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Network Structure on Legislative Performance in Cosponsorship Networks

공동발의 네트워크에서 국회의원의 네트워크 구조가 입법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일정 (경기대학교 지식정보서비스대학 경영정보전공)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10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I investigated whether network structure of legislators affects legislative performance in a cosponsorship network. I presented the theoretical basis with network closure and structural holes, and analyzed the network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of Republic of Korea. In the directed and weighted network, each tie means that cosponsors support the bill sponsors proposed. The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initiatives and the ratio of reflected legislation, and the network structure was measured by size, density, hierarchy, and constraint. I found that the legislators with brokerage structure have a lot of initiatives in making connection with many legislators in various groups and the legislators with hierarchical structure have the higher ratio of reflected legislation with the continuous and strong support from the members of their group. I also found that the network of ruling party lawmaker is more hierarchical than the network of opposition lawmaker.

본 연구는 공동발의 네트워크에서 국회의원의 자아 네트워크 구조가 입법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결속 이론과 구조적 공백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19대 국회의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의안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동발의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공동발의자가 대표발의자를 지지하는 방향성이 있고 가중 값을 갖는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입법 활동의 성과는 발의건수와 반영비율로 측정하였으며, 네트워크 구조의 특성은 크기, 밀도, 계층성, 제약성으로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회귀분석, 평균비교의 결과에 의하면, 자아 네트워크가 중개 구조를 갖는 의원은 다양한 집단의 다수 의원들과 정치적 또는 사회적 관계를 맺으면서 결속 구조를 갖는 의원들보다 많은 법안을 발의한다. 그리고 자아 네트워크가 결속(계층) 구조를 갖는 의원은 소속 집단의 의원들과 지속적이고 강한 지지를 교환하면서 법안의 반영비율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야당 의원들은 여당 의원들보다 제약성이 낮고 다수의 법안을 발의하는 반면, 여당 의원들은 야당 의원들보다 계층성이 높고 법안의 반영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전진영, "국회 원내지도부의 입법영향력 분석: 상위원회 지도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13권, 제2호, pp.193-218, 2014.
  2. 정희옥, 장혜영, "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국회 생산성의 관계: 18대 국회를 대상으로,"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2호, pp.49-74, 2013.
  3. 문우진, "국회의원 개인배경과 입법: 입법 메커니즘과 16대와 17대 국회의 입법생산성," 의정연구, 제3권, 제2호, pp.35-67, 2010.
  4. 손병권, "의원의 의정활동: 의원의 상임위원회 활동 참여에 대한 평가와 전망," 한국정당학회보, 제3권, 제2호, pp.199-224, 2004.
  5. 염유식, "16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법안 가결에 관한 연결망 분석-의원들의 중개자 역할 (brokerage)이 법안 가결여부에 미치는 영향," 법과 사회, 제32권, pp.59-184, 2007.
  6. 이현우, "국회 상임위원회의 법안 공동발의 연결망 분석: 18대 문방위 발의안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제74호, pp.99-131, 2011.
  7. 장덕진, "17 대 국회의 정책 네트워크 연구-공동발의와 친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10권, 제2호, pp.157-187, 2011.
  8.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J. C. Johnson,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2018.
  9. 이경선, "국회 의원입법 공동발의 제도에 관한 시론적 비평," 입법학연구, 제12집, 제2호, pp.57-90, 2015.
  10. J. H. Fowler, "Connecting the congress: A study of cosponsorship networks," Political Analysis, Vol.14, No.4, pp.456-487, 2006. https://doi.org/10.1093/pan/mpl002
  11. 이병규, "중개자 역할의 유지 매커니즘: 17대 국회 법안발의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085-1104, 2009.
  12. M. Everett and S. P. Borgatti, "Ego network betweenness," Social Networks, Vol.27, No.1, pp.31-38, 2005. https://doi.org/10.1016/j.socnet.2004.11.007
  13. R. S. Burt, Brokerage and closure: An introduction to social capital,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 P. S. Adler and S. W. Kwon,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1, pp.17-40, 2002. https://doi.org/10.5465/AMR.2002.5922314
  15.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6. B. Uzzi, "Th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embeddedness for the economic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The network effec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674-698, 1996.
  17. D. M. Rousseau, S. B. Sitkin, R. S. Burt, and C. Camerer,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3, pp.393-404, 1998. https://doi.org/10.5465/amr.1998.926617
  18. M. S.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No.6, pp.1360-1380, 1973. https://doi.org/10.1086/225469
  19. R. S. Burt,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0. http://likms.assembly.go.kr/bill/main.do
  21. http://www.rokps.or.kr
  22. 윤종빈, "국회의원 의정활동의 평가 통합 모형 연구," 의정연구, 제12권, 제2호, pp.31-51, 2006.
  23.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L. C. Freeman, Ucinet 6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Analytic Technologies, 2002.
  24. S. Martin, W. M. Brown, R. Klavans, and K. Boyack, "OpenOrd: An Open-Source Toolbox for Large Graph Layout," Proc. SPIE Conference on Visualization and Data Analysis, p.786806, 2011.
  25. 가상준, "한국 국회는 양극화되고 있는가?," 의정논총, 제9권, 제2호, pp.247-272, 2014.
  26. 이병규, 염유식, "17대 국회의원들간 공동발의 연결망 형성의 메커니즘 분석," 현대사회와 문화, 제29권, pp.33-6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