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establishment of Event Factors in Buffet Restaurant Choice Proces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뷔페레스토랑 행사요인 발굴 후,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성 연구

  • Received : 2018.04.05
  • Accepted : 2018.05.16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that decided to choose buffet restaurant. We have identified and recently, developed event factors that are of increasing importance. The event factor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the event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is study, event factors were derived and measurement questions were developed using semiotic analysis. The developed measurement questions were tested and surveyed to demonstrate the scale.

본 연구는 뷔페레스토랑 선택 결정요인들을 탐색한 후, 최근 실무적으로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는 행사요인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행사요인 척도를 기존의 뷔페레스토랑 척도요인들과 더불어 독립변수를 구성하고 고객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였으며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 모형을 설정하여 개발된 척도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행사요인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러 결과들 중 새롭게 도출된 행사요인이 뷔페레스토랑 선택 결정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써 기호학적 내용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행사요인을 도출하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척도 개발 후, 행사요인 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뷔페 레스토랑 이용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285부를 분석한 후, 결과를 도출하여 척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뷔페레스토랑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객관적이고 효율적 척도개발을 통해 외식업의 트렌드 변화반영 및 고객취향 맞춤형 전략실행에 적용 가능한 척도개발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정민, 일반 상설 뷔페레스토랑 선택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임종우, 김동호, 조용범, "호텔 연회뷔페 메뉴의 중요도 요인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pp.29-41, 2015.
  3. 이상희, "뷔페레스토랑의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남부 뷔페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07-41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07
  4. 손상희, "현대 음식 소비현상의 소비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제21권, 제3호, pp.241-246, 2006.
  5. 김효정, 연회상품 선택 속성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과의 인식 비교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김성대, "호텔 연회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27-245, 2005.
  7. 김종훈, "외식고객의 레스토랑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8권, 제1호, pp.173-188, 2013.
  8. 최철재, "식품소매점 이미지 구성요인과 만족, 신뢰, 충성도 간 구조적 인과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366-38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366
  9.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1, pp.406-465, 1980.
  10. 손영아, 이형룡, "돌잔치전문점 이용객의 소비가 치유형에 따른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2호, pp.459-478, 2018.
  11. 박상현, 돌잔치 특성 및 개최장소 선택속성에 대한 비교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이지은, 김명희, 홍장선, "돌잔치 테이블에 나타난 플라워디자인의 소비자 선호도 유형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55권, pp.52-267, 2016.
  13. 김영석, "이벤트 기획요소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제8권, pp.65-83, 2008.
  14. 맹해영, 장형유, "지역축제 콘텐츠품질(CONTSQUAL)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742-6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742
  15.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16. 송용희, "언론의 현실해석과 객관화 담론전략 :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2004년 국가보안법 개폐논쟁 관련 해설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1호, pp.229-251, 2007.
  17. G. H. Churchill,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arch, Vol.16, No.1, pp.64-74, 1979. https://doi.org/10.2307/3150876
  18. J. L. Zaichowsky,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1, pp.341-352, 1985. https://doi.org/10.1086/208520
  19. 맹해영, 장형유, "지역축제 기초품질(BASICQUAL)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108-12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108
  20. 박영원, 광고디자인 기호학, 범우사, 2003.
  21. 이정실, "외식업의 입지선정 모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2권, 제1호, pp.381-403, 1999.
  22. 정광현, 레스토랑 속성평가, 지각된 가격, 가치와 만족 및 재이용 의도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3. 김홍범, 허창, "고객의 외식동기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 속성의 차이," 관광학연구, 제21권, 제2호, pp.205-221, 1998.
  24. L. Dube and Leo M. Renaghan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for strategic management," The Co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5, No.1, pp.39-47, 1994.
  25. M. S. Morgan, "Benefit dimension of Midscale Restaurant Chains," The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Vol.34, No.2, pp.40-45, 1993. https://doi.org/10.1177/001088049303400210
  26. P. Filliatrault and J. R. Brent Ritchie, "The impact of situational factors on the evaluation of hospitality service,"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26, No.4, pp.29-37, 1998. https://doi.org/10.1177/004728758802600406
  27. Jhon J. Schoeder, "Restaurant Critics Respond; We're Doing Our Job,"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25, No.4, pp.57-63, 1985.
  28.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 study, NRA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Department, 1983.
  29. 송대근, "호텔 식음료 업장의 선택 속성에 따른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여행학연구, 제22권, pp.167-184, 2005.
  30. 최승용, "주5일 근무제에 따른 호텔 레스토랑 이용형태와 선택 속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8권, 제3호, pp.27-45, 2005.
  31. 조미나, 레스토랑 고객의 서비스 인카운터에 대한 인지적.감정적 반응이 서비스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32. 권영대, 이벤트 진행자의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3. 이상희, 김연선, "뷔페레스토랑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484-49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484
  34. 윤만희, 김정섭, 윤경산, "고객가치,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전환비용의 역할 : 매개와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제22권, 제3호, pp.21-51, 2014.
  35. 김윤민, "뷔페레스토랑의 선택 속성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3권 제4호, pp.329-347, 2009.
  36. 김종우, "서비스공정성, 고객만족, 고객행복 및 고객몰입간의 관계," 마케팅논집, 제25권, 제4호, pp.91-111, 2017.
  37. 박상준, "제품 속성이 고객만족과 고객감동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7권, 제4호, pp.1-21, 2015.
  38. W. Bouldig, R. A. Kala, and V. A. Zethaml,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orm Expectation to Behavior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pp.7-27, 2003.
  39. Jone W. Lounsbury and Jeffrey R. Polik,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Leisure Sciences, Vol.14, No.2, pp.105-119, 1992. https://doi.org/10.1080/01490409209513161
  40. 김주연,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인적서비스가 고객이 간접적 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1. 민월기, 김신애, "관계만족, 관계종결비용, 대안의 매력도가 관계신뢰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계신뢰의 매개효과," 마케팅논집, 제23권, 제2호, pp.23-45, 2015.
  42. 박재범, 김경애, 김상희, "서비스제공자 커뮤니케이션이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평가와 고객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제21권, 제2호, pp.119-157, 2013.
  43. 이선희, 관광마케팅개론, 대왕사, 1994.
  44. 안성식, 박연옥, 최성환, "CS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뷔페 레스토랑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7권, 제3호, pp.201-224, 2012.
  45. R. B. Woodruff, "Customer Value: The next Source for Competitive Edge," Journal of the Acamedy of Marketing Science, Vol.25, No.2, pp.139-153, 1997. https://doi.org/10.1007/BF02894350
  46. A. Parasuraman, Valerie A. Zeithaml, and Leonard L. Berry, "A multifpel-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ility," Journal of Marketing, Vol.64, No.1, pp.12-40, 1988.
  47. 신종국, 오미옥, "소매점포에서의 고객경험 척도개발," 마케팅논집, 제22권, 제4호, pp.41-62, 2014.
  48. 김성규, 이희욱, "브랜드에 대한 정(情) 척도 개발 및 구조분석," 마케팅논집, 제17권, 제3호, pp.1-28, 2009.
  49. Sharma, S, Applied multivariate techniques, New York: Wiley,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