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부모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모형 분석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강미숙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박남심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이승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투고 : 2018.08.14
  • 심사 : 2018.10.03
  • 발행 : 2018.10.31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on 321 child care teacher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existed among variables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payment/promotion and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 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parent partnership on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confirm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partnership are preceding factors for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Significa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hild care teachers'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eacher-parent relationships to promote the quality of child care and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미, 이선경 (201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97-414. doi:10.22251/jlcci.2017.17.13.397
  2. 고혜진 (2009). 부모-교사 협력행동과 부모-교사 신뢰관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보건복지부
  4. 권량희, 이진희 (2015).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간의 관계. 아동교육, 24(2), 93-107. doi:10.17643/KJCE.2015.24.2.06
  5.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6. 김영관 (2011).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희, 박지현 (2014).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135-152. doi:10.18023/kjece.2014.34.3.007
  8. 김현지 (200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 척도 개발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1-19.
  9. 문수아 (2015).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언어능력의 매개효과 및 모 취업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문채련, 이소은 (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11. 박혜숙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서유현 (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손환희 (2009).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손희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손희진, 성지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2), 191-209. doi:10.5723/KJCS.2014.35.2.191.
  16. 송유진 (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18. 안선희 (2004). 부모참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7-49.
  19. 안수연 (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안정현 (201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양수빈 (2016).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인숙 (2010).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정아 (2004).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미혼교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임우영 (2010). 유치원교사의 부모-교사 협력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26.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27. 정다워 (2007). 보육교사 관련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정다워, 이숙 (2008). 보육교사 관련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1), 31-52.
  29. 정덕희 (2014).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에서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양상. 아동교육, 23(1), 321-343.
  30. 통계청 (2017. 6). 2016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현황.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61185&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에서 2018년 8월 6일 인출.
  31.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2. Belsky, J., & Eggebeen, D. (1991). Early and extensive maternal employment and young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re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4), 1083-1098. doi:10.2307/353011
  33.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4. Bryan, J. (2005). Fostering educational resilience and achievement in urban schools through schoolfamily community partnership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8(3), 219-227.
  35. Fine, M. J., & Carlson, C. I. (1992). Handbook of family-school intervention: A systems perspective. Boston, MA: Allyn & Bacon.
  36. Gelfer, J. I. (1991). Teacher-parent partnerships: Enhancing communications. Childhood Education. 67(3), 164-167. doi:10.1080/00094056.1991.10521602.
  37. Gestwicki, C. (2007). Home, school, and community relations (6th ed.). NY: Thomson.
  38. Jorde-Bloom, P. (1988). A great place to work: Improving conditions for staff in young children's programs. Washington, DC: NAEYC.
  39. Kontos, S. (1984). Congruence of parent and early childhood staff perceptions of parenting. Parenting Studies, 1(1), 5-10.
  40. Lopez, G. R., Scribner, J. D., & Mahitivanichcha, K. (2001). Redefining parental involvement: Lesson's from high-performing migrant-impacted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2), 253-288. doi:10.3102/00028312038002253.
  41. Owen, M. T., Ware, A. M.,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doi:10.1016/S0885-2006(00)00073-9.

피인용 문헌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vol.15, pp.3, 2018,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