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Care givers on Job Change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업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3.19
  • Accepted : 2018.04.30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and adversity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job adapt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and to contribute to the various problems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confirm this as an empirical research task,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job adap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an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caregivers' As a mediator. So Seoul.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s follows: 291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 area. Firs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occupational caregivers and occupational adaptation were more severe, the higher the maladjustment of the workplace culture, the mor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dversely affected. The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information support, the more satisfied and satisfied the job.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of the caregiver and the protective facto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conflict of caregivers, the more unstable the workplac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apt to work culture, Respec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job adaptation, It is shown that they play mediating role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do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if caregivers feel satisfaction about their job, they can be less stressed on their jobs,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upport.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caregiver 's immersion into the organization, the l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but the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were not influenced. Based on this,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should strive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n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by seeking ways to improve conflict resolution and adaptation to the workplace culture so that nursing care workers can adapt to their work.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c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업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는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증적 연구과제로 확인하고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직업적응 및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심할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직무에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길수록, 직장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평소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조직에 몰입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장은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직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설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경영전략 및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Allen, N. J., & Meyer, J. P.(1991).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
  2.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 Blau, G., Tatum, D. S., McCoy, K., Dobria, L., & Ward-Cook, K.(2004). Job Loss, Human Capital Job Feature, and Work Condition Job Featureas Distinct Job Insecurity Constructs, Journal of Allied Health, 31-41.
  4. Bluedorn, A. C.(1978). A Taxonomy of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 647-651. https://doi.org/10.5465/amr.1978.4305918
  5. Chen, C.,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6. Compas, B. E., Hindin, B. R., & Gerhardt, C. A.(1995). Adolescent Development: Pathway and processes of risk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6, 265-293. https://doi.org/10.1146/annurev.ps.46.020195.001405
  7. Cooper, C. L., & Cartwright, S.(2013). Healthy mind; Healthy organization A pro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stress. In from stress to wellbeing. Vol. 2, Palgrave Macmillan UK, 32-47.
  8. Hon, K. B.(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ion: With a Focus on Korea public Enterprises. T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9. Jeon, H. S.(2016). The Effect of Intrapersonal Variables, Familial Variables, and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Smart Media Addiction of Youth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The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10. Jun, J. G., & Park, H. S.(2013). A Study on Effect of Justice of Public Officials for Total Payroll Costs Syste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 on Moderate Effect of Receptivity,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3), 200.
  11. Kim, H. H.(2014). The effect of geriatric care helper's knowledge of dementia on job stress, self-efficiency and care fulfillment. The Graduate School of Uiduk University.
  12. Kim, R. M.(2010).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tent to leave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center,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2003).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Measuring Tools for Job Stress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nstitute.
  14. Lee, C. S.(2015). Effect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Job Training Program for Care giv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Venture University.
  15. Lee, H. K., & Lee, I. H.(2016). The Study of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3), 117.
  16. Lee, S. Y.(2011).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The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17. Mobley, R. T., Porter, L. W., & Steers, R. M.(1982). Employee-organis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8. Park, J. G.(2015). The Effects of Health Awareness from LOHAS perspective on Long-term Care Workers' Life Satisfaction: Ba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Vocational Awareness. The Graduate School of HanSai University.
  19. Price, J. L.(1977). The Study of Turnover, Ames Iow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543-565.
  20. Seo, J. S.(2011).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aregivers' emotional labor and task achievement: Moderating effect of task resource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1. Shoemaker, M. E.(1999). Leadership practices in sales manager sassociated with the self-efficacy, role clarity, and job satisfaction of individual industrial salespeople. Th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and Sales Management, 19(4), 1-19.
  22. Yoon, J. S.(2014). The Effects of the Elderly's Life Stress on Depress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coping strategy,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23. Yoon, S. J.(2007). Occup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Employees in Sport Organizations, The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24. Yoon, S. J.(2015). Impact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Employees in Sport Organizations,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25. 김명자(2015).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직무만족과 리더십 스타일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33(1)
  26. 김명숙(2015).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정신건강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김수정(2014). 요양보호사의 돌봄관계를 통한 감정노동 경험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김신숙(2013). 노인의료보호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과 욕구이론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김상우(2016). 축구심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김윤재.남궁선.박스잔(2016). 요양보호사의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1(3) 199-208.
  31. 류임량(2016). 젠더 관점에서 본 재가요양보호사의 돌봄노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성경자(2015).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양진만(2016).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의식 조절변수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신남순(2014).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신미호(2016).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조직문화와 리도십유형이 조직몰링메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윤소영(2013).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
  37. 이상조(2016).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이태화(2013). 노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신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임길자(2016).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장윤정(2011). 공공민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결정요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51, 361-382.
  41. 전완길(2012).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몰입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신으로, 호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진석범(2015).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보상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과 적응유연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배인호(2013). 호텔조리사의 직무착근도와 자기효능감이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최문영(2009). 요양병원 간병인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