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학 교과서에서 시 텍스트의 유기성을 교육하는 방식

A method of educating poetry text as an organic structure in a literature textbook

  • 발행 : 20180000

초록

본 논문은 문학 교과서에서 시 텍스트를 하나의 유기적 구조물로서 교육하는 방식을 논의한다. 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논한다. 고등학교 문학은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최상위에 위치한다. 최상위 과정에서 하나의 유기적 구조물로서 시를 다루는 것은 학생들이 속성 중심 문학관에 따라 지금까지 학습해온 내용들을 종합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가 있다. 또 그것은 문학 작품을 이루는 요소들 간의 절묘한 상관을 파악하는 묘미를 알고 이를 통해 작품을 깊이 감상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가 있다. 2장은 시 텍스트의 유기성과 관련하여 신비평 이론을 개괄한다. 3장은 문학 교과서에서 시 텍스트의 유기성을 교육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그리고 '시적 요소의 구체성 상실'과 '시적 요소들 간의 느슨함'을 문제점으로 지적한다. 4장은 대안으로서 '시의 전체 의미 실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에 시적 요소들이 결합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는 소박한 격률을 세우고 학습활동을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관련하여 정지용의 '고향'과 김소월의 '산유화'에 대한 학습활동을 간단히 예시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to educate poetry as an organic structurein a literature textbook. Chapter 1 describes the need and method forresearch. In high school literature, which is at the top of the literaturecurriculum, this kind of teaching of poetry is meaningful in two ways.First of all, there is an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combining whatstudents have learned about the attributes of literature so far. Next,there is a literary valu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exquisiteco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of a work of literature, andthen enjoying the work in depth. Chapter 2 will summarize thenew-criticism. Chapter 3 critically reviews the aspect of educatingpoetry as an organic structure in a literature textbook. These operationspoint to the loss of the specifics of the poetic elements and looserelationship between them as problems. Chapter 4 sets out one rule asan alternative :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in whichdifferent poetic elements are involved in an important part of a work.And accordance with these rules, Examples are some of learningactivities that may help teach the poem 故鄕 and 山有花.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