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고애란. (2008). 서양복식의 문화와 역사. 서울: 교문사.
- 국제고딕양식. 미술대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9155&cid=42635&categoryId=42635
- 국제고딕양식. 세계미술용어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893903&cid=42642&categoryId=42642
- 국제고딕양식.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국제고딕
- 극단. 국어대사전. 자료검색일 2018. 1. 10, 자료출처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5125600
- 남윤숙. (2001). 중세복식에 나타난 성(性)의 이론적인 사고. 한국의류학회지, 25(7), 1281-1292.
- 밀플뢰르.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2. 15, 자료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Millefleur
- 박소연. (2016). 후기 고딕 초상화의 헤드드레스를 응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연구. 패션디자인학회지, 16(2), 19-32.
- 박숙현. (1999). 모던 고딕 시대와 포스트모던르네상스 시대 복식의 유사성 비교. 한국생활과학학회지, 8(1), 193-210.
- 박영신. (2007). 고딕 회화. 서울: 재원.
- 백재은. (2003). 고딕양식이 복식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9(3), 47-60.
-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송옥, 이은영, 황선진, 김미영. (2014). 패션과 문화. 서울: 교문사.
- 윤점순. (1988). 중세와 근세복식의 구조적 분석.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순홍. (1997). 중세유럽의 생활미술과 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복식, 35, 17-44.
- 이연희, 성광숙. (2016). 서양의 역사복식에 나타난 과장적 헤어스타일의 미적특성 연구. 복식, 65(8), 110-124. https://doi.org/10.7233/jksc.2015.65.8.110
- 전여선. (2013). 예술적 패러다임 전환기에 나타난 서양복식의 미적특성과 현대패션의 표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정현숙. (1986). 십자단 전쟁이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11세기-15세기 중반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4(1), 17-26.
- 정명선, 배수정, 조훈정, 현선희, 김성은. (2011). 패션과 문화.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 정은진. (2009). 15세기 태피스트리의 새로움: 장미, 유니콘, 밀플뢰르. 미술사학보, 32, 5-27.
- 정흥숙. (1999). 서양복식문화사(개정판). 서울: 교문사.
- 조현진, 김영삼, 정흥숙. (2004). 11-15세기 중반기사문화가 중세복식에 미친 영향. 복식, 54(4), 27-40.
- 플랑부아양식.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8. 2. 15,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9748&cid=40942&categoryId=33077
- 추. 세계미술용어사전. 자료검색일 2018. 2. 20,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5109&cid=42642&categoryId=42642
- 태피스트리. 위키피디아. 자료검색일 2018. 2. 20, 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D%83%9C%ED%94%BC%EC%8A%A4%ED%8A%B8%EB%A6%AC
- Boehn, M. V. (2000). 패션의 역사 (정인희 역). 서울: 한길아트. (원저 1996 출판).
- Black, J. A., & Garland, M. (1997). 패션의 역사 1 (이재원 역). 서울: 자작아카데미. (원저 1980 출판).
- Durande, J. (2006). 중세 미술 (조성애 역). 서울: 생각의 나무.
- Horne M. ,Gurrel L. (1995). 의복, 제2의 피부, (이화연 외 역). 서울: 까치 (원저 1981 출판).
- Kaiser, B. Susn. (1990). 복식사회심리학 (김순심 외 역). 서울: 경춘사.
- Koda, H. (2001). Extreme Beauty, The body transformed. N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 Legrand, G. (2006). 르네상스 (정숙현 역). 서울: 생각의 나무.
- Mirkin, T. F. (1996). 패션 속으로 (허준 역). 서울: 새로운 사람들.
- Payne, B. (1988). 복식의 역사 (이종남 역). 서울: 까치 (원저 1965 출판).
- Retz, R. M. (1996). 르네상스의 미술 (김창규 역). 서울: 예경.
- Shaver, C. A. (1996). 중세의 미술 (김수경 역). 서울: 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