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페이스북광고의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Case Study for the Communication Elements of Facebook Advertising

  • 김종민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전공)
  • 투고 : 2018.07.03
  • 심사 : 2018.08.22
  • 발행 : 2018.09.28

초록

본 연구는 사용자를 통한 실험 및 심층면접을 통해 최근 많은 광고물량이 몰리고 있는 페이스북 광고운영에 도움이 되는 요소가 무엇이 있는지 모바일매체를 중심으로 찾아보는 탐색적 논문이다. 연구 방법은 모바일광고, 그리고 모바일광고 내 매체현황, 콘텐츠성향, 광고회피현상을 고찰한 후, 남녀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자 자신의 페이스북을 30초간 체험하게 하여 사용과정에서의 물리적 행위를 관찰하고, 실험 후 토론을 기반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광고의 긍정적 요인와 부정적 요인으로 나누어 논할 수 있었다.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동안 광고를 좋게 보이게 해주는 긍정적 요인으로 네이티브 광고디자인 효과, 지인 효과, 검색 효과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페이스북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회피를 쉽게 해주는 광고의 부정적 요인으로 초당 평균 1.5-3회의 빠른 스크롤 행위로 광고스킵이 가능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정적 행위에 해당하는 빠른 스크롤 행위는 앞서 언급한 긍정적 요소들과 더불어 페이스북은 모바일 상에서 다른 매체 대비 광고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지 않다는 의견이 나왔다.

This study will analyze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advertising system in Facebook, one of the leading social platforms.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trend of mobile advertisement and observing Facebook users behavior. During 30second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behaviors of 5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ich they access and use their own Facebook individually. After the observation, the researcher did an in-depth analysis based on offline discussion with tested participants. As a result, it can be classified in positive causes and negative causes of the advertisement. There are 3 positive causes; native advertisement effect, acquaintance effect, and big data effect and they help people watch the advertisement positively. 1.5-3 times per second high speed scroll behavior (Finger effect) is the main negative cause and it help users escape from the advertisement easily. These positive and negative causes have an interactive synergy which reduces user stress and makes people enjoy ad more than other media. Finally, both of them cause making Facebook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advertis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04387
  2. 고흥석, 신중현,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7, 2018.
  3. 나스미디어, "Online/Mobile Media Issue 2017전망," 나스미디어 트렌드전략팀, 2017.
  4. http://www.sedaily.com/NewsView/1RUIJ4P9LY/GD05
  5. 황유선, "페이스북 일상담화의 감정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9, 2016.
  6. 김유정,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 자아속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29, 2017.
  7. 허서정, 조창환, "소비자의 페이스북 바이럴광고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8권, 제3호, p.73, 2017.
  8. http://www.techcrunch.com/2018/07/10/facebook-ar-ads
  9. http://www.venturebeat.com/2018/04/18/facebook-is-testing-a-new-playable-ad-format-for-trying-games-no-installation-required/
  10. 오연주, "제일 짜증나는 광고는 모바일광고.. 인터넷, 케이블순," 헤럴드경제, www.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223000864
  11. 양윤직, 조창환,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92호, p.373, 2012.
  12. DMC MEDIA, 2016소셜미디어 이용행태 및 광고접촉태도 분석보고서, DMC report, p.16, 2016.
  13.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8/30/0200000000AKR20170830164600033.HTML?input=1195m
  14. DMC MEDIA, 2016소셜미디어 이용행태 및 광고접촉태도 분석보고서, DMC report, p.14, 2016.
  15. http://www.itworld.co.kr/news/105144#csidx72502dc85992b84b7a147424068960f
  16. 양윤직, 조창환, "광고매체별 광고회피수준과요인에관한연구," 광고연구, 제92호, p.370, 2012.
  17. 주이연, 광고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3, 2016.
  18. 이경렬, "페이스북 광고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0권, 제4호 p.78, 2012.
  19. 정다혜, 소셜 미디어 상의 네이티브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64-65, 2015.
  20. 강병기, 정광태, 이재인, "휴대용 정보기기에서의 스크롤링 디자인에 관한 시각패턴 및 성능 평가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89호(Vol.23 No.3), p.268, 2010.
  21. http://www.itworld.co.kr/news/105144#csidx72502dc85992b84b7a147424068960f
  22.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11/0200000000AKR20170511036800033.HTML?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