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 분더캄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마크 레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Wunderkammer Focusing on the Artworks of Mark Leckey

  • 김상민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
  • 박혜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 투고 : 2018.04.02
  • 심사 : 2018.05.23
  • 발행 : 2018.05.28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온 차세대 혁명인 4차산업혁명의 시대 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일상은 하루에도 몇 번씩 가상과 실제 사이를 오가고 있다. 이러한 일상 속에서 정보의 저장방식은 가상적인 방식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이제 한 사람의 디지털 기기는 그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서구 근세 시대 '분더캄머'의 공간이 가상적으로 변한 듯하다. 본 논문은 디지털 기기를 '디지털 분더캄머'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디지털 분더캄머'가 오늘날 현대인들의 일상 속 상호작용, 인지와 이해, 사고방식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진화하는 디지털 기술과 소통에 대해 작품활동을 펼쳐온 영국의 시각예술 작가인 마크 레키의 작품 시리즈 'Universal Addressability of Dumb Things'와 'UniAddDumThs'와 연결시켜 분석을 진행하였다.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오늘날의 디지털적 환경과 특성, 이의 시각적 표현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현 시대의 '디지털 분더캄머'의 특성과 연결지어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들이 직면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 인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시대 속에서의 창의적 표현의 가능성 역시 확장되기를 바란다.

In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endlessly cross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in our daily routine. Information saving method has changed from physical to virtual and the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can be a method of showing one's identity. A digital device can be seen as a virtual version of a 'wuderkammer'.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that has occurred in our daily interaction, the process of thinking, perceiving, and understanding in the time of 'digital wunderkammer'. In order to discuss this matter, this study looks at the two art work series - 'Universal Addressability of Dumb Things' and 'UniAddDumThs' - by a British artist, Mark Leckey and analyzes the digital environment of today, its visual express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digital wunderkammer' reflected in his art works.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readers can understand the paradigm shift of today and expand the creative possibilities in this new era of digital revolu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전진성, 박물관의 탄생, 살림, 2004.
  2. 김상민, "Artistic Collection," ANA DRONE, Vol.3, pp.100-103, 2017(5).
  3. N. Pinkerton, "Devotion to Euphoria," Sight&Sound, Vol.27, No.1, pp.56-57, 2017.
  4. http://www.kunsthallebasel.ch/wp-content/uploads/KHB_Floorplan_Leckey_E_PF_NEW.pdf, 2018.1.24.
  5. 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81&v=Oi4NLXHWtHI
  6. http://www.kunsthallebasel.ch/wp-content/uploads/KHB_Floorplan_Leckey_E_PF_NEW.pdf, 2018.1.24.
  7. http://www.artpool.hu/TamkoSirato/manifest.html, 2018.2.1.
  8. http://moussemagazine.it/techno-animism/, 2018.2.2.
  9. Edited by P. Dander and E. Filipovic, Mark Leckey On Pleasure Bent, Koln: Berlag der Buchhandlung Walther Konig, 2015.
  10. Edited by P. Dander and E. Filipovic, Mark Leckey On Pleasure Bent, Koln: Berlag der Buchhandlung Walther Konig, pp.72-79, 2015.
  11. 김태진, "브랜드, 대용품, 기억의 저장소 -마크렉키의 작업에 관하여," 한국영상학회논문지, 제3권, 제15호, pp.5-19, 2017.
  12. http://moussemagazine.it/techno-animism/, 2018.2.2.
  13. Edited by P. Dander and E. Filipovic, Mark Leckey On Pleasure Bent, Koln: Berlag der Buchhandlung Walther Konig, pp.72-79, 2015.
  14. 김태진, "브랜드, 대용품, 기억의 저장소 -마크렉키의 작업에 관하여," 한국영상학회논문지, 제3권, 제15호, pp.5-19, 2017.
  15. 오주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집단 유형화와 사회관계의 영향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4권, 제2호, pp.39-8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