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Migration in the World-systems: A Case Study of Korean-Chinese(Chosonjok) Returnee Small Business Owners in Yanbian, China

세계체제 간극을 활용한 국제 이주를 통한 자본축적 과정: 옌볜 귀환 조선족 자영업자를 사례로

  • Chi, Sang-Hyun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Seoul Campus) ;
  • Chung, Su-Yeul (School of Space and Environment Studies, College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 Sangmyung University)
  • 지상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이승철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정수열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공간환경학부)
  • Received : 2019.12.23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Compared to the significant number of researches on international immigration,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return migration. This is partly because return migration has been understood as a simple phenomenon resulted from a successful return with accumulated capital or adaptation failure. Since the mid-1990s, a large number of Korean-Chinese have migrated to Korea, and recently it became more common to witness the return of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strategic choice of self-employed Korean-Chinese returning to Yanbian,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Korean-Chinese starts a small business, such as restaurants in Yanbian after accumulating capital in Korea. The relatively short stay in Korea is not only for saving money to initiate their own business. Rather, they could obtain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Yanbian by using the experiences and networks built in Korea. In short, the return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to Yanbian can be understood as a strategy of capital accumulation utilizing the gap in the World-systems.

국제 이주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진 데 반해 이주자가 출발지로 되돌아가는 귀환 이주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지 않다. 이는 귀환 이주를 자본 축적 이후의 성공적 귀환이나 적응 실패로 인해 돌아가는 현상으로 비교적 단순하게 인식해왔기 때문이다. 조선족이 국내로 대거 이주해온 지 이십여 년을 넘기면서 귀화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귀환하는 이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옌볜으로 귀환하여 자영업에 진출한 조선족을 대상으로 귀환 이주가 어떠한 전략적 선택 속에서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최근의 옌볜 상업 경관은 귀환 조선족의 자영업 진출로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특기할만한 점은 귀환 조선족에게 있어 한국 체류는 단순히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한국 경험과 네트워크는 옌볜에서 자본 축적의 새로운 기회를 찾고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세계체제론 관점에서 옌볜 조선족 자영업자의 귀환이 주는 세계체제 간극을 활용한 자본축적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훈.구양미, 2018, "베트남 하노이 이주 한인 자영업자의 특성과 한인 네트워크," 대한지리학회지 53(3), pp.387-403.
  2. 김재기, 2005, "중국 조선족 농촌 집거구 해체위기와 '집중촌' 건설," 통일문제연구 44, pp.111-143.
  3. 박경환, 2007, "초국가주의 뿌리 내리기: 초국가주의 논의의 세 가지 위험,"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1), pp. 77-88.
  4. 박광성, 2010, "초국적인 인구이동과 중국조선족의 글로벌 네트워크," 재외한인연구 21, pp.357-374.
  5. 박우, 2017,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서우석 외 엮음, 서울사회학: 서울의 공간, 일상 그리고 사람들, 서울: 한국사회학회.서울연구원, pp.329-346.
  6. 방미화, 2016, "조선족 귀환이주자들의 창업활동과 초국적련결망을 중심으로," 정음문화칼럼 43. (http://hljxinwen.dbw.cn).
  7. 방미화, 2018, "연변지역 '귀환' 조선족 창업과정 사례와 정책과제," 한국학연구 51, pp.37-66.
  8. 백일순, 2018, "외국인 주택 시장과 초국가적 주택 여과 과정: 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4), pp.370-392.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370
  9. 법무부, 2013, 2013년 체류외국인 실태조사: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활, 서울: 법무부.
  10. 석현호, 2000, "국제이주이론: 기존이론의 평가와 행위체 계론적 접근의 제안," 한국인구학 23(2), pp.5-37.
  11. 연변조선족사 집필소조 편, 2014, 연변조선족사, 연변: 인민출판사.
  12. 윤신희.노시학, 2015, "새로운 모빌리티스(New Mobilities) 개념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국토지리학회지 49(4), pp.491-503.
  13. 이명옥, 2006, "중국 연길시의 도시화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pp.137-146.
  14. 이영민.이용균.이현욱, 2012,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 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pp.103-116.
  15. 이영민.이은하.이화용, 2013,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이주 네트워크와 연변지역의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pp.55-70.
  16. 이용균, 2013, "초국가적 이주 연구의 발전과 한계: 발생학적 이해와 미래 연구 방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1), pp.37-55.
  17. 이정현.정수열, 2015, "국내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유지 및 발달: 서울시 대림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2), pp.304-318.
  18. 이창호, 2012, "한국화교의 '귀환'이주와 새로운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45(3), pp.153-198.
  19. 이현욱.이영민.신지연.이화용, 2014, "초국가적 이주와기원지 로컬리티 변화에 대한 연구: 중국 왕칭쎈 (汪淸縣) 펑린춘(風林村)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pp.29-42.
  20. 임채완.선봉규.박경환.전형권.이장섭.허성태, 2013,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로트와 기억, 전남대학교 세계한인문화연구 5차 총서 01. 북코리아.
  21. 정수열, 2018, "서울시 외국인 및 동포 이주민의 경제공간," 서울연구원.한국경제지리학회, 서울의 공간 경제학: 산업과 공간으로 본 서울의 경제, pp.491-514.
  22. 정수열.이정현, 2014, "이주 경로를 통해 살펴본 출신국가별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발달 과정: 서울시 대림동 소재 중국 국적 이주민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8(1), pp.93-107.
  23. 정수열.임석회, 2012, "도시 내 이민자 자영업의 시공간적 역동성: 시카고 거주 한국인 이민자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3), pp.376-389.
  24. 지상현.정수열.김민호.이승철, 2017, "접경지역 변화의 관계론적 정치지리학: 북한-중국 접경지역 단둥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3), pp.287-306.
  25. 최우길, 2019, "조선족 연구 30년: 회고, 과제 그리고 전망," 재외한인연구 47, pp.29-54.
  26. 최재헌.김숙진, 2016,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1), pp.167-184.
  27. 최학송, 2017, "도시화, 국제화 시대의 조선족과 그 대응," 정음문화칼럼 53.(http://korean.people.com.cn/310773/310780/15646375.html).
  28. Babones, S., 2005, "The country-level income structure of the world-economy," 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 11(1), pp.29-55.
  29. Cerase, F., 1974, "Expectations and reality: a case study of return migration from the United States to Southern Italy,"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8(2), pp. 245-262. https://doi.org/10.1177/019791837400800210
  30. King, R. and Christou, A., 2010, "Cultural Geographies of Counter-Diasporic Migration: Perspectives from the Study of Second-Generation 'Returnees' to Greece," Population Space and Place 16, pp.103-119. https://doi.org/10.1002/psp.543
  31. Massey, D., 2013, Space, place and gender, John Wiley & Sons.
  32. Massey, D. S., Arango, J., Hugo, G., Kouaouci, A., Pellegrino, A. and Taylor, J. E., 1993,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review and appraisal,"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3), pp.431-466. https://doi.org/10.2307/2938462
  33. Sheller, M. and Urry, J., 2006, "The new mobilities paradigm,"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2), pp.207-226. https://doi.org/10.1068/a37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