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제마의 양생론에 대한 이해 - 도교서적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 Focusing on Taoist Books

  • 최성운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황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학과) ;
  • 박은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초한의학과)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Choi, Sung-Woon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Hwang, Jihye (Dept. of Science in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Park, Eunjoo (Dept. of Science in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9.12.03
  • 심사 : 2019.12.21
  • 발행 : 2019.12.31

초록

Objective : We compare the nurturing theories of Between the Nurturing Theory of Dogyogwonseonseo(道敎勸善書)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Gyeongsinrokeonseok(敬信錄諺釋), Taisanggauempyeondosul(太上感應篇圖說) and Guahwajonsin(過化存神) vs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of Lee-Jema. And the influences that Dogyogwonseonseo had on Nurturing Theory of Lee-Jema. Method : We sort out the identical or similar vocabularies and abstract the important concepts from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and two kinds of Lee-Jema's books mentioned above and compare them respectively. The prehistories of vocabularies and concepts needed such as Bok(福, good fortune) and Su (壽, longevity) will be traced. And the synchronic understanding needed such as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in late Choseon dynasty will be surveyed by investigating the controversy of the time. Results :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was influenced by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mentioned above. We can ascertain the influence from Lee-Jema's Concept of Myeong(命), Nurturing Life through everyday lif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deceiving mind(詐心), betraying mind(欺負心) and the jealousy of Man and Woman. Conclusion : The influences Dogyogwonseonseo had on Lee-Jema's nurturing theory were key concept words such as Myeong(命), the ways of thinking lik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and vocabularies such as deceiving mind(詐心).

키워드

참고문헌

  1. 허훈. 동무 이제마 수양론의 현대적 의미. 철학. 2007;93:21-45.
  2. 심창애. 이제마의 사상체질에 따른 도덕수양론 -동의수세보원,사단론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3;35:153-181.
  3. 정병희. 東武 李濟馬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7-67.
  4. 이경성. 갑오본 동의수세보원의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6(1):19
  5. 정용재. 이수경. 이의주. 고병희. 송일병.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養生觀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학회지. 2002;14(2):33.
  6.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7. 29.
  7.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
  8.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5
  9. 知彀官廳日記七冊. 庚辰六月十九日. 원문은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http://yoksa.aks.ac.kr/main.jsp)에서 검색
  10.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1.
  11. 이제마 양생론의 두 가지 목적에 대해서는 허훈. 동무 이제마 수양론의 현대적 의미. 철학. 2007.11;93:23-27.
  12.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636.
  13. https://www.zdic.net/hans/命數 (2019.12.11. 검색)
  14.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7.
  15.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9-160.
  16.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6.
  17.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641.
  18.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5.
  19.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1.
  20. 이제마. 이창일 역주. 제중신편. 동무유고. 서울:1999:72-73
  21.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8-159.
  22. 정병희. 東武 李濟馬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57-59.
  23.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8.
  24.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21-322.
  25. 전병석 역주. 명심보감. 서울:문예출판사. 2013:1-16. 20.
  26. 윤찬원.太上感應篇에 나타난 道敎 윤리관 연구. 도교문화연구. 2009.11;31:159-168.
  27. 김일권.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도교문화연구. 2014.5;40:170
  28.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8-110
  29. 윤찬원. 후대 도교권선서(道敎勸善書)에 나타난 윤리관 - 관성제군각세진경(關聖帝君覺世眞經)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7.2;89:212-213.
  30.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1.
  31. 윤찬원. 후대 도교권선서(道敎勸善書)에 나타난 윤리관 - 관성제군각세진경(關聖帝君覺世眞經)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7.2;89:207-211.
  32. 증정경신록卷之上. 渴淫說. 五十葉(前面)-五十三葉(前面).
  33.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鑑察第二. 一葉(前面).
  34.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善報第四. 一葉(後面).
  35.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悔過第九. 三葉(後面).
  36.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3-5.
  37. 김일권.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도교문화연구. 2014.5;40:160-161. 169-172.
  38. 이에나가 유코. 조선후기 윤리신앙의 다변화와 도교 선서 유행. 역사민속학. 2009.07;30:298-302.
  39. 증정경신록卷之上. 太上感應篇. 諸惡下第六.
  40. 최혜영. 朝鮮後期 <善書>의 倫理思想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160-162.
  41.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14-117.
  42. 경신록언셕. 사인불비전공덕례(士人不費錢功德例). (https://akorn.bab2min.pe.kr/)
  43. 경신록언셕. 농가불비전공덕례(農家不費錢功德例). 이상은 검색엔진 어듸메에서 인용. (https://akorn.bab2min.pe.kr/)
  44. 박성종. 태상감음편도설의 언해본에 대하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학술대회 발표문. 2012.7:7-8.
  45. 태상감응편도설(太上感應篇圖說)卷五. 부인악보(婦人惡報). 十九. 원문은 검색엔진 어듸메에서 인용.
  46. 이상호. 五福개념을 통해 본유교의 행복론. 동양철학연구. 2009.11;60:136-137
  47. 周易 文言傳.
  48. 書經 湯誥.
  49. 中庸. 17.
  50. 論語雍也.
  51. 이수진. 儒家 生死觀의 형성과 전개. 중국인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2:248
  52. 윤용남. 儒家의 生死觀과 죽음에 대한 태도. 철학논총. 2010.1;59:438
  53. 이상선. 기명(氣命)으로 본 덕(德)과 복(福). 공자학. 2011.11;21:162-163.
  54. 임헌규. 유교적생사관(生死觀)과 죽음에 이르는 태도. 남명학;2014:19:429
  55. 이상선. 기명(氣命)으로 본 덕(德)과 복(福). 공자학. 2011.11;21:159.
  56. 임헌규. 유교적생사관(生死觀)과 죽음에 이르는 태도. 남명학;2014:19:436-440.
  57. 강지연. 조선시대 김시습과 정렴의 내단 사상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008;24:352-361
  58. 김윤수.徐命膺의 <參同攷>와 <易參同契詳釋>. 도교문화연구. 1991.12;(5):454-461. 474
  59. 은석민. 活人心의 의학사상 연구 - 新刊京本活人心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7. 44-45. 7-48.
  60. 금장태. 귀신과 제사 - 유교의 종교적 세계. 서울:2009:83-84.
  61. 하윤섭.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복선화음가>의 유행. 우리말 글. 2015;64:218.
  62.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16-319.
  63. 하윤섭.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복선화음가>의 유행. 우리말 글. 2015;64:218-219.
  64.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4-106
  65. 조헌철, 임병학. 조선 후기 권선서(勸善書)와 민화문자도의 윤리의식. 인문과학. 2018.5;69:260-261
  66. 이태희. 조선 후기 善書의 수용과 유행의 요인 -增訂敬信錄과 경신록언셕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2016.09;69:106.
  67. 조성산. 19세기 조선의福善禍淫 논의와 沈大允의 福利全書. 한국사학보. 2017.11;69:315-324. 333-349.
  68. 장병한. 沈大允의 福利全書 一考 - '天人禍福論'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논문집. 2008.7;20:2. 9-11.
  69.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86.
  70. 增訂敬信錄卷上. 一葉(後面). 四葉(後面). 十二葉(後面). 十四葉(前面).
  71. 增訂敬信錄卷下. 三葉(前面).
  72.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90.
  73. 增訂敬信錄卷上. 十三葉(前面). 三十葉(前面); 增訂敬信錄卷下. 三葉(前面). 五葉(前面).
  74.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181.
  75. 김낙필. 性命論과 精氣神論. 태동고전연구. 1987;3:199.
  76. 胡孚琛主編. 中華道教大辭典.第九類.内丹學. 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5:1129.
  77. 김낙필. 性命論과 精氣神論. 태동고전연구. 1987;3:195
  78. 이원국. 김낙필 . 이석명 . 김용수 . 나우권 옮김. 내단 - 심신수련의 역사2. 서울: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67-68.
  79. 김경수. 진단과 장백단의 도교 내단이론 비교. 南冥學硏究. 2012;35:198
  80. 增訂敬信祿.文昌帝君陰騭文. 十七葉(後面).
  81.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66.
  82.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3.
  8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50.
  84.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302.
  85. 윤찬원. 전통 도교윤리는 결과론적인 것인가, 의무론적인 것인가. 도교문화연구. 2013.5;38:109.
  86. 增訂敬信錄卷下. 感應篇致福靈驗. 愈病. 四葉(前面)-四葉(後面).
  87. 이능화. 제27장 선음즐교(善陰騭敎). 조선도교사. 서울:보성문화사. 1990:309. 485.
  88. 각세신편팔감상목(覺世新編八鑑常目)卷之一. 經註鑑第一之一. 太上感應篇註解. 四葉. (장서각 청구기호 :K3-165).
  89. 增訂敬信錄卷上. 文昌帝君救劫寶章. 孝感章第二.二十葉(前面).
  90. 增訂敬信錄卷上. 玄天上帝金科玉律. 三十二葉(前面).
  91. 증정경신록卷下 文昌帝君陰騭文靈驗. 十四葉(前面)-十五葉(前面).
  92. 증정경신록卷上.文昌帝君救劫寶章. 道釋章第六.二十三葉(後面)-二十四葉(前面).
  93.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87-188.
  94. 정용재. 이수경. 이의주. 고병희. 송일병. 東醫寶鑑과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난 養生觀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학회지. 2002;14(2):33-34.
  95.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171-173.
  96. 이제마. 박성식 역해.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파주:집문당. 2003:29.
  97.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525. 636.
  98.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엮음. 廣濟說. 改訂增補 四象醫學. 서울:집문당. 2008:727-728.
  99. 과화존신(過化存神)부대련구(附對聯句). 十四葉(前面).
  100. 이제마. 허탁 편. 유략 . 사물(儒略.事物).격치고(格致藁). 성남:청계출판사. 2000:56.
  101. 이제마. 허탁 편. 유략 . 사물(儒略.事物).격치고(格致藁). 성남:청계출판사. 2000:191-192.
  102. 이제마. 이창일 역주. 東武遺稿. 성남:청계출판사. 1999:209-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