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s of Articulated (Non-)Economic Practices and Social Reproduction: Economic Geographical Perspective to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 Kim, Boo-Heon (Graduate School of Geography,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김부헌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9.12.23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aper aims to identify how North Korean various economic agents respond to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and how these multiple practices are entangled with its spatiality b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argeted at North Korean refugees. The paper argues that it needs to examine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n terms of the domesticating recently debated in economic geography. In this perspective,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could be explained not as a grand project 'out there' with hegemonic power, but as various economic agents within their space are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 everyday life practices. Economic agents' responses to economic crisis, economic rupture, and economic marginalization could be identified in terms of articulation between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emphasizes everyday life responses are over-determined by their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and its effectiveness is differentiated by their power relations.

본 논문은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 결과를 활용하여 북한 내 여러 경제주체들이 경제위기에 어떻게 대응해왔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경제관행들이 공간성과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를 경제지리학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길들이기'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북한의 시장화를 이해할 때 우리는 시장화를 헤게모니 권력을 갖는 거대 프로젝트로서 '저편에 놓여 있는' 무엇이 아니라 공간 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일상생활의 관행을 통해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경제적 위기와 파열, 경제적 주변화에 대한 경제주체의 대응전략은 경제와 비경제가 절합되어 있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대응전략이 경제적, 비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중층결정되어 있으며 관행의 효과성은 권력관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강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옥, 2017, 북한시장을 말하다: 회령시장의 공간적 구조와 기능, 하늘로.
  2. 곽인옥.문형남, 2017, "경제제도 측면에서 북한의 빈곤화와 시장화에 대한 분석," 국제지역연구 21(2), pp. 71-96.
  3. 김병연, 2009, 북한경제의 시장화: 비공식화 가설 평가를 중심으로, 윤영관.양운철 편, 2009,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울아카데미, 2장.
  4. 김병연.양문수, 2012, 북한 경제에서의 시장과 정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 김택현.안준범 역,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저, 2014, 유럽을 지방화하기: 포스트식민 사상과 역사적 차이, 그린비. (= Chakrabarty, D., 2000, Provicializing Europe: Postcolonial Thought and Historical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박순성.홍민 편, 2010, 북한 일상생활 연구: 외침과 속삭임, 한울아카데미.
  7. 박영자, 2011, "융합연구 시각에서 본 북한 시장화의 행위자와 상호작용," KDI 북한경제리뷰 2011년 7월호, pp.47-57.
  8. 박제훈, 2009, "북한경제의 개혁과 체제전환: 이행경제학적 접근," 비교경제연구 16(1), pp.1-45.
  9. 안영진, 2018, "독일통일 후 구 동독지역의 변화에 비추어 본 통일 대비 지리학적 연구 방향," 2018 대한지리학회 연례학술대회 자료집, pp.33-34.
  10. 양문수, 2010,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성격.메커니즘. 함의, 한울아카데미.
  11. 양문수, 2013, "북한의 시장화: 추세와 구조 변화," KDI 북한경제리뷰 2013년 6월호, pp.45-70.
  12. 양문수, 2016, "2015년 북한 시장화 동향과 향후 전망," KDI 북한경제리뷰 2016년 1월호, pp.13-34.
  13. 엄은희.이현재 역, 깁슨-그래엄 저, 2013,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 여성주의 정치경제 비판, 알트. (= Gibson-Graham, J. K., 1996, The End of Capitalism as We Knew I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4. 윤영관.양운철 편, 2009,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반도평화 연구원총서 2, 한울아카데미.
  15. 이민부.김걸, 2016,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6), pp.873-892.
  16. 이석기, 2009, 북한 기업관리체계의 변화, 윤영관.양운철 편, 2009,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 한반도평화연구원 총서 2, 한울아카데미, 3장.
  17. 이승욱, 201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22-142.
  18. 이승철.김부헌.정수열.김민호.지상현, 2017,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331-354.
  19. 이영훈, 2007, 탈북자를 통한 북한경제 변화상황 조사,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20. 이진경, 2013, 노마디즘 1: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휴머니스트.
  21. 임강택, 2013, 북한경제의 비공식(시장)부문 실태 분석: 기업활동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13-11, 통일연구원.
  22. 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 저, 2015,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스튜어트 홀 선집, 컬처룩. (= Hall, S., 1996, Critical Dialogues in Cultural Studies, London: Routledge, Ch, 1, 4, 6, 7, 8, 13, 14, 15.)
  23. 임을출, 2016, 김정은 시대의 북한 경제: 사금융과 돈주, 한울아카데미.
  24. 정은이, 2009, "북한의 자생적 시장발전 연구: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52, pp.157-200.
  25. 정현주, 2018, "통일의 궁극적 지향점, '내적 통합'을 준비하는 지리학의 과제," 2018 대한지리학회 연례학술대회 자료집, pp.39-40.
  26. 통계청 북한통계(http://kosis.kr/bukhan/index.jsp)
  27.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책 자료, 2018년 12월 기준.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atistics/)
  28.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사이트 '분석정보서비스' 활용(2019.12.01. 검색 https://www.kci.go.kr/kciportal/main.kci)
  29. 홍민, 2010, "북한 시장일상생활 연구: 그로테스크와 부조리극 '사이'에서," 박순성.홍민 편, 2010, 북한 일상생활 연구: 외침과 속삭임, 한울아카데미, 6장.
  30. 홍민.박순성 편, 2013, 북한의 권력과 일상생활: 지배와 저항 사이에서, 한울아카데미.
  31. Creed, G., 1998, Domesticating Revolution: From Socialist Reform to Ambivalent Transition in a Bulgarian Villag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32. Jones, A., 2014, "Geographies of Production 1: Relationality Revisited and the Practice Shift in Economic Geograph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8(4), pp. 605-615. https://doi.org/10.1177/0309132513502151
  33. Kim, B.-Y., 2017,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Collapse and Tran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Lee, R., 2006, "The Ordinary Economy: Tangled up in Values and Geograph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1, pp.413-432.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6.00223.x
  35. Massey, D., 2005, For Space, Sage Publications.
  36. Painter, J. and Goodwin, M., 1995, "Local Governance and Concrete Research: Investigating the Uneven Development of Regulation," Economy and Society 24(3), pp.334-356. https://doi.org/10.1080/03085149500000014
  37. Pickles, J., 2010, "The Spirit of Post-Socialism: Common Spaces and the Production of Diversity,"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7(2), pp.127-140. https://doi.org/10.1177/0969776409356492
  38. Round, J. and Williams, C., 2010, "Coping with the Social Costs of Transition: Everyday Life in Post-Soviet Russia and Ukraine,"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7(2), pp.183-196. https://doi.org/10.1177/0969776409356158
  39. Schatzki, T. R., 1996, Social Practices: A Wittgensteinian Approach to Human Activity and the Soci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Sheppard, E. and Barnes, T., 1990, The Capitalist Space Economy: Geographical Analysis After Ricardo, Marx, and Sraffa, Unwin Hyman Ltd.
  41. Smith, A. and Stenning, A., 2006, "Beyond Household Economies: Articulations and Spaces of Economic Practice in Postsocialism,"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0(2), pp.190-213. https://doi.org/10.1191/0309132506ph601oa
  42. Smith, A., 2002, "Culture/Economy and Spaces of Economic Practice: Positioning Households in Post-Communism," Transactions of the British Geographers 27, pp.232-250. https://doi.org/10.1111/1475-5661.00051
  43. Smith, A. and Rochovska, A., 2007, "Domesticating Neoliberalism: Everyday Lives and the Geographies of Post-socialist Transformations," Geoforum 38, pp.1163-1178. https://doi.org/10.1016/j.geoforum.2007.03.003
  44. Stenning, A., Smith, A., Rochovska, A. and Swiatek, D., 2010, Domesticating Neo-liberalism: Spaces of Economic Practice and Social Reproduction in Postsocialist Cities, Wiley-Blackwell.
  45. Yarker, S., 2017, "Everyday Economic Geographies," Geography Compass, 11: e12324.(https://doi.org/10.1111/gec3.12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