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Family Resilience

ADHD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의 관계

  • 이정은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최연옥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11
  • Accepted : 2019.01.15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in children with ADHD. Method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hierarchically regressed. The participants were 113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nd who lived in resident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resilience level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monthly income. Second,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lower the family resilience ($r=-.622^{**}$), and all three types of coping method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family resilience were in the order of problem - centered coping (${\beta}=.376$), parenting stress (${\beta}=-.338$) and mother's academic ability (${\beta}=.239$).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a social welfare practice plan to reduce the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 the resilience of the mother of the child with ADHD.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문제를 지닌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대처와 가족탄력성 사이에 어떤 인과관계를 가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ADHD 아동을 둔 어머니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학력과 가족월소득에 따라 가족탄력성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은 떨어지고($r=-.622^{**}$), 3가지 유형의 대처방법 모두 가족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제중심대처(${\beta}=.376$)와 양육스트레스(${\beta}=-.338$), 어머니의 학력(${\beta}=.239$)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CCTHCV_2019_v19n1_96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측정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치

CCTHCV_2019_v19n1_96_t0002.png 이미지

표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의 평균차이검증

CCTHCV_2019_v19n1_96_t0003.png 이미지

표 4.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

CCTHCV_2019_v19n1_96_t0004.png 이미지

표 5. 가족탄력성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1_96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진희, 유희정, "가족내의 위험요인이 ADHD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0권, 제2호, pp.195-200, 1999.
  2. 신민영, 김호영, 김지혜, "주의력결핍/과잉 행동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 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4호, pp.903-916, 2005.
  3. 오세철, "장애아 부모의 양육문제에 대한 대처자원 및 대처전략 고찰," 지체부자유아교육, 제24권, 제1호, pp.1-17, 1994.
  4. 정영숙, 이현지, "발달장애와 가족의 교육태도 및 양육경험 유형이 가족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8권, 제3호, pp.85-103, 2009.
  5. 이인숙, 박영숙, 송미순, 이은옥, 박연환, 최경원, 진영란, 김대희, "한국가족의 기능 회복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4호, pp.560-569, 2002. https://doi.org/10.4040/jkan.2002.32.4.560
  6. 정현주,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가족탄력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회지, 제13권, 제3호, pp.89-110, 2008.
  7. 김세연, "주의력결필/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불안수준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21-23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21
  8. 이종하, "초등학교 ADHD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육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335-34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335
  9. C. K. Whalen, B. Henker, L. D. Jamner, S. S. Ishikawa, J. N. Floro, R. Swindle, and J. A. Johnston, "Toward mapping daily challenges of living with ADHD: Maternal and child perspectives using electronic diari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4, No.1, pp.111-126, 2006. https://doi.org/10.1007/s10802-005-9008-5
  10. J. Kendall, M. C. Leo, N. Perin, and D. Hatton, "Modeling ADHD child and family relationship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7, No.4, pp.500-518, 2005. https://doi.org/10.1177/0193945905275513
  11. 이미아, "ADHD를 가진 아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머니 특성 및 자녀 특성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95-111, 2008.
  12. R. A.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 Coping, Springer, New York: Guilford, 1984.
  13. 이준희,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가족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제3권, 제1호, pp.1-13, 2012.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1994.
  15. E. Taylor, Dysfunctions of attention, IN D, Cicchetti & D. J. Cohen(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New York: Wiley-Interscience, Vol.2, pp.243-273, 1995.
  16. Barkey,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constructio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Vol.121, pp.65-94, 1997. https://doi.org/10.1037/0033-2909.121.1.65
  17. J. D. Campbell, P. D. Trapnell, S. J. Heine, I. M. Katz, L. F. Lavallee, and D. R. Lehman, "Self-concept clarity: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1, pp.141-156,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1.141
  18. 소준현, 신윤오, 조수철,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7권, 제1호, pp.44-51, 1996.
  19. 서민정, 장은진, 정철호, 최상용,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정서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8권, 제1호, pp.69-81, 2003.
  20. G. Lange, D. Sheerin, A. Carr, B. Dooley, V. Barton, D. Marshall, A. Mulligan, M. Lawlor, M. Belton, and M. Doyle, "Family factors associat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emotional disorders in childre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7, pp.76-96, 2005. https://doi.org/10.1111/j.1467-6427.2005.00300.x
  21. 신희선, 김정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위험요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아동문제행동 간의 관계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3호, pp.453-461,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3.453
  22. 이종하, "ADHD 아동의 학교적응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35-62, 2012.
  23. J. Peterson and D. R. Hawley, "Effercts of stressors on parenting attitudes and family functioning in a primary prevention program," Family Relations, Vol.47, No.3, pp.221-227, 1998. https://doi.org/10.2307/584970
  24. 양옥경, 김연수, 권자영,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1호, pp.143-173, 2006.
  25. 신연희, 정현희,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제19권, 제3호, pp.143-158, 2010.
  26. R. Finzi-Dottan, I. Manor, and S. Tyano, "ADHD, temperament, and parental style as predictors of the child's attachment patterns,"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Vol.37, pp.103-114, 2006.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4-7
  27. E. A. Hurt, B. Hoza, and W. E. Pelham, Jr, "Parenting, family loneliness, and peer functioning in boy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35, pp.543-555, 2007.
  28. T. S. Ayers, A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assessment of children coping: Testing alternative theoretical models,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991.
  29.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30. 강남욱, 김장희, "아동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요인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 간의 관계," 교류분석상담연구, 제2권, 제2호, pp.69-94, 2012.
  31. D. H. Olson, "Commentary: Three-dimensional Circumplex Model and revised scoring of FACES III," Family Process, Vol.30, pp.74-79, 1991.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1.00074.x
  32. 이인수,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1-239, 2004.
  33. 최희정, 이인수,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75-194, 2009.
  34. 김안자,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4권, 제1호, pp.139-170, 2007.
  35. 이현주, 강민희,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PAQ) 타당화 및 부모양육태도와 가족 기능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pp.5-31, 2008.
  36. W. W. Hudson,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Tallahassee, FL: WALMYR Publishing Company. in Corcoran, K., and Fischer, J. Index of Parental Attitudes(IPA).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Vol. 1. NY: The Free Press, pp.382-383, 1997.
  37. M. A. Chesney, T. B. Beilands, D. B. Chambers, J. M. Taylor, and S. Folkman, "A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of the coping self-efficacy scale,"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1, pp.421-437, 2006. https://doi.org/10.1348/135910705X53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