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Perceived by the Mother of a Handicapped Child on Parenting Stress: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협력정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강호 (영남이공대학교 사회복지.보육과)
  • Received : 2018.08.21
  • Accepted : 2018.09.07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perceived by the mother of a handicapped child on parenting stress and find out if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and parenting stress.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surveyed 145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ho are using the day care center exclusive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perceived by the mother of a handicapped child has direct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Secondly,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perceived by the mother of a handicapped child has direc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Thirdly,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degree of cooperation of the spouse and parenting stress, which means that parenting efficacy increases as the mother perceives that she is receiving more cooperation of the spouse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child and the increased parenting efficacy has an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협력정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배우자의 협력정도와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아 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145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협력정도는 양육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협력정도는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배우자의 협력정도와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장애아동 양육과정에서 어머니는 배우자의 협력을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양육효능감이 높아지고, 높아진 양육효능감은 양육스트레스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재익,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89-109, 2010.
  2.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 2017.
  3. 장은정,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논문고찰: 200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제5권, 제2호, pp.123-137, 2007.
  4. 전병주, "아동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복지서비스 인식 및 삶의 질 관계,"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492-502, 2016.
  5. 한선혜, 박승호, "자폐성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자폐성장애연구, 제15권, 제1호, pp.87-120, 2015.
  6. 이주옥, "일반 유아 어머니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5호, pp.403-428, 2008.
  7. 이은주, "취학 전 유창성 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비교," 특수교육, 제8권, 제2호, pp.203-218, 2009.
  8. 김현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장애아동 학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8권, 제1호, pp.113-134, 2014.
  9. G. R. Patterson, "Stress: A Change Agent for Family Process," pp.235-264. in Stress, Cop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edited by N. Garmezy & M. Rutter. New York: McGraw-Hill. 1983
  10. F. J. Floyd, L. A Gilliom, and C. L. Costigan, "Marriage and the Parenting Alliance: Longitudinal Prediction of Change in Parenting Percep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Vol.69, No.5, pp.1461-1479, 19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224.x
  11. F. Lionetti, M. Pastore, and L. Barone, "Parenting stress: The roles of attachment states of mind and parenting alliance in the context.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Vol.15, No.2, pp.75-91, 2015. https://doi.org/10.1080/15295192.2015.1020142
  12. 김미량, 이연주, 이정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여가제약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366-37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66
  13. 임원균, 오은경,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요인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1권, pp.173-200, 2014.
  14. 김정, 이지현,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6권, 제5호, pp.245-261, 2005.
  15. 이한우,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6. 하수민,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7. 이정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5-19, 2003.
  18. 노성향,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제14권, 제3호, pp.45-59, 2014.
  19. 현경미, 강대옥, "장애자녀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pp.119-139, 2017.
  20. T. Wysocki and L. Gavin, "Parental Involvement in the Management of Pediatric Chronic Diseases: Associations with Adherence, Quality of Life, and Health Stasu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Vol.31, No.5, pp.501-511, 2006. https://doi.org/10.1093/jpepsy/jsj042
  21. D. M. Teti and D. M. Gelfand,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Vol.62, No.5, pp.918-929, 1991. https://doi.org/10.2307/1131143
  22. 문혁준, "취학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제26권, 제5호, pp.139-149, 2005.
  23. 한유미, 오경숙, "부부간의 부모효능감에 따른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제19권, 제4호, pp.547-558, 2008.
  24. 김덕주, 용미현, "장애아동 부모의 작업수행능력과 여가만족이 장애아동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587-59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587
  25. 김인옥, 이원령,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7권, 제1호, pp.101-120, 2011.
  26. 임은자, 지체장애여성 자녀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양육행동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7.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28. 이지영, 이정희, "초등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제9권, 제3호, pp.443-458, 2018.
  29. 배인숙, 자폐아동의 적응행동 수준과 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30. 김선해, 박지연,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pp.183-200, 2010.
  3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2.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대학가정학회지, 제43권, 제4호, pp.111-123, 2005.
  33. 김고은, "장애아동 아버지의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2호, pp.443-465, 2011.
  34. 박선원,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체계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594-61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