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surance system for legal settlement of drone accidents

드론사고의 법적 구제에 관한 보험제도

  • 김선이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부) ;
  • 권민희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본부 철도항공안전실 항공안전처)
  • Received : 2018.05.25
  • Accepted : 2018.06.22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Recently, as the use of drones increases, the risk of drone accidents and third-party property damage is also increasing. In Korea,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drone use, accidents have been frequently reported in the media. The number of reports from citizens, and military and police calls regarding illegal or inappropriate drone use has also been increasing. Drone operators may be responsible for paying damages to third parties due to drone accidents, and are liable for paying settlements due to illegal video recor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dea of providing drone insurance, which can mitigate the liability and risk caused by drone accidents. In the US, comprehensive housing insurance covers damages caused by recreational drones around the property. In the UK, when a drone accident occurs, the drone owner or operator bears strict liability. Also, in the UK, drone insurance joining obligation depends on the weight of the drones and their intended use. In Germany, in the event of personal or material damage, drone owner bears strict liability as long as their drone is registered as an aircraft. Germany also requires by law that all drone owners carry liability insurance. In Korea, insurance is required only for "ultra-light aircraft use businesses, airplane rental companies and leisure sports businesses," where the aircraft is "paid for according to the demand of others." Therefore, it can be difficult to file claims for third party damages caused by unmanned aerial vehicles in personal use.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re selling drone insurance that covers a variety of damages that can occur during drone accidents. Some insurance companies in Korea also have developed and sell drone insurance. However, the premiums are very high. In addition, drone insurance that addresses specific problems related to drone accidents is also lacking. In order for drone insurance to be viable, it is first necessary to reduce the insurance premiums or rates. In order to trim the excess cost of drone insurance premiums, drone flight data should be accessible to the insurance company, possibly provided by the drone pilot project. Finally, in order to facilitate claims by third partie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establish specific policy language that addresses drone weight, location, and flight frequency.

최근 드론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드론 기체의 파손 망실 손해 및 제3자의 신체 재산 피해 등 위험 역시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드론 활용이 증가하면서 드론사고가 언론에 자주 보도되고 있다. 또한 시민 제보나 군 경찰의 처분의뢰 등을 통해 불법 사실을 인지하고 행정처분을 한 건수 역시 증가 추세이다. 드론사고로 인하여 제3자의 인적 물적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및 촬영정보유출 배상책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사고로 인한 책임과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드론보험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미국은 주택종합보험을 통해 주택에서 레저용 드론에 의해 발생하는 손해에 대해 보상받을 수 있다. 영국은 드론사고 발생 시 드론 소유자나 운영자가 무과실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또한 영국에서는 드론의 무게 및 운영 목적에 따라 드론보험 가입의무가 구분된다. 독일은 인적 물적 손해 발생 시, 드론 소유자는 드론이 항공기로 인정되는 한 무과실책임이 인정된다. 또한 독일에서는 드론 소지자에게 책임보험 가입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국내는 타인의 수요에 따라 유상으로 활용하는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 항공기대여업 및 항공레저스포츠업에 한하여 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기 수요에 따라 활용되는 임무용 무인비행장치로 인한 제3자 손해 발생시, 원활한 손해배상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외국 보험회사들은 드론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손해를 담보하는 드론보험을 출시 판매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부 보험사에서 드론 관련 제3자 손해배상보험 및 드론 기체 파손 망실 시 손해보전을 위한 기체보험을 개발하여 운영 중이다. 그러나 국내 드론보험은 합리적인 수준의 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 부족으로 인해 드론보험 요율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또한 해킹 도난 분실 위험 및 기상영향 등 드론의 특수성을 반영한 드론보험 개발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드론 도입 활용 활성화 및 드론 활용 기관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드론보험 요율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인하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합리적인 수준의 보험요율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보험사가 비행자료 등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드론 시범사업을 통해 확보된 비행자료 등 기초자료를 보험업계와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드론 활용으로 인한 제3자 손해 발생 시 원활한 배상을 위해 기체무게 활용분야 활용빈도 등 위험도를 고려하여 제3자 배상보험 가입을 제도화하는 방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입법조사처, 무인항공기 비행안전제고를 위한 입법.정책과제, NARS 현안보고서, 279호, 2015.
  2. 곽윤직 대표저자, 민법주해(XIX) 채권(12), 박영사, 2012.
  3. 권건보, 영국의 포스트 휴먼 기술법제에 관한 연구, 지역법제연구 16-16-(3)-4, 한국법제연구원.
  4. 교통개발연구원, 국내공항주변 항공기 소음 방지 대책 연구, 1992.
  5. 국토교통부, 2015년 ICAO 아시아.태평양 지역 법률세미나 의제 연구, 2014. 12.
  6. 김관호, "항공테러 방지를 위한 공항보안 개선대책 연구", 한국항공운항학회지 제21권 제4호, 한국항공운항학회, 2013. 12.
  7. 김선이, "드론의 사생활 침해에 관한 법적 고찰", 동아법학 제65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8. 김선이.권민희, "로마조약의 개정과 국내입법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8. 6.
  9. 김선이.정다은, "항공보험에 대한 약간의 고찰 - 항공보험의 담보범위를 중심으로",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5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0. 12.
  10. 김완중, "항공기 국제 임대차에 따른 안전관리 주체 및 내용에 대한 고찰", 항공진흥 제59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12.
  11. 김원규.홍승범.지민석.홍교영.안동만.최연철, "ECCAIRS 5를 이용한 군 항공기 사고사례 분석", 한국항공운항학회지 제21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3. 6.
  12. 김제철 외, 항공불법행위(테러) 및 제3자 손해배상에 관한 대책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12, 12.
  13. 김종복, 신국제항공법, 한국한술정보, 2009.
  14. 김종복.맹성규, "로마조약의 현대화와 쟁점에 관한 고찰 : 최근 ICAO법률위원회의 논의를 중심으로",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3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8. 6.
  15. 박규용, "의약품과 의료제조물의 결함에 대한 제조사의 책임", 법학연구 제15집 제2호, 2012. 7.
  16. 박진서 외, RPA (Remotely Piloted Aircraft) 사고시 적용 가능한 ICAO 법규 연구, 국토교통부, 2014.
  17. 박진서 외, RPA 운영에 따른 사고발생대비 손해배상 법적체계 마련 제안, 국토교통부, 2013, 11.
  18. 법률신문, "아시아나 항공사, 일정액수의 합의금 제시 가능성", 2013년 7월 10일자.
  19. 법무부, "상법 항공운송편 조문별 해설자료",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55호, 법무부, 2011.
  20. 손영우 외, 항공종사자 인적 요인의 안전영향 및 안전관리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11. 5.
  21. 안경희, "항공기소음으로 인한 민사책임", 환경법연구 제33권 제2호, 한국환경법학회, 2011.
  22. 양창수, "한국의 제조물책임법", 서울대학교 법학 제42권 제2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1.
  23. 위계찬, "제조물책임에서 순수재산손해의 배상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법학논고 제42집,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5.
  24. 유승우.박종혁, "민간 드론 인증인프라 구축 방안 연구", 항공진흥 제59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12. 12.
  25. 유일구, "자동차와 소비자 보호의 문제", 소비자문제연구 제45권 제3호, 2014. 12.
  26. 윤진수, "제조물책임의 주요 쟁점", 법학연구 제21권 제3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27. 이덕주 외, 상업용 민간 드론 보급 기반 구축 기획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012.
  28. 이동훈.팽기석.김유일.박부민.최성만.허환일, "UAV 추진기관의 종류 및 특성에 관한 기술적 고찰", 한국추진공학회지 제14권 제3호, 한국추진공학회지, 2010, 06.
  29. 이창현.김상중, 위험책임에 관한 연구, 법무부, 2011.
  30. 임진혁.조성식.명노해, "한국공군 비행사고 분석을 통한 조종자 오류와 유발요인 사이의 관련성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인간공학회, 2008.
  31. 장원규, 독일의 포스트 휴먼 기술법제에 관한 연구, 지역법제연구, 16-16-(3)-3.
  32. 정다은, "2009 몬트리올 협약에서의 제3자 배상책임보험에 대한 고찰", 항공진흥 , 제58호, 한국항공진흥협회, 2012, 8.
  33. 정용수, 제조물책임법상 면책사유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2008.
  34. 최병록, 드론사고의 법적책임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5
  35. 최영재 외, 드론 안전관리제도 구축 연구, 국토교통부, 2009.
  36. 최주원, "민간 무인기의 충돌회피 기술개발 동향",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제2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4.
  37. 최창희, 드론보험의 전망과 과제, KiRi Weekly 2016.8. 포커스, 보험연구원
  3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제품 국영문 인증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및 미래 인증기준 개발 기획 연구, 2012. 12.
  39. 항공안전기술원, '17년 드론 시범사업 운영관리 및 안전기준 연구, 2017.
  40. 한국교통연구원, KOTI, Aviation Brief, 2017 Vol.9/No 120-121.
  41. 홍순길, "항공기에 의한 제3자 피해보상에 관한 고찰-2009 몬트리올 신로마 협약을 중심으로,"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4권 제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09. 12.
  42. Alan Hobbs & Stanley R. Herwitz, Human Challenges in the Maintenance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San Jose State University Foundation, NASA Ames Research Center, Moffett Field, CA, (2006).
  43. Ben Webster, This is Your Pilot. You Don't Need Me, TIMES (UK), Apr. 2, (2007)
  44. David Collogan, UAVs on the Horizon: The FAA is Facing Mounting Pressure to Allow More UAVs in Civil Airspace, BUS. & COM. AVIATION, July 1, (2006).
  45. EASA, Roadmap for the integration of civil Remotely-Piloted Aircraft Systems into the European Aviation System, (2013).
  46. Guowei Cai & Ben M. Chen & Tong H. Lee, An overview on development of miniature unmanned rotorcraft systems, Frontiers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in China, March 2010, Volume 5, Issue 1.
  47. Geoffrey Christopher Rapp, Unmanned Aerial Exposure: Civil Liability Concerns Arising from Domestic Law Enforcement Employment of Unmanned Aerial Systems, 85 UNIVERSITY OF NORTH DAKOTA LAW REVIEW 623, (2009).
  48. Joachim Reuder.Pascal Brisset.Marius Jonassen.Martin Muller & Stephanie Mayer, The Small Unmanned Meteorological Observer SUMO: A new tool for atmospheric boundary layer research, Meteorologische Zeitschrift, Vol. 18, No. 2, (2009).
  49. Kevin W. Williams, Human Factors Implications of Unmanned Aircraft Accidents: Flight-Control Problems, FAA, (2006).
  50. Kim Sengupta, Unmanned Spy Planes to Police Britain, INDEPENDENT (UK), Aug. 6, (2008).
  51. Leslie Cary and James Coyne, ICAO UAS Study Group (UASSG), 2011-2012 UAS Yearbook - UAS: The Global Perspective - 9th Edition - June 2011.
  52. Naomi Norberg, Terrorism and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Dim Prospects for a Future Together, 8 Santa Clara J. Int'l L. 11, (2010).
  53. Robert Szabolcsi, A New Approach Of Certificationof The Airworthiness Of The Uavautomatic Flight Control Systems, Revista Academiei Forţelor Terestre Nr. 4 (76)/2014.
  54. Sanjiv Sharma & D. Chakravarti, UAV Operations: An Analysis of Incidents and Accidents with Human Factors and Crew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49 IND. J.AIRSPACE MED. 29, 33 (2005)
  55. Thomas D. Futc, An Analysis Of The Manpower Impac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On Subsurface Platforms, B.B.A Oklahoma University, (2005).
  56. U.S. Marine Corps,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ions, (2003).
  57. Umair Ahsun.Tabish BadarShiraz Tahir & Saeed Aldosari, Autopilot Fusion with External Pilot Inputs for Enhancing Flight Safety of UAVs, 53rd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2014).
  58. United States Army Intelligence Center Of Excellence And Fort Huachuca, STRATEGIC PLAN 2014-2019.
  59. William T. Thompson, U.S.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 Mishaps: Assessment of the Role of Human Factors Using Human Factor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 (HFACS), USAF 311TH HUMAN SYSTEMS WING,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