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The Case of Naver TV

영상클립의 인기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네이버 TV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5.06
  • Accepted : 2018.06.08
  • Published : 2018.06.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Naver TV users' pattern of video clip watching,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popularity of Naver TV's video clip. We selected 572 individual video clips that were ranked 50th in Naver TV rankings from September 10th to September 24th in 2017. We classified video clip's characteristics into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number of likes, the number of subscriber, genre, video clip's types, and star appearances. We indexed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which implies the degree of popularity for each video cli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likes for video clips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for each video clip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Video clip's genre, video clip's type and star power positively affected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The effect of extras genre on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was the lowest, followed by entertainment, music, and drama genre. but the difference among entertainment, music and drama gen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eb-only video and non-broadcast video positively affected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Finally, the popularity of video clip was higher when stars appeared in the video clip.

본 연구는 네이버TV의 이용자들이 네이버TV에서 제공하는 영상클립을 어떻게 이용하는지 살펴보고, 영상클립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2017년 9월 10일부터 9월 24일까지 2주간 네이버TV의 영상클립 상위50위에 올랐던 영상클립 572개를 선정해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대상 영상의 성격은 장르, 유형, 스타출연 여부로 나눴고, 성격에 따른 인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별 영상클립 인기도를 지수화 했다. 연구결과, 이용자 반응특성 중에서는 개별 영상클립의 좋아요수, 프로그램 채널 구독자수가 영상클립 인기정도와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클립 특성 중에서는 좋아요수, 프로그램 채널 구독자수, 장르, 유형, 스타출연 여부가 영상클립 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장르 중 기타장르의 영향력 정도가 가장 낮았으며, 미세한 차이지만 드라마, 음악, 예능장르 순으로 영향력 정도가 높았다. 유형 중 웹 전용, 미방송분 유형이 하이라이트 유형의 영상클립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영상클립의 인기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상클립 내에 스타가 등장할 경우 영상클립의 인기정도가 더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에릭슨 컨슈머랩, 에릭슨 소비자 빛 산업 인사이트 보고서 - TV 그리고 미디어, 2017.
  2.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KB지식비타민: 스낵컬처(Snack Culture) 확산과 활용, 2015.
  3. 김원석, 이경민, 유창선, 최종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최신 ICT 시사상식 20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전자신문, 2017.
  4. 강은영, "SBS-MBC, 국내 유튜브 서비스 중단," 한국일보, 2014(11).
  5. 이상준, "스마트폰 동영상 서비스 지각변동," 한국일보, 2014(12).
  6. DMC, 인터넷 동영상 시청 행태 및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 2017.
  7. 박정엽, 동영상 콘텐츠 전성시대, 미래에셋대우, 2017.
  8. 김수정, "스낵 컬처 기초 연구-웹 드라마 무한동력 인형의 집, 후유증, 어떤 안녕, 간서치 열전, 0시의 그녀, 멈추지 마의 내러티브 구조 및 캐릭터 특징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1호, pp.75-87, 2016.
  9. 정승은,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씨네포럼, 통권, 제24호, pp.75-99, 2016.
  10. 박수철, 반옥숙, 박주연, "웹드라마의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이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미디어, 제16권, 제2호, pp.47-70, 2015.
  11. 이문행, "TV 와 웹미디어 간 콘텐츠 순환에 관한 연구," 영상문화, 통권, 제29호, pp.219-242, 2016.
  12. 송진, 이영주, 황성연, 이승희, 이이제, 이지현, 방송영상 클립형 콘텐츠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13. R. Cooper and T. Tang, "Predicting Audience Exposure to Television in Today' Media Environment: An Empirical Integration of Active-audience and Structural Theori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3, pp.400-418, 2009. https://doi.org/10.1080/08838150903102204
  14. 홍성현, 황상재, "웹 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100호, pp.35-69, 2017.
  15. 안재현, 김미경, 민병현, "온라인 VOD 영상콘텐츠 흥행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157-16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157
  16.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27-5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27
  17.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의 후 속시장 진입 성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8. 유세경,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 판매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209-255, 2000.
  19. 이문행, 이현숙, "국내 지상파 방송 드라마의 창구 다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501-537, 2005.
  20. 임성준, 강정현, "인터넷 VOD 극장에서의 흥행요인에 대한 연구," 전략경영연구, 제9권, 제1호, pp.53-76, 2006.
  21. 김관규, "크로스미디어 통합시청률조사의 필요성과 국내외 사례," 방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7-32, 2014.
  22. 강남준, 김은미, "다중 미디어 이용의 측정과 개념화: 오디언스를 향한 새로운 시선,"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5-39, 2010.
  23. T. B. Ksiazek, "A network analy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cross-platform audience behavior," Journal of Mdeia Economics, Vol.24, No.4, pp.237-251, 2011.
  24. 강남준, 조성동, "방송프로그램 크로스플랫폼 시청행위 측정을 위한 방법론적 제언,"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3호, pp.7-45, 2011.
  25. 최민재, "스마트폰 방송 및 동영상 서비스의 가정TV시청 대체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3호, pp.172-205, 2013.
  26. 황성연, "방송환경 변화와 시청률 조사방식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26권, 제1호, pp.63-84, 2014.
  27. 심미선, "융합매체환경 하에서의 장르이용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65호, pp.175-220, 2007.
  28. G. Webster and J. Wakshlag, "A Theory of Television Program Choice," Communication Research, Vol.10, No.4, pp.430-446, 1983. https://doi.org/10.1177/009365083010004002
  29. 조석현, 이현지,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645-655,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645
  30. 전범수, 김정기, "위성 DMB 이용동기와 장르 소비: 장르 선호도, 레퍼토리, 소비유사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제36호, pp.374-398, 2006.
  31. 이원재, 이남용, 김종배, "드라마 시청률 예측모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325-334, 2012.
  32. 이관열, 이철한, 스타의 역량이 방송프로그램 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33. J. Prag and J. Casavant, "An Empirical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Revenues and Marketing Expenditures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18, No.3, pp.217-235, 1994. https://doi.org/10.1007/BF01080227
  34. 심미선, 한진만, "프라임타임대 지상파 텔레비전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4호, pp.177-216, 2002.
  35. S. M. Sherman, "Determinants of repeat viewing to prime time public television programming,"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39, No.4, pp.472-481, 1995.
  36. 차지현, 'TV-웹' 간의 콘텐츠 재매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7. 배진아, "드라마 시청률 영향 요인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270-309, 2005.
  38. 박수선, "'낡은 시청률'대신 시청자수 본다," PD저널, 2018(1).
  39. 방송통신위원회, 2017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