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관찰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연구

The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ildre's free choice activities Monitoring System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 김경민 (신라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투고 : 2018.05.03
  • 심사 : 2018.06.01
  • 발행 : 2018.06.30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교육분야에서도 시간, 장소 및 기기의 제약없이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콘텐츠 기반의 교육 솔루션들이 제공되고 있고 학습자의 개별 특성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학습을 제공하는 시스템 구축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유아교육에서 자유선택활동은 중요한 놀이 활동이지만 교사들의 임상적 관찰에 의존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초연결성에 기반을 둔 사물인터넷 기술을 자유선택활동에 적용한다면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는 유아들의 개별화된 활동 유형과 놀이 형태 분석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을 구축하여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을 관찰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유아들의 활동정보를 축적하여 분석 자료로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개별 유아들에 대한 맞춤 교육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education that can learn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place and equipment is activated even in the field of education. Although smart education is provided with content-based training solutions, construction of a system that grasp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provides personalized learning is relatively weak. The activity of free choice is an important play activ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it is not implemented efficiently by relying on the clinical observation of the teacher. If the IoT(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based on Hyper-Connected is applied to free-choice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hild's personalized activity type and play-form analysis based on objective and stylized data.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ystem to monitor the child's activity of free choice by building an IoT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children's activity information as objective data and will be used as teacher's work mitigation and custom training material for each chil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영진, 강봉진, 박형주, 지승환, 오광섭, 옥상훈, 최대명, 전세광, 홍성원, 김학두, 동수환, 심승규 , 김동운, 김형선, "스마트교육 플랫폼 진화 및 발전방향,"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2013년
  2. 김정숙, "스마트 유아교육을 위한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비즈니스 참조모델 및 기술 참조모델의 설계,"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4호, 119-139쪽, 2015년 8월
  3. 주대영, 김종기,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T)의 활성화 방안," 산업연구원, 2014년
  4. 전지형, "자유선택활동 계획 및 실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갈등,"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203-229쪽, 2015년 12월
  5. 이혜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탐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20권, 제1호, 90-112쪽, 2015년 4월
  6. 황인주,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 선택활동 분석: 만 3, 4, 5 세를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제17권, 45-61쪽, 2014년
  7. 김희진,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놀이 계획-실행-평가 관행에 대한 비판적 탐색," 교육과학연구, 제44권, 제3호, 1-17쪽, 2013년 9월
  8. 황윤세,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과 놀이특성 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2권, 213-230쪽, 2010년 6월
  9. 교육과학기술부, "유아원 지도서1 총론," 두산동아, 1-184쪽, 2010년
  10. 서현선, 박혜준,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제9권, 제2호, 147-176쪽, 2014년 6월
  11. 서희경, "IoT 및 네트워크 관리 지원을 위한 컴포넌트 아키텍처 개발," 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2호, 42-29쪽, 2017년 6월
  12. 오정원, 김행곤, "IoT 기반 Apache Spark 분석기법을 이용한 과수 수확 불량 영역 모니터링 아키텍처 모델," 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4호, 58-64쪽, 2017년 12월
  13. 김진보, 김미선, 서재현, "사물인터넷 서비스 접근제어를 위한 리소스 서비스 관리 모델 구현,"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3호, 9-16쪽, 2016년 9월
  14. 류대현, 최태완,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구축,"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5호, 485-490쪽, 2016년 3월
  15. 강기욱, 이정환, 홍지만, "오픈소스 하드웨어에서 효율적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5권, 제4호, 49-56쪽, 2016년 12월
  16. 유재필,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OPHW) 동향 및 전망," 한국인터넷진흥원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년 8월
  17. 차재관, "아두이노 기반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제6권, 제4호, 72-78쪽, 2017년 12월
  18. https://www.auselectronicsdirect.com.au/assets/files/TA0297%20Quick%20guide.pdf
  19. https://www.rohde-schwarz.com/kr/solutions/wireless-communications/nfc-rfid/nfc_rfid_fundamentals/nfc_rfid_fundamentals_10521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