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약자를 위한 정보매체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ing of Information Media for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 Focused on Foreigners Workers in South Korea

  • 구효정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
  • 주성빈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 투고 : 2018.11.30
  • 심사 : 2018.12.30
  • 발행 : 2018.12.31

초록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적 구조 변화로 인해 재난에 취약한 계층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 양극화, 국제화 추세가 심화됨에 따라 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외국인, 다문화 가정 등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불리는 이들이 재난에도 취약한데 흔히, '재난약자'라고 불린다. 재난약자들은 재난 발생시에 일반인과 달리 재난정보 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등, 자력으로 신속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과 관련된 정책이 필요하다. 물론, 최근에 재난약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외국인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이는 그들에 대한 재난에 대한 이해나 대처방법에 대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한국인의 시각과 관점에서 관련 정책을 마련하게 되고, 결국 국내 체류 외국인들은 관련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난정보에 대한 인식과 획득경로 등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들이 빈번하게 접하는 정보매체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실질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Korea is increasingly vulnerable to disasters due to changes i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elderly people, disabled people, basic livelihood recipients, foreigners, multicultural families, etc. who are vulnerable to social problems due to aging, polar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ese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disaster information and to respond promptly by self-help. Of course, recent studies on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discussions about foreigners have been relatively inadequate. This has led to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disaster and coping methods. Once general situations set in, foreigners staying in Korea will suffer from a vicious cycle of policy-making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and difficulties in obtaining relevant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the recognition and acquisition path of disaster information for foreign workers living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 derived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formation, such as ways to understand and actively utilize information media frequently visited by foreign worker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도형.라정일.변성수.이재은(2017), 대규모 재난 시 재난약자 지원방안, 전국재해구호협회.
  2. 장한나(2016), 재난약자의 안전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국정관리연구, 11(2): 1-25.
  3. 부산광역시청 사이트, 2018년 11월 1일 검색; 부산광역시 여성가족 사이트, 2018년 11월 1일 검색.
  4. 법무부(2018), 출입국.외국인정책 외부용 통계월보, 2018년 9월호.
  5. 防災白書, 平成3年; 防災白書, 平成30年; 内閣府, 防災情報, 2018년 11월 25일 검색.
  6. 황현락(2012). 사회적 약자보호를 위한 국가인권보호 활동의 발전방향: 경찰의 치안대책을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12(2): 71-86.
  7. 심기오 외(2010). 재난약자 방재대책 실태조사 및 분석. 서울: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8. 변성수 외(2018). 한국의 재난약자 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4(5): 15-34.
  9. 심기오 외(2010). 재난약자 방재대책 실태조사 및 분석. 서울: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방재연구소.
  10. 이민영(2006). 정보매체의 규제법리에 관한 연구: 통신방송융합에 따른 형식규제와 규제 조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윤영숙(2004). 정보매체의 이미지 표현에 관한 도자 조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수연.안효범(2015).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재난안전 정보 보호에 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7(7): 97-102.
  13. 기상청 사이트, 2018년 11월 2일 검색.
  14. 생활안전지도 사이트, 2018년 11월 2일 검색.
  15. 행정안전부 사이트, 2018년 11월 1일 검색.
  16. THE KOREA TIMES, 2017년 8월 3일 기사.
  17.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Bevery Hills, Calif: Sage.
  18. Polkinghorne,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R. S. Valle & S. Halling (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in psychology: Exploring the breadth of human experience (pp. 41-60). New York, NY, US: Plenum Press.
  19. Creswell, J. W. (2015).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