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ttribution of the security guard failure and grope for efficient operational measures of security guard through the analysis of failures : propensity eduction of failure-factors of security guard and patterns of danger and injury

경호실패귀인과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경호운용방안 모색 : 경호환경의 실패요인과 위해패턴 성향 도출

  • 김상진 (용인대학교 학점은행제 경호비서학 전공)
  • Received : 2018.02.22
  • Accepted : 2018.03.23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failure attributions to identify the failure factors of the security guards and to derive the risk factor factors through failure cases analysis. Failure attributions were prepared by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17) and closed questionnaires(179) starting from the fully open questionnaires(8), and process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O statistical packages. As a result of summari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ilure attribution and the failure case (patrol failure pattern factor), In Park Jung-Hee's assassination, lack of experience(2), negative mind(1), lack of work ability(1), lack of experience(2), organizational non-system activeness(2), lack of awareness of mission(1) Failure(2), lack of consciousness(2), and 14 failure patterns were found. Aung-San National Cemetery explosion occurred in eight failure patterns including insecurity(1), negative mind(1), lack of work skills(2), lack of experience(2), individualism(1), There were eight failure patterns in the case of Mr. Yook Young-Su 's sniping, including insincerity(2), negative mind (1), lack of experience(2), lack of awareness of mission(2) and failure to share work(1).

본 연구는 경호원의 실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패귀인을 추출하고, 사례통합분석을 통하여 위해패턴 요인을 도출하였다. 실패귀인은 완전 개방형 질문지(8명)를 시작으로 반구조화 질문지(17명), 폐쇄형 설문지(179명)를 제작하여 SPSS 21.0, AMOS 21.O 통계패키지를 통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실패귀인과 실패사례 간의 인과관계(경호 실패패턴 요인)를 분석한 결과, 박정희 암살사건에서 불성실(2), 부정적 마인드(1), 업무능력부족(1), 경험부족(2), 조직의 비체계성(2), 사명의식결여(1), 개인주의(1), 업무공유실패(2), 사명의식결여(2) 등 14개의 실패 패턴이 발견되었고, 아웅산 묘소 폭발사건은 불성실(1), 부정적 마인드(1), 업무능력부족(2), 경험부족(2), 개인주의(1), 업무공유실패(1) 등 8개의 실패패턴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육영수여사 저격사건의 경우, 불성실(2), 부정적 마인드(1), 경험부족(2), 사명의식결여(2), 업무공유실패(1) 등 8개 실패패턴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3개 사례와 실패귀인 요인간의 관계에서 총 30건의 실패패턴이 발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 강현철. 'LISREL(SIMPLIS)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 서울 : 자유아카데미, 2001.
  2. 김계수,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 한나래 출판사, p.374, 2009.
  3. 신영석, "버마아웅산 폭발사건 3주년: 우리는 그 날을 잊을 수 없다.", 통일한국 34, pp.47-49, 1986.
  4. 배을규․동미정․이호진, "전문성 연구 문헌의 비판적 고찰: 성과, 한계, 그리고 HRD 함의", HRD硏究13(1), 2011. p.7.
  5. 서상열, "要人테러의 위기관리 사례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4, 2007.
  6. 이기종,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2000.
  7. 이두석, "위해사례 분석을 통항 경호 위기관리시스템 설정 방안",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2, 2008.
  8.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 교육과학사, 2000.
  9. 유형창, "사례분석을 통한 경호 전문성 제고",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8, pp.88-90, 2009.
  10. 유형창․김태민, "위해사례분석을 통한 경호제도의 발전방안", 경호경비연구 16, 2008.
  11. 이상철, '경호현장운영론', 인천: 진영사, 2008.
  12. 이영래, "요인테러 발생원인과 경호실패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3. 이지훈, "한국 태권도 지도자의 귀인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 2007.
  14. 채경석, '위기관리정책론', 서울: 대왕사, p.46, 2004.
  15. Brnatingham, Paul J. & Patricia L., Brantig ham.(ed.), 'Enviromental Criminology', Beverly Hills and London: Sage Publications, p.7, 1991.
  16. Herling. R. W., "Operational definitions of expertise and competence",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2(1), pp.8-21, 2000. https://doi.org/10.1177/152342230000200103
  17. Moscovici, S., 'On social representation', In R. M. Farr & S. Moscovici(Eds), 'Social representation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riss4u.net, 경호학 박사학위, 2017.11.05.
  19. Strauss &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신경림 역,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1998.
  20. Wikipedia, http://en.wikipedia.org, 'professional', 'expert', 2017.11.05.
  21. Yin, Rober K., 신경식.서아영역, '사례연구 설계', 서울: 한경사, pp.98-198 2008.
  22. Zeelenberg, Marcel, and Rik Pieters., "Beyond Valence in Customer Dissatisfaction: A Review and New Finding on Behavioral Responses to Regret and Disappointment in Failed Servi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4), pp.445-455, 2004. https://doi.org/10.1016/S0148-2963(02)002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