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학생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n K-MOOC

  • 전영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 조진숙 (수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투고 : 2019.08.12
  • 심사 : 2019.10.22
  • 발행 : 2019.11.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실제 K-MOOC을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활용하는 수도권의 한 대학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17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과제기술적합성의 다섯 가지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MOOC 만족도 및 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방학보다 학기 중이 더 높았다. K-MOOC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과제기술 적합성이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과제기술적합성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K-MOOC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 및 교양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설되는 교과목과 더불어 교과내용의 분량과 주차수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개설시기를 대학의 학기와 맞출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불만 사항으로도 나타나 플랫폼의 안정성이나 모바일 환경에의 적합성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다양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MOOC. Adopting a questionnaire,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177 students enrolled in K-MOOC classes as an extracurriculum in the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th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n K-MOOC are higher during the semester than in vacation. Second, the perceived ease of use, usefulness, and task-technology fit influence the users'satisfaction on K-MOOC. Meanwhile, the perceived ease of use, task-technology, and user satisfaction likewise influence the users'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Hence, the study proposes that the subject matter on K-MOOC and the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 be made diversified, and the period of K-MOOC be made similar with that of the regular semester. The platform should also be stabilized, and the adequacy in mobile environment be improved. To further activate K-MOOC utilization in the university, the depth of contents and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lso need to be conside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_MOOC) 추진 방안(안)," 2015a.
  2. 교육부,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현황과 추진방향 공개자료," 2015b.
  3. 권오영, "평생능력개발: 일-학습 병행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5권, 제2호, pp.163-168, 2013. https://doi.org/10.14702/JPEE.2013.163
  4. M. Tan, P. Shao, and P. Yu, "Factors Influencing Engineering Students' Use of Social Media in Learning," J. of World Transactions o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Vol.12, No.4, pp.648-654, 2014. http://www.wiete.com.au/journals/WTE&TE/Pages/Vol.12,%20No.4%20(2014)/13-Tan-M.pdf
  5. L. Pappano, "The year of the MOOC," 2012. http://www.nytimes.com/2012/11/04/education/edlife/massive-open-online-courses-are-multiplying-at-a-rapid-pace.html
  6. L. Yuan, "MOOCs and Open Education Timeline," 2015. http://blogs.cetis.org.uk/cetisli/2015/05/11/moocs-and-open-education-timeline-updated
  7. 오예진, "미국 MOOC 사례를 통해 본 한국형 MOOC의 발전방향 모색: 고등교육을 기반으로 한 평생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평생교육.HRD연구, 제13권, 제1호, pp.103-135, 2017.
  8. K. Jordan, "Initial trends in enrollment and completion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J. of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Vol.15, No.1, pp.133-160, 2014.
  9. S. J. Daniel, "Making sense of MOOCs: Musing in a maze of myth, paradox and possibility," 2012. http://sirjohn.ca/wordpress/wp-content/uploads/2012/08/120925MOOCspaper2.pdf
  10. L. Yuan and S. Powell, "MOOCs and Open Education: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2013.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5297666
  11. 조순정,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공개강좌 수용요인-확장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9호, pp.601-619, 2015.
  12. 민혜리, 금선영, "묵(MOOC)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222-2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7.222
  13. 정한호, "MOOC 수강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기술수용모형, 기대일치모형, 과제기술적합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315-343, 2017.
  14. H. Jeong, "An investigation of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s the e-library," J. of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Vol.35, pp.45-60, 201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464905511000261 https://doi.org/10.1080/14649055.2011.10766298
  15. 양단희,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의 교육적 문제점과 개선책, 그리고 대학과 융합방안,"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3호, pp.121-129,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3.121
  16. 이면재, 온라인 대중공개강좌(MOOC)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확장된 IS 지속이용모델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7. 구본혁, MOOC을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8. C. Ho, W. Ke, and H. Liu, "Choice decision of e-learning system: Implications from construal level theory," J. of Information & Management, Vol.52, pp.160-169, 201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78720614000871 https://doi.org/10.1016/j.im.2014.07.003
  19. 하병환, 이러닝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0. 조성아,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1. 임자경, E-LEarning 교육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연구-K-MOOC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2. 박시용, 임지영, "고등교육에서 활용가능한 MOOC 활용 교육 모델," Asia-pacific J.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18, No.5, pp.847-855, 2018.
  23. 박창언,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K-MOOC) 운영 현황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제34권, 제2호, pp.122-140, 2016.
  24. 이병현, "미국 MOOC 최근 운영동향을 통해 본 MOOC 역할과 K-MOOC 운영에 대한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3권, 제2호, pp.227-251, 2017.
  25. 구본혁, 허서정, 이희숙, 김창석, "MOOC을 활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성 분석 및 수업 방안: 프로그래밍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24권, 제2호, pp.149-151, 2014.
  26. 최윤경,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활용 분석,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7. 정미경, 김경현, "교실 수업 지원 체제로서의 사이버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3호, pp.329-350, 2004.
  28. 박태정, 나일주,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446-45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