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suring Economic Values of Amenity Services from Urban Greenspa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hoice Experiments

선택실험을 이용한 서울 도시녹지 어메니티의 경제가치 평가

  • Received : 2017.10.27
  • Accepted : 2018.01.2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paper reports novel empirical results of a choice experiment that elicited the economic values that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lace on the amenity services realized from the landscape views and accessibilities to urban green spaces (i.e., mountains, rivers and urban parks). The 1,000 respondents in the sample were divided into two residential of housing types (apartments vs. houses) and occupancy types (owners vs. tenants).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s are willing to pay an average of 28% (5.0 million KRW per year) above the current housing prices per household for a mountain view, compared to an apartment view from their living room. Their willingness to pay values are about 22% (4.0 million KRW per year) and 10% (1.8 million KRW per year) respectively for a river view and a urban park view. Economic benefits of having access (i.e., a 10 minutes working distance) to mountains, rivers and urban parks are estimated to be an average of 16% (2.9 million KRW per year), 20% (3.6 million KRW per year) and 18% (3.2 million KRW per year), respectively, above the current housing prices per household. On the other hand, access benefits for those residing in houses are 18% (4.7 million KRW per year), 16% (4.1 million KRW per year) and 22% (5.6 million KRW per year) per household, respectively. They are also willing to pay an average of 35% (8.9 million KRW per year) above the current housing prices for keeping or having a garden or vegetation bed. Furthermore, a strong "greenspace premium" is centered around the three Gangnam districts for house-dwellers, whereas it is areas of "new real estate boom" for apartment dwellers.

도시녹지공간은 정주공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녹지공간에 대한 조망과 접근성을 중심으로 주택 유형과 거주 유형을 일반화하여 대부분의 거주민이 향유하는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선택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주택 유형은 아파트형(n = 500)과 단독형(n = 500)으로 구분하고 거주 유형은 소유형과 임대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같을 경우 녹지 조망이 있는 아파트는 앞 동의 아파트를 거실조망으로 가지는 아파트에 비해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비용(소유 또는 임대) 대비 산림의 경우 가구당 평균 28%(5.0백만 원/년) 더 지불할 의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하천 22%(4.0백만 원/년), 공원 10%(1.8백만 원/년) 순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도보 10분 이내에 녹지가 있을 경우는 그렇지 않은 거주지 대비 아파트형의 경우 각각의 녹지 유형에 따라 가구당 평균 16%(2.9백만 원/년), 20%(3.6백만 원/년), 18%(3.2백만 원/년), 단독형의 경우 각각 18%(4.7백만 원/년), 16%(4.1백만 원/년), 22%(5.6백만 원/년) 더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독형 주택의 경우에는 정원/마당 유무에 따라 가구당 평균 35%(8.9백만 원/년) 지불의사액 차이가 있었다. 전통적으로 주택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예, 역세권, 학군 등)의 선호도 크기와 비교했을 때 도시녹지 프리미엄이 서울의 정주여건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히, 도시녹지 프리미엄은 단독형 주택의 경우 강남3구를 중심으로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반면, 아파트형 주택의 경우 최근에 급부상 하고 있는 부동산 신흥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선호도를 견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주공간의 주변 여건에 따라서 그리고 주택 유형에 따라서 거주자들의 도시녹지 선호도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서 차별화된 관리정책의 필요를 강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원용, "도시 주거환경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Vol. 36, No. 3, 2001, pp. 286-287.
  2.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Cited 2017년 3월 01일, 2015.
  3. 국토해양부, 저탄소 녹색성장형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운영 전략 정책연구: 제3과제 도시공원 개발 및 관리운영 전략 연구, 2011.
  4. 김동준, "도시녹지환경이 주택가치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Vol. 10, No. 1, 2002, pp. 8-19.
  5. 김타열.장찬호.윤종현, "아파트가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시(중구, 동구, 수성구) 사례연구", Environmental Research, Vol. 19, No. 2, 2000, pp. 27-36.
  6. 김태윤.이창무.조주현.박한, "경관 특성 차이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주택실거래가를 사용하여", 부동산학연구, Vol. 13, No. 1, 2007, pp. 169-186.
  7. 김황중.최형석, "경관조망의 유형과 조망차폐율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Vol. 22, No. 1, 2012, pp. 109-125.
  8. 배수진, "주택가격에 내재한 녹지의 가격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9. 삼성경제연구소, "어메니티(Amenity)가 도시경쟁력이다", 2003.
  10. 신상영.김민희.목정훈, "서울숲 조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Vol. 7, No. 4, 2006, pp. 1-17.
  11. 심재현, "아파트의 주거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 7, No. 1, 2009, pp. 65-83.
  12. 양성돈.최내영, "한강시민공원이 주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Vol. 38, No. 3, 2003, pp. 275-285.
  13. 윤정중.유완, "도시경관의 조망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Vol. 36, No. 7, 2001, pp. 67-83.
  14. 이번송.정의철.김용현 (2002) "아파트 단지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제경제연구, Vol. 8, No. 2, 2001, pp. 21-45.
  15. 이세영.유학규.정성원.여홍구, "신도시 외부공간특성의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ol. 22, No. 9, 2006, pp. 3-12.
  16. 이재준, "공동주택 주거환경에서의 어메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계획 Vol. 34, No, 2, 1999, pp. 67-77.
  17. 이진순.김종훈, "아파트 환경속성이 소비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조망품질과 공원접근성의 컨조인트 분석", 마케팅관리연구, Vol. 19, No. 2, 2014, pp. 91-109.
  18. 이진순.김종훈.손양훈, "환경특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도신도시에서의 조망품질 및 공원접근성을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Vol. 23, No. 3, 2013, pp. 99-121.
  19. 임형백,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Vol. 8, No. 2, 2001, pp. 191-199.
  20. 정홍주, "아파트 가격결정모형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지역 한강변 아파트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1. 최성록.박은진, "DMZ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응답자의 지리적 이질성에 대한 검증", 자원환경경제연구, Vol. 19, No. 2, 2010, pp. 303-340.
  22. 통계청, 인구총조사. http://www.census.go.kr/. Cited 2016년 5월 01일, 2010.
  23. 허정.조경준.김상봉, "규모 및 형태별 고급주거시설 가격결정요인의 이질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연구, Vol. 18, No. 4, 2012, pp. 111-129.
  24. 환경부, "도시녹지의 생태적 기능강화방안 마련 연구", 2012.
  25. 황규성.이찬호, "컨조인트 분석기법의 속성분류에 따른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선호도 차이분석", 부동산학보, Vol. 52, 2013, pp. 298-312.
  26. 황형기.이창무.김미경, "한강조망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Vol. 16, No. 2, 2008, pp. 51-72.
  27. Adamowicz, W., P. Boxall, M. Williams, and J. Louviere, "Stated Preference Approaches for Measuring Passive Use Values: Choice Experiments and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80, No. 1, 1998, pp. 64-75. https://doi.org/10.2307/3180269
  28. Beck, M. J., S. Fifer, and J. M. Rose, "Can You ever be Certain? Reducing Hypothetical Bias in Stated Choice Experiments Via Respondent Reported Choice Certain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Vol. 89, 2016, pp. 149-167. https://doi.org/10.1016/j.trb.2016.04.004
  29. Choi, A. and K. Fielding, "Cultural Attitudes as WTP Determinants: A Revised Cultural Worldview Scale", Sustainability, Vol. 8, No. 6, 2016, p. 570. https://doi.org/10.3390/su8060570
  30. Choi, A. S., "Nonmarket Values of Major Resources in the Korean DMZ Areas: A Test of Distance Decay", Ecological Economics, Vol. 88, 2013, pp. 97-107. https://doi.org/10.1016/j.ecolecon.2013.01.014
  31. Correia, A., C. M. Santos, and C. P. Barros, "Tourism in Latin America: A Choice Analysi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34, No. 3, 2007, pp. 610-629. https://doi.org/10.1016/j.annals.2007.01.007
  32. Hanley, N., D. MacMillan, R. Wright, C. Bullock, I. Simpson, D. Parsisson, and B. Crabtree, "Contingent Valuation Versus Choice Experiments: Estimating the Benefits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in Scotland",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49, 1998, pp. 1-15. https://doi.org/10.1111/j.1477-9552.1998.tb01248.x
  33. Hensher D. A., J. M. Rose, and W. H. Greene, "Applied Choice Analysis: a Prim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5.
  34. Hensher. D. A., W. H. Greene, and J. Rose, "Using Classical Inference Methods to Reveal Individual-Specific Parameter Estimates and Avoid the Potential Complexities of WTP Derived from Population Moments", The University of Sydney, Sydney, 2003.
  35. Lancaster, K. J., "A New Approach to Consumer Theor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74, pp. 132-157.
  36. Lindberg, K., B. G. C. Dellaert, and C. Romer Rassing, "Resident Tradeoffs: a Choice Modeling Approa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6, No. 3, 1999, pp. 554-569.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009-2
  37. Louviere, J. J. and D. A. Hensher,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Simulated Choice or Allocation Experiments in Travel Choice Modelling",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890, 1982, pp. 11-17.
  38. Louviere, J. J. and G. Woodworth, "Design and Analysis of Simulated Consumer Choice and Allocation Experiments: a Method based on Aggregate Data",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0, 1983, pp. 350-367. https://doi.org/10.2307/3151440
  39. Louviere, J. J., "Choice Experiment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Issues. in: Bennett J, Blamey R (eds) The Choice Modelling Approach to Environmental Valuation, E. Elgar, Northampton, MA, USA, 2001.
  40. Louviere, J. J., D. A. Hensher, and J. D. Swait, "Stated Choice Methods: Analysi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0.
  41. MA,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sthesis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Island Press, Washington DC, 2005.
  42. McFadden, D. and K. Train, "Mixed MNL Models for Discrete Response",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Vol. 15, 2000, pp. 447-470. https://doi.org/10.1002/1099-1255(200009/10)15:5<447::AID-JAE570>3.0.CO;2-1
  43. Morley, C. "Experimental destination choice analysi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1, No. 4, 1994, pp. 780-791. https://doi.org/10.1016/0160-7383(94)90083-3
  44. Poe, G. L., K. L. Giraud, and J. B. Loomis, "Computational Methods for Measuring the Difference of Empirical Distribution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87, No. 2, 2005, pp. 353-365. https://doi.org/10.1111/j.1467-8276.2005.00727.x
  45. Rose, J. M. and M. C. J. Bliemer, "Constructing Efficient Stated Choice Experimental Designs", Transport Reviews, Vol. 29, No. 5, 2009, pp. 587-617. https://doi.org/10.1080/01441640902827623
  46. Train, K. "Discrete Choice Methods with Sim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003.
  47. UKNEA, "The UK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Technical Report", UNEP-WCMC, Cambridg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