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연계 교육방안

The Study on Read-write Education Metho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for the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ague

  • 유용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투고 : 2018.11.28
  • 심사 : 2018.12.30
  • 발행 : 2018.12.31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읽기-쓰기 연계 교육방안을 고찰하였다. 읽기-쓰기 연계 교육은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의 동시에 향상시킨다. 이에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연계 교육 모형을 '읽기-쓰기-첨삭'으로 구성하고 이에 적합한 실행방안을 도모하였다. 구체적인 실행은 보고서를 중심으로 읽기-쓰기 연계를 실습하는 것이다. 이는 읽기에서 메모 및 요약 틀을 제시하여 작성하고 쓰기에서 읽기의 메모 및 요약 틀을 적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첨삭은 교수자가 읽기-쓰기의 전 과정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보고서를 활용한 부사관과의 읽기-쓰기 방안은 부사관에게 필요한 보고서 양식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업무와 관련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끝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ook deeper into a read-write education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petty officer majoring students in community colleague level.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improve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is modified to a 'read-write-correction' education method and the method is planed proper ways to run the course of the education. A writing report class method which is based on 'read-write' education method is the key process of this education. the education method suggests directions of a taking memo and a guideline of summarizing from the reading part, and the directions of a taking memo and a guideline of summarizing are used on report writings class from the writing part of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The correction part of the education method is controlled by instructors under a process of the 'read-write-correction.' The read-write education method by using the report writing helps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ies in work fields because the report writing is based on utilizing document formats that can be used future in petty officer work filed. For the last, the study mentions a proposal for further tasks on this field of the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송준화.천명희, "국가안보에 적합한 인력양성을 위한 부사관 후보생의 의사표현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융합보안, 제14권, 제6호, p. 122, 2014.
  2. 김정녀, "대학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와 교육방안", 한민족문화연구, 제44권, p. 447-450, 2013. 참조
  3. 김승환, '독서교육과 독서활동', 강남대학교 출판부, pp. 33-35, 2006. 참조.
  4. 윤정옥, "읽기와 쓰기의 통합에 의한 설명적 글지도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 제17권, pp. 232-262, 1997. 참조
  5. 김혜정, "읽기쓰기 통합과정에서 의미구성의 내용과 이행과정 연구", 독서연구, 제11호, 2004.
  6. 이선옥, "대학 글쓰기에서 자료 읽기와 쓰기 교육의 통합 방향성 모색", 국어국문학회, 제149호, 2008.
  7.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대학작문, 제1호, 2010.
  8. 이재승, "읽기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 독서연구, 제11호, 2004.
  9. 김미란,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대학작문, 제5호, 2012
  10. 윤정옥, "읽기와 쓰기에 통합에 의한 설명적 글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2017. 참조.
  11. 전인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석사논문, pp.13-17, 2014.
  12. 신헌재.이재승,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박이정, pp. 29-30, 1997.
  13. 이재승, "읽기 쓰기 통합 지도의 방법과 유의점", 독서연구, 제11호, 2004. 참조.
  14. 사고와표현편찬위원회 편, '사고와표현', 노스보스, pp. 99-125. 2013. 참조.
  15. 유용태,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 연구", 융합보안, 제18권, 제2호, p. 126, 2018.
  16. 유용태, "안보환경에 적합한 해군부사관과의 의사소통 교육방안 연구:맥락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융합보안, 제16권, 제3호, p.48, 2016.
  17. 유용태, "전문대학 부사관과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 교육방안 연구", 융합보안, 제18권, 제2호, p. 128, 2018. 참조
  18. 아사다 스쿠루 저, 서경원 역, '종이 한 장으로 요약하는 기술', 시사일본어사, pp.70-88. 2016.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