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Korean Teachers'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 Systemic Review

한국 교사의 국제 교육개발협력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 Received : 2018.10.01
  • Accepted : 2018.10.18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n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Korean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examination of 8 database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2,945 studies, and 6 of these referenc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systemic review.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pre- and in-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education but had a low degree of teacher efficac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ODA education program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local sites and role performance. Then, a couple of studies of mathematic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ar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 system with developing countries'. Lastly, it is important to have a sustainable system which promotes all teachers, including retired ones, in glob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n education. For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SDGs, Korean teachers should develop their expertise, a deep understanding of partner countries, and stable quality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본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국제 교육개발협력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협력을 강화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시대에 교사 및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systemic review)을 위해 8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고, 최초 검색된 논문은 2,945편이었으며 검색전략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개발협력에 참여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은 개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지식과 교수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ODA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현지 분석과 역할 수행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과 유아교육에서는 개도국과 한국의 교육과정과 제도 등을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 ODA 관련하여 예비 현직 퇴직 교사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고, 교원들의 지속성 있는 교육개발협력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SDGs 시대의 성공적인 교육개발협력을 위하여 한국 교사들의 전문성 강화, 현지에 대한 분석과 이해, 취약 계층의 보편적 교육에 대한 개발협력 방안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경민, 김순임, 홍진혁, "공적개발원조(ODA)와 국익: 한국 ODA 정책의 발전을 위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제26권, 제3호, pp.95-128, 2010.
  2. 김은미, 조희정, 박민정, 송지선, "최신 국제개발협력 논의 동향 분석: OECD DAC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제8권, 제2호, pp.75-102, 2016.
  3. 백소연, 박경철, "문화분야 ODA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현황 연구-문화체육관광부와 KOICA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57-6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057
  4. 한국국제협력단,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수립현황과 대응방안, 한국국제협력단, 2015.
  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모두를 위한 교육 2000-2015: 성과와 과제(요약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5.
  6. 김진희, 김은영, 김철희, 유성상, 장은정, Post 2015 교육개발협력사업 활성화 전략: 교육의제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 2015.
  7. UN,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ited Nation. 2015.
  8. 김진희, "캄보디아 초등교육 및 초등교사 쟁점 분석과 교육개발협력에의 시사점 탐색," 비교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77-96, 2017.
  9. 김영환, 김선영, 정지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와 개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제51권, 제3호, pp.423-439, 2012.
  10. 김이경, 김현정,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교사 전문성 개발 실태 진단,"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2권, 제4호, pp.103-119, 2014.
  11. 교육정책네트워크연구실 역편, '교사와 교육의 질'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2011.
  12. S. Mehrotra and P. Buckland, "Managing school teacher costs for access and 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 comparative analysis,"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Vol.36, No.29, pp.4567-4579, 2001.
  13. I. V. Mullis, M. O. Martin, E. J. Gonzalez, and S. J. Chrostowski, STIMSS 2003 international mathematics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s,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2004.
  14. http://www.sacmeq.org/?q=sacmeq-projects/sacmeq-ii/reports
  15. K. A. Achuonye, Comparative education in Africa and beyond, Pearl Publishers, 2004.
  16. M. Byram, From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education for intercultural citizenship: Essays and reflections(Vol.17), Multilingual Matters, 2008.
  17.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서혜선, 손희정, 신채민, 이윤재, 장보형, 허대석,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제8권 pp.1-287, 2011.
  18.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and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1, No.4, pp.264-269, 2009. https://doi.org/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19. E. A. B. Karen and E. K. Michelle, "How to assess a survey report: A guide for readers and peer reviewer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 Vol.187, No.6, pp.E198-205, 2015. https://doi.org/10.1503/cmaj.140545
  20. 김영환, 손미, 김선영, 이승진, "예비교사의 공적개발원조와 개발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교사교육연구, 제53권, 제1호, pp.47-63, 2014.
  21. 박환보, 우한솔, 김은파, "교육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pp.287-311, 2016.
  22. 이희정, Tanzania와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및 파견 교사의 교육 경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5.
  23. 진선주, 공적개발원조(ODA) 유아교육 분야 해외봉사활동 경험을 통한 유아교사의 문화 적응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6.
  24. 이미지, 한국의 교육분야 공적개발원조(ODA)에서의 교사 활용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3.
  25. 강영혜, 통계로 본 한국과 세계교육 14 : 한국의 교원, 한국교육개발원, 2013.
  26.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2000.
  27. 신원석, "테크놀로지 활용에 따른 교육활동의 변화와 교사의 심리적 배경의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536-54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536
  28. 김갑수, 민미경, "PISA 2015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비 교사들의 ICT 능력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pp.239-249, 2018.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2.239
  29. 권성연, "초등학교 수업에서 정보통신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1호, pp.1-27, 2017.
  30. 김성식, 안성훈, "학교장의 교육정보화 인식이 학생들의 ICT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68-27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268
  31. 이재봉, "중학교 과학 교사의 ICT 활용 실태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5권, 제5호, pp.885-893,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85
  32. 하영수, "국제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9권, 제2호, pp.1-24, 2017.
  33. 김석수, "일본 정부개발원조(ODA)와 국익의 연계," 문화와 정치, 제3권, 제1호, pp.83-108, 2016.
  34. 주용식, "ODA 스마트 파워 전략,"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2호, pp.159-184, 2012.
  35. S. Marginson, "Dynamics of national and global competition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52, No.1, pp.1-39, 2006. https://doi.org/10.1007/s10734-004-7649-x
  36. P. Tandon and T. Fukao,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Improving teacher quality in Cambodia, The World Bank, 2015.
  37. S. S. Yoo, "The Political Economy of Schooling in Cambodia: Issues of Quality and Equity," Educational Studies in Japan, Vol.11, pp.123-128, 2017. https://doi.org/10.7571/esjkyoiku.11.123
  38. K. Ackerson and R. Zielinski, "Women living in crisis areas of Sub-Saharan Africa's use of family plan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Midwifery, Vol.54, pp.35-60, 2017. https://doi.org/10.1016/j.midw.2017.07.021
  39. 문경연, "북한 경제난의 생애주기 접근법적 검토," 나라경제, 제17권, 제4호, pp.35-55, 2015.
  40.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Directorate General for Health and ICF International, Cambodia 2014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key findings,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Directorate General for Health and ICF International,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