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서대석 (서원대학교 평생교육대학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8.30
  • Accepted : 2018.09.14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aging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 total of 513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450 of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used mediating effect and regulatory effect test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activities lowered aging anxiety and helped to improve successful aging. Aging anxiet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nd successful aging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On the basis of this, the social activity providers diversify the social activity programs, reorganize the business system so that aging anxiety can be mitigated, and establish a mutual support system among the participants, so that successful aging through social activities will be more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be managed so that.

본 연구는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거주 만60세 이상 고령자이며 총513명이 설문에 참여했고 이 중 450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분석은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사회활동은 노화불안을 낮추고 성공적 노화 향상에 도움이 되며, 노화불안은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고,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활동 제공기관들은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되 노화불안 완화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사업 체계를 개편하고, 참여자끼리 상호지지 체계를 구성하여 사회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가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리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259100019&ctcd=C01&cpage=23, 2018.08.15.
  2.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 1998.
  3. 김정희, 박지영,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210-222, 2015.
  4. 김연주, 박순우, "농촌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21, 제9권, 제1호, pp.23-36, 2018.
  5. 김수겸, "노인의 신체활동이 자아 통합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331-345, 2014.
  6. 강향미, 베이비부머 세대의 공동체 의식과 사회참여가 노화불안과 죽음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최장원, "노년기 경제적 스트레스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117-13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117
  8. 홍성희, 곽인숙,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유배우 노인과 무배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4호, pp.78-81, 2011.
  9. 안종철, 임왕규,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89-21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189
  10. D. Stolle and T. Rochon, "Are all associations alike?: number diversity, associational type and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2, No.1, pp.47-65, 1998. https://doi.org/10.1177/0002764298042001005
  11. 강현정,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사회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7호, pp.429-448, 2012.
  12. N. R. Hooyman and H. A. Kiyak,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itive, 8th edition, Allyn and Bacon, 2008.
  13. 홍현방, 서혜경,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45-154, 2003.
  14. 이경숙, 은퇴 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 요인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5. K. P. Lasher and P. J. Faulkender,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37, No.4, pp.247-259, 1993.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16. 전진만, 노인의 자원봉사 활동경험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7. K. I. Shin, "Understanding the aging anxiety of the middle aged adults by using Q-methodog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14, No.6, pp.3595-3614, 2013. https://doi.org/10.15703/kjc.14.6.201312.3595
  18. S. M. Lynch, "Measurement and Predication of aging anxiety," Res aging, Vol.22, No.5, pp.533-558, 2000. https://doi.org/10.1177/0164027500225004
  19. 김현정, 실버소비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노화예방제품수용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0. 남석인, 김준표, 이다지, 신지민,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0호, pp.169-195, 2015.
  21. 김욱, "한국노인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7호, pp.71-94, 2010.
  22.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5권, 제2호, pp.35-52, 2005.
  23.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4. L. S. Aiken and S. G. West,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1.
  25.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2권,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