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erial Properties and Conservation of 『Collection of Yi Chungmugong』 in Manuscript

『이충무공전서』 정고본의 지질분석과 보존처리

  • Lim, Se-Yeo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Ahn, Ji-Yoo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 Yang, Min-Jeo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RICH)
  • 임세연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안지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양민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8.09.18
  • Accepted : 2018.11.07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Collection of Yi Chungmugong" manuscript is a hand-written manuscript of the volume 1 consisting of the Collection, published in 1795 and it seems to have completed the contents of the book by correcting the first part of the book before print. The book adopted a form of Seonjangbon(線裝本) of Ochimanjeongbeop(五針眼訂法) and was urgently needed some measures to preserve because it has been much damaged by stains, loss and oxidation due to moisture on the bottom of it. In addition, a scientific investigation was appli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he quality of paper and fiber used for the book, which would b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the preser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aper were measurmented for size(cm), thickness(mm), weight(g), basis weight($g/m^2$), density($g/cm^3$), chain line and laid lines($3{\times}3cm$).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per used in royal books pu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e paper-fiber of the book, C stain was used and the technique revealed that the book is made of bast fibre of paper mulberry and its binding strings are cotton. SEM-EDS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xistence of additives in pap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ystallized calcium was detected in addition to the main components carbon(C) and oxygen(O). This artifact is the unique final version of "The collection of Yi Chungmugong", which has considerable value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besides it helps to understand how to print books of Joseon Dynasty. And it also has a very accurate information of when and where the book was made, which primarily could be resources to conserve and restore for other book heritage.

"이충무공전서" 정고본은 1795년 간행된 이충무공전서 1책에 해당하는 부분을 수기(手記)한 것으로 인쇄하기 전 초고(草稿)를 마지막으로 수정해 내용을 완전하게 한 판본으로 추정된다. 책의 형태는 오침안정법(五針眼訂法)의 선장본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책 하단부분의 습해로 인한 얼룩, 결실, 산화 등 손상으로 보존처리가 시급하였다. 또한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지질과 섬유의 특성을 밝히고, 보존처리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종이의 크기(cm), 두께(mm), 무게(g), 평량($g/m^2$), 밀도($g/cm^3$), 발 끈 간격 및 초 수($3{\times}3cm$) 측정 등 지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질 조사 결과 조선시대 후기 왕실 발행 도서에 이용된 종이 특징을 추정할 수 있었다. 표지, 책지 등의 종이 섬유를 C염색법으로 분석한 결과 닥 인피섬유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장정된 끈은 면(棉) 재질로 확인되었다. 종이에 포함된 첨가물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SEM-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성분인 탄소(C)와 산소(O) 외에 결정화 된 칼슘(Ca)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유물은 "이충무공전서"의 정고본으로 전해지는 유일한 책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으며, 정확한 시대와 발행 기관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 고전적의 인쇄과정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전적류 문화재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유기질문화재 보존처리 및 조사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지류 직물 문화재 보존, 예맥
  2. 이상현, 2014, 문화재 보존과 기법-회화.지류편, (주) 소와당
  3.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염색, 현암사
  4.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4, 적외선을 이용한 문화재 조사 pp6-8
  5. 김강식, 2013, '李忠武公全書'의 편찬 배경과 내용 이순신연구논총 제20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pp.299-330
  6. 손계영, 2005a, 조선시대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권 1호, pp.79-105
  7. 손계영, 2005b, 조선시대 문서지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안지윤, 신효영, 손미경, 송정원, 2015, 보물 제1007호 조천일기(朝天日記)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 보존과학회지 31권 3호, pp.215-225 https://doi.org/10.12654/JCS.2015.31.3.03
  9. 옥영정, 2009, 비지정 동산문화재의 보존관리 방향 서지학보 34권 34호, pp.243-270
  10. 이상현, 2006, 고문헌 출전 한지의 원료 섬유 식별 충북대학교 임산공학과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전 지연, 박 지선, 김강성, 2003. 회화 문화재의 보존처리에 쓰이는 풀-전분과 단백질의 함량에 따른 접착력과 보존성을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12(1), pp.83-91
  12. 정선영, 1986, 조선초기 책지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1권, pp.177-212
  13. 천주현, 2014,외규장각 의궤 책지의 특성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국립중앙박물관
  14. 최태호, 유승일, 이상현, 정희원, 양은정, 2009, 유물 배접지의 원료 섬유 분석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147-151
  15. 최태호, 2009, 전통 천연 염색지를 이용한 보존.보관용 기능성 재료개발 연구결과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16. 최태호, 2015, 조선중기 전적류 한지의 특성-난중일기를 중심으로- 국보 제76호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보존처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17. Agnieszka Helman-Wazny, 박원규, 2001, 능가사 출토 종이와 섬유의 해부학적 성질 및 미량원소 분석 보존과학회지 10(1), pp.1-9
  18. Agnieszka Helman-Wazny, Tomasz Wazny, 최태호, 조남석, 2004, 충북대학교 박물관 소장 16-19세기 지류문화재의 특성 보존과학회지 16, pp.2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