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박남심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최영희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8.12.15
  • Accepted : 2019.02.0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using SPSS 23 and AMOS 22. The effects of a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job stress was indirectly evaluated by bootstrapping. Results: First, all sub-factors of a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tress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showed a ful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Implications: High job stress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aycare field, with significant effects of job stress on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Keywords

BOJGB2_2019_v15n1_7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BOJGB2_2019_v15n1_7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최종 경로 모형

표 1.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BOJGB2_2019_v15n1_75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

BOJGB2_2019_v15n1_75_t0002.png 이미지

표 3. 수정된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

BOJGB2_2019_v15n1_75_t0003.png 이미지

표 4. 잠재변수 경로 추정치

BOJGB2_2019_v15n1_75_t0004.png 이미지

표 5.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의 효과분해

BOJGB2_2019_v15n1_75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재희, 김진영 (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76, 121-138.
  2. 강진숙, 이경남 (2015).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321-342.
  3. 권영란, 문영경 (201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1), 99-119. doi:10.21213/kjcec.2016.16.1.99
  4. 고경필, 심미영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313-333. doi:10.22251/jlcci.2017.17.9.313
  5. 고민숙 (2002).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애착유형과 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고민주 (2018).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8. 김리진, 홍연애 (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7(2), 263-282.
  9. 김보들맘, 신혜영 (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7.
  10. 김진아 (2010).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연구: 평택지역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화순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및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문지현 (2014).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이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묘정 (2018).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옥숙 (2011).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종현, 신나리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탄력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7(1), 88-105.
  17. 배계순 (201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배선숙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배성희, 김연화, 한세영 (201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233-258.
  20. 보건복지부 (2016). 2015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조사보고- (No.11-1352000-000962-12). 세종: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1. 빈윤희 (2015). 유아교사의 원가족 경험과 회복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은희 (200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엄정애, 김혜진 (2005). 유치원 종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교육연구, 25(5), 75-100.
  25. 유지연 (2011).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유현숙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 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유현숙, 권정해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1), 113-132.
  28. 윤경준, 지경빈 (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정책적 시사점: 서울형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71-197.
  29. 윤혜미, 노필순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3, 157-184.
  30. 윤혜영 (2009). 유치원 조직풍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선미, 방지은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83-104.
  32. 이수련, 이정화 (2010).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6), 51-65. doi:10.18023/kjece.2010.30.6.003
  33. 이정림, 김길숙, 송신영, 이예진, 김진미, 김소아 등 (2015). 한국아동패널 201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4. 이주연, 지명원 (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 역할갈등, 자아탄력성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6), 191-200. doi:10.5392/JKCA.2012.12.06.191
  35. 이지혜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이직 및 퇴직 배경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형정 (2009). 국.공립 보육시설의 근무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경진, 윤혜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9-152.
  39.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doi:10.18023/kjece.2011.31.3.002
  40.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동료의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41. 지명원, 이주연 (2012). 정서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2), 249-263.
  42. 최형성 (2017).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129-149.
  43. 표갑수, 황영자 (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44. 하미선, 도미향 (2015).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8(3), 5-24.
  45. 홍석영 (2012).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1(2), 271-281. doi:10.15812/ter.51.2.201208.271
  46.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7. Block, J. (1993, Mar). Ego-resilience through tim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LA.
  48. Kyriacou, C. (1987). Teacher stress and burnout: An international review. Educational Research, 29(2), 146-152. doi:10.1080/0013188870290207
  49. Porter, N. (2012, August). [USA] High Turnover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Retrieved January 11, 2019, from http://www.childresearch.net/projects/ecec/2012_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