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s Career Problems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대응분석을 통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김소라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09.27
  • Accepted : 2019.11.01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erceptions toward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problem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youth and parents in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discuss thei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825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correspondent analysis. The results follow a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tended to agree very much with the difficult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 distance from appearance, and economic difficulties whil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ended to disagree with. Second, both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disagreed with the confusion about identity as Koreans, but parents of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Third, in terms of education and institutions, multicultural adolescents recognized the strong need for expanding care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supporting employment, strengthening access to career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help for careers compared to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들의 진로 관련 문제에 관해 다문화 청소년 및 학부모들과 비다문화 가정의 청소년 및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진로문제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차이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응일치 분석을 사용하여 총 825명의 응답자들을 네 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외모에서의 거리감, 경제적인 어려움에 대한 진술들에 대해 다문화 청소년은 매우 동의하는 편, 비다문화 청소년은 전혀 동의하지 않는 편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들이 가지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혼란에 대해서는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 모두 동의하지 않는 편이었으나, 비다문화 청소년의 학부모들이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주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들은 자신의 장단점을 파악할 기회가 드물고, 진로활동 참여에 소극적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비다문화 청소년들은 동의하지 않는 편에 가까웠다. 넷째, 교육 및 제도 측면에서 비다문화 청소년은 상대적으로 다문화 학생 진로를 위한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편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 뿐 아니라, 비다문화 가정 학부모들이 가지는 부정적인 인식에 대해서 사회통합적 차원에서 인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8 교육기본통계, 2018.
  2. 이도희, "다문화가족지원 관련 법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650-65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650
  3. 이덕희, "다문화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태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760-770,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760
  4. 김기홍, 이남철, 나현미, 다문화 청소년 직업교육훈련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기본연구 2018-03, 2018.
  5. 류성창, "다문화 청소년 진로지도 실태와 과제," 제40차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pp.95-136, 2015.
  6. 심미영, 이둘녀, "청소년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인식과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14-22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14
  7. K. K. Kim and Y. J. Hwang,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Vol.39, No.1, pp.87-117, 2012.
  8. A. Munroe and C. Pears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6, No.5, pp.819-834, 2006. https://doi.org/10.1177/0013164405285542
  9. 박진우․, 장재홍,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심리적인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33-154, 2014.
  10. 김경란,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1. 임선모, 신정숙, 손재홍, "다문화 정책 시사점 도출을 위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17권, 제10호, pp.175-183, 2012. https://doi.org/10.9708/jksci/2012.17.10.175
  12. 양계민, "국내 소수집단에 대한 청소년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제3권, 제2호, pp.59-79, 2009. https://doi.org/10.21193/kjspp.2009.23.2.004
  13. 박현선, 이채원, 박소은,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 언어, 문화교육의 효과분석: 프로그램 과정 산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46권, 제3호, pp.56-83, 2014.
  14. 박근수, 곽연희,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 조사를 통해 본 청소년 다문화 교육 필요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12-137, 2013.
  15. 김기헌, "사회통합 측면에서 진로교육의 개인․사회적 성과와 가치," 제 46차 한국진로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18.
  16. 박하나, 조영달, 박윤경,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21-49, 2013.
  17. 오성배, 서덕희,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의식, 진로 준비행동과 사회적 지원실태 탐색," 중등교육연구, 제60권, 제2호, pp.517-552, 2012.
  18. 김민경,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13권, 제3호, pp.147-171, 2015.
  19. 최윤희, 김순자,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743-662, 2011.
  20.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 다문화 가정 청소년 생활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2010.
  21. 남연주, 안상근,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진로포부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비교," 진로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1-25, 2017.
  22. 노형진, SPSS에 의한 범주형 데이터 분석, 효산경영연구원, 2007.
  23.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4th ed. 다산출판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