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using Text Mining

학술연구의 동향 및 정책과의 상호관계 분석 :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ector, research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due to changes in industrial society and policy. Theref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is relatively hig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SMEs innovation policy. Moreover, w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s.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we have identified key themes and changes in domestic policy papers published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Five-Year Plan for Innovation of SMEs". Also, we compared them with "Five-Year Plan for Innovation of SMEs" of each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the ga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has been closing over time.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studies that verify policies at the relevant time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and that policy issues are in turn influencing academic research due to government-driven polic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ime ga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Academic research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level, when the policy had been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2019~2023 five-year plan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will be announc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devising evidence-based policy.

중소기업 분야는 산업사회와 정책 변화에 기인하여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책과의 연계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전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 관련 학술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과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술연구와 정책간의 주제적 유사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해당 시기의 정책을 학술적 관점에서 검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정부주도정책으로 인해 정책적 이슈가 학술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술연구와 정책간의 시간차가 존재하는 연주주제가 나타났으며, 해당 정책이 시행되는 시기에 학술연구가 이전연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발표될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2019~2023)'의 수립에 있어 주요 논의사항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여하고, 증거 기반 정책 설계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미.이찬구 (2018),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현황과 지식구조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1호, pp. 33-63.
  2. 김병윤.정철우.김길선 (2011), "미국에서의 기술경영 논의의 진화: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9권 2호, pp. 129-152.
  3. 권기석.정서화.이찬구 (2018), "과학기술정책 연구와 사회, 정부: 과학기술의 사회이슈, 정부정책, 학술연구의 공진화 분석", 기술혁신학회지,제21권 1호, pp. 64-91.
  4. 박진영.선우연.오혜연 (2016),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조선왕조실록 내왕의 통치 스타일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741-743.
  5. 박종희.박은정.조동준 (2015), "북한 신년사 텍스트 분석, 1946-2015", 한국정치학회보, 제49권 2호, pp. 27-61.
  6. 박치성.정지원 (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 제19권 2호, pp. 73-108.
  7. 송위진 (2012), 기술혁신정책의 진화와 과제, STEPI WORKING PAPER SERIES,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이주영.정효정 (2017), "한국 과학기술계 기술혁신 논의의 흐름과 변화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과학과 기술을 중심으로, 1968-2017",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4호, pp. 1015-1035.
  9. 이용희.홍광표.박수홍 (2015), "국내 벤처기업의 창업 성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벤처창업연구, 제10권 6호, pp. 15-26.
  10. 유예림 (2017),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윤석경 (2007), "인용분석에 의한 행정학분야 학술지의 특성", 한국공공관리학보, 제21권 3호, pp. 113-139.
  12. 정효정.조용래 (20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협력-경쟁(co-opetition) 전략적 행동 특성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3호, pp. 576-606.
  13. 정효정 (2016),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혁신 분야의 국외 연구 동향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4권 4호, pp. 249-275. https://doi.org/10.14383/SIME.2016.24.4.249
  14. 최영출.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제45권 1호, pp. 123-139.
  15. 최영훈.이강춘 (2009), "학술논문 공동저술 유형 분석 : 한국행정학보(1989-2008) 기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3권 3호, pp. 51-72.
  16. 최현도 (2014),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와 학술연구 간의 상호관계연구:2008-2011년 주요 일간지와 학술지에 대한 질적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4호, pp. 763-785.
  17. 하선권.김성준 (2016), "한국의 규제연구 동향 분석-행정학과 정책학 분야의 키워드네트워크 분석", 사회과학논집, 제47권 1호, pp. 81-104.
  18. Bartzokas, A. and Teubal, M. (2002), "A Framework for Policy Oriented Innovation Studies in Industrialising Countries",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Vol.11, No.4-5, pp. 477-496. https://doi.org/10.1080/10438590200000009
  19. Blondel, V. D., Guillaume, J. L., Lambiotte, R. and Lefebvre, E. (2008), "Fast Unfolding of Communities in Large Networks", Journal of Statistical Mechanics: Theory and Experiment, Vol.2008, No.10, pp. P10008. https://doi.org/10.1088/1742-5468/2008/10/P10008
  20. Chaminade, C. and Edquist, C. (2006), "From Theory to Practice: The Use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in Innovation Policy", In Chaminade, C. and Edquist, C. (eds.), Innovation, Science and Institutional Chan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1. Clauset, A., Newman, M. E. and Moore, C. (2004), "Finding Community Structure in Very Large Networks", Physical Review E, Vol.70, No.6, pp. 066111. https://doi.org/10.1103/PhysRevE.70.066111
  22. Deshpande, M. and Karypis, G. (2004), "Item-based top-N recommendation Algorithms",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Vol.22, No.1, pp.143-177. https://doi.org/10.1145/963770.963776
  23. Freeman, L. C.(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No.3, pp. 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24. Lee, P. C. and Su, H. N. (2010),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search through Keyword Co-occurrence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novation, Vol.12, No.1, pp. 26-40. https://doi.org/10.5172/impp.12.1.26
  25. Liu, Z., Yin, Y., Liu, W. and Dunford, M. (2015), "Visuali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nd Evolution of Innovation Systems Research: A Bibliometric Analysis", Scientometrics, Vol.103, No.1, pp. 135-158. https://doi.org/10.1007/s11192-014-1517-y
  26. Mytelka, L. K. and Smith, K. (2002), "Policy Learning and Innovation Theory: An Interactive and Co-Evolving Process", Research Policy, Vol.31, No.8-9, pp.1467-1479. https://doi.org/10.1016/S0048-7333(02)00076-8
  27. Pawson, R. (2006), Evidence-Based Policy: A Realist Perspective, London: Sage.
  28. Zhu, W. and Guan, J. (2013). "A Bibliometric Study of Service Innovation Research: Based on Complex Network Analysis", Scientometrics, Vol.94, No.3, pp. 1195-1216. https://doi.org/10.1007/s11192-012-08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