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하구 수자원 보전 및 활용 방안

  • 김정욱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주홍준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발행 : 2018.04.15

초록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지하수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gims.go.kr)
  2. 김수영, 김형준, 윤광석(2015). 2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하구역에서의 연걸수로 통수능에 따른 홍수위저감효과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8(12), pp. 1065-107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2.1065
  3. 김정곤(2007). 국내외 지표수-지하수 연계 운영사례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지하수 분과 보고서
  4. 김종원(2011). 친수구역 개발에 따른 재원 확보 방안, 한국수자원공사 저널, 물 정책 경제 16권, pp35-56.
  5. 박남식, 정은태, 남병희(2016). 대규모 청정 지하 저수지 기술개발에 대하여, 대한토목학회지, 64(3), pp. 25-31.
  6. 박창근, 정교철, 박재현, 부성안(2006). 지하댐의 기능과 역할, 한국수자원학회 학술기사 물과 미래, 39(5), pp. 40-53.
  7. 왕광익, 유선철(2009). 세계적 수변녹색도시:스웨덴 함마르비 사례와 시사점, 국토연구원, 국토정책Brief 제 237호, pp43-54.
  8. 이진수(2010). 영국의 친수구역개발 관련 제도의 검토-영국수로공사의 소개 및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최신외국법제정보 2010-09호, pp43-54)
  9. 인천발전연구원(2015). 한강수계 하구역 수질생태관리를 위한 공간적 범위 설정 및 참여형 유역관리체계 구축 방안
  10. 한강유역환경청(2007). 한강하구 습지보전계획 수립 연구
  11. 한강유역환경청(2007).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12. 한국농어촌공사(2017). 농어촌公, 민관협치로 가뭄 등 일상화된 기후변화에 대응, 한국농어촌공사 보도자료, 2017.11.24.
  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 하구역 환경보전전략 및 통합환경관리방안 수립 - 한강하구역을 중심으로.
  14.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I
  15. 환경부(2008). 한강하구 생태계의 효율적 보전방안 수립 연구
  16. 홍성균, 윤균(2017). 경인아라뱃길의 미래-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며, 대한토목학회지, 65(3), pp3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