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치아발치 교육콘텐츠가 치아발치에 관한 지식,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Extract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Dental Extraction Knowledge, Skill and Class Satisfaction

  • 투고 : 2019.01.31
  • 심사 : 2019.02.15
  • 발행 : 2019.02.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기술을 적용한 치아발치 교육용 콘텐츠가 치아발치에 관한 지식,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치의학 전공생 72명을 대상으로 교육매체에 따른 효과성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VR 치아발치 교육콘텐츠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치아모형을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는 통제집단은 치아발치 지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치아발치 수행능력(치아발치 전-치아발치-치아발치 후-마무리단계)의 경우 VR 치아발치 교육콘텐츠를 활용한 실습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VR 치아발치 교육콘텐츠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수업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R 치아발치 교육콘텐츠를 활용한 집단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며, 실습만족도가 높여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VR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콘텐츠가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ontents of tooth extraction education using VR(virtual reality) on knowledg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practicing teeth.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72 dental students in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30 dental students using VR based tooth extraction training conten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2 participants. As a first result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VR tooth extraction content and control group receiving the training using the tooth model based conten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extraction knowledge. Second, in the case of performance of tooth extraction (before tooth extraction-tooth extraction-after tooth extraction-finishing), the training group using VR tooth extraction content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ractice group using VR tooth extraction education contents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actical training using the VR applied tooth extraction content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tooth extr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e more than the existing practice method.

키워드

CCTHCV_2019_v19n2_650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수술장면 VR애니메이션

표 1. 치아발치 실습평가 기준표

CCTHCV_2019_v19n2_650_t0001.png 이미지

표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CCTHCV_2019_v19n2_650_t0002.png 이미지

표 3. 실습교육매체에 따른 치아발치 수술지식 차이

CCTHCV_2019_v19n2_650_t0003.png 이미지

표 4. 실습교육매체에 따른 치아발치 수행능력 차이

CCTHCV_2019_v19n2_650_t0004.png 이미지

표 5. 실습교육매체에 따른 실습만족도 차이

CCTHCV_2019_v19n2_650_t0005.png 이미지

참고문헌

  1. 강현경, 권경환, 김승희, 김지희, 류혜겸, 최신 구강악안면외과학, 대한나래출판사, 2012.
  2. 박종태, 김지효, 이정현, "VR을 활용한 치아발치 교육용 콘텐츠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발간중, 제18권, 제12호, pp.218-22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18
  3. 박미정, 치의학대학원 학생의 교육과정에서 임상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세부항목 추출, 서울대학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 최재갑, "우리나라 치과대학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방향," 대한치과의사협회지, 제40권, 제3호, pp.224-226, 2002.
  5. 김현기, 이민영, 양영애, "가상현실 기반 재활프로그램의 임상적효과: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11, 2018.
  6. 문성용, 최봉두, 문영래,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전자공학회논문지, 제53권, 제12호, pp.169-174, 2016. https://doi.org/10.5573/IEIE.2016.53.12.169
  7. 박종태, 이정은, 박사범,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546-55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546
  8. J. sinevicius, T. R. Landers, M. Nelson, S. and A. Urbankova, "An evaluation of two dental simulation systems: virtual reality versus contemporary non-computer-assisted,"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68, No.11, pp.1151-1162, 2004. https://doi.org/10.1002/j.0022-0337.2004.68.11.tb03860.x
  9. H. Kikuchi, M. Ikeda, and K. Araki, "Evaluation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system for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preparation at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77, No.6, pp.782-792, 2013. https://doi.org/10.1002/j.0022-0337.2013.77.6.tb05530.x
  10. A. D. Steinberq, P. G. Bashook, J. Drummond, S. Ashrafi, and M. Zefran, "Assessment of faculty perception of content validity of $Periosim^{(c)}$, a haptic-3D virtual reality dental training simulator,"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71, No.12, pp.1574-1582, 2007. https://doi.org/10.1002/j.0022-0337.2007.71.12.tb04434.x
  11. 배영권, 박판우, 문교식, 유인환, 김우열, 이효녕, 신승기, "가상현실(VR)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만족도와 학습자의 태도 분석," 정보교육학회지, 제22권, 제5호, pp.593-603, 2018.
  12. 임정훈, 임삼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웹기반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제6권, 제2호, pp.95-105, 2003.
  13. 한경훈, 김현택, "사이버멀미의 유발원인과 감소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87-299, 2011.
  14. 김종윤, 기호성, 송철규, 김남균, "가상현실환경 노출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제1호, pp.231-235, 2000.
  15. 이기호, 증강현실 기반 e-Learning(AREL)실습교육 프레임워크 구축 및 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6.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구강악안면외과학 실습서, 군자출판사, 2016.
  17. 박인우, 류지헌, 조상용, 손미현, 장재홍,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콘텐츠 이해 및 교육적 활용 방안, 2017 KERIS 이슈리포트, 2017.
  18. 이인숙, "스마트러닝 학습효과 개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47-357, 2013.
  19. 정지영, 조광수, 최진해, 최준호, "VR 콘텐츠의 사이버 멀미 유발 요인: 시점과 움직임의 효과에 대한 실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200-208, 200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200
  20. 박종태, 김지효,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 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76-38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376
  21. 고유경, "VR을 활용한 역사교육," 인문사회 21, 제9권, 제6호, pp.487-499, 2018.
  22. 송은지, 서동희, "재난 대응 3D 시뮬레이션 설계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제8권, 제1호, pp.23-29, 2016. https://doi.org/10.14702/JPEE.2016.023
  23. 이은경, 인터넷 기반의 원격교육시스템 운영평가: 보건대학원 교육과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4. 이성심, 권미경,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기본간호 자율실습이 자아효능감, 실습만족도 및 실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55-263,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3.255
  25. 노경희, 증강현실 기반 수업이 학습몰입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