원주시 노인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6. 류정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7. 김향숙, 한정란, "노인교육 참여가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년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21-37, 2016.
  28. 정소영,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곽미정, 김태동, "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8권, 제1호, pp.45-75, 2015.
  30. 이유찬, 한혜원, "노년기 여가참여형태와 삶의 질 인지와의 관계," 한국체육학, 제40권, 제3호, pp.309-319, 2001.
  31. 권미혜, 노년기 가치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2. 김고은, 신은주,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자아실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3호, pp.109-13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