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enefit-Cost analysis for Korea Lithium-ion Battery Waste Recycling project and promotion plans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 사업의 경제성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 Mo, Jung-Youn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 Received : 2018.07.07
  • Accepted : 2018.09.0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Korea faces major changes in energy policy, which include eco-friendly and zero-nuclear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ery few policies for the waste-management of mid- to large-sized lithium-ion batteries, such as electric car batteri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explosively due to such energy policy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the amount of mid- to large-sized lithium ion batteries waste and performed economics analysis of a middle and large sized secondary battery recycling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a policy alternative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related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industry is suggested. As a result, the B / C ratio of a domestic mid - to large - sized lithium ion battery recycling project is 1.06, in which the benefit is higher than the cost, so the business is economic feasible. Although the recycling project's economic efficiency is high, the recycling industry has not been activated in Korea because the domestic demand for rechargeable batteries recycling is very low.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activate the industry by adding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o the 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items.

현재 우리나라는 친환경 및 원전비중 축소라는 에너지 정책의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폭발적 증가가 예상되는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중대형 이차전지의 폐기물 사후관리체계 및 관련 정책은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중대형 리튬이온전지의 철거량을 추정해보고,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 산업의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 산업의 수익성 분석 및 관련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 결과 국내 중대형 리튬이온전지 재활용 사업의 경우 B/C 비율이 1.06으로 편익이 그 비용보다 높아 사업의 경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 사업의 경제성이 높고, 현재 국내에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 관련 부분적 원천기술 및 응용기술이 확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 활성화가 되지 않는 이유는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의 법제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국내 수요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산자책임재활용 제도의 의무대상 품목에 리튬이차전지를 추가하여, 중대형 이차전지 재활용의 국내 수요 확대를 통한 산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ae Woo An et al, "trends in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 batteries",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Vol.26, No.2 pp.14-22, 2013.
  2. Jung Soo Son, "Lithium secondary battery recycling technology trend", Ceramist, Vol.13, No.5, p.45-53, 2013.
  3. Joint ministry, "The third environment-friendly automobile development and diffusion plan", p.1-37, Joint ministry, 2012.
  4.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alysis of Construction Expenses Classified by Public Facilities", pp.1-265, Public Procurement Service, 2017.
  5. SNE Research, "Global ESS Market Forecast(2015-2025)", pp.1-131, SNE Research, 2017.
  6. EU, "DIRECTIVE 2006/66/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6 September 2006 on batteries and accumulators and waste batteries and accumulators and repealing Directive 91/157/EEC", 2016
  7. KOMIS, Korea Mineral Resource Information Service (https://www.kores.net/), 0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