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력충돌 형태 변화 연구

Study on the Change of Armed Conflict

  • 투고 : 2018.11.30
  • 심사 : 2018.12.18
  • 발행 : 2018.12.31

초록

전쟁은 국제 사회에서 국가의 외교 정책, 안보, 영광, 위상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이 논문은 1945년 이후 세계전쟁을 정리하여 전쟁의 형태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자료는 캠브리지 대학에서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위 사실을 통해 3가지 중요한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첫째, 1945년 이후에 발생한 전쟁 중 겨우 18%만이 국가 대 국가 형태의 전쟁이었던 것으로 보아 이전보다 국가 간의 전쟁이 급격히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둘째, 전쟁은 모든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로 일정한 규칙을 지니고 일어날 것이라는 현실주의자와 신 현실주의자들의 예측이 빗나갔다는 점이다. 지난 50년 동안 국가 간의 전쟁이 없었던 지역은 3군데나 있었다. 또 같은 기간 동안에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전쟁도 일어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열강들에 의한 전쟁이 없었다는 점이다. 1945년 이후 대부분의 전쟁은 '국가의 자유'를 위한 전쟁이었다. 이들 전쟁은 국가 내에 존재하는 비합법적인 통치를 종식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미래의 전쟁형태 변화에 대한 여러 측면에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Conflicts arise as a result of war in relation to government within the country, the status and role of the stat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orm of war after the world war in 1945. These facts lead us to three important conclusions. First, only 18% of the wars that occurred after 1945 were national-to-national wars. Second, war will take place in all regions with certain rules in a similar fashion. The realist and neo-realist predictions were miss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re was no war by the a great power.

키워드

참고문헌

  1. 하광희, "21세기전쟁"(서울; 한국국방연구원, 2010), pp.27-28
  2. Levy, 1983, War in the Modern Great Power System, 1495-1974, Lexington; University
  3. 노병천, "도해손자병법"(서울; 한원, 1990),p.26
  4. 박상철, "한국정치법학론"(서울; 리북, 2008), p.338
  5. Ekwe Ekwe, Herbert, 1990, Conflict and Intervention in Africa; Nigeria, Angola, Zaire. London; Macmillan, pp.281-282
  6. Nietschmann, Bernard, 1987, The Third World War, Cultural Survival Quarterly 11, p.16
  7. 지구용, "제4세대 전쟁 대응전략으로서 소프트파워 역할과 조건"(국방대 석사논문, 2014), p.4
  8. Waltz, Stephen, 1992, Revolution and War, World Politics 44, April, p.321 https://doi.org/10.2307/2010542
  9. 박이송, 나종남, "하이브리드 전쟁"(한국군사학논집 Vol.71 No 3, 2015), p.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