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안전한 먹거리 지키기와 경영합리화의 사이에서 - 광주 빛고을아이쿱생활협동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Pursuit of Value and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of Consumer's Coopertive Association at Kwangju, Korea

  • 홍성흡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 Hong, Sung Heup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Ju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9.12.20
  • 발행 : 2019.12.31

초록

이 글은 한국 아이쿱생활협동조합 산하의 빛고을아이쿱생활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안전한 먹거리 확보라는 가치 추구와 경영합리화라는 현실적 필요가 경합하면서 때로는 절충해 나가는 전략과 대응 방안을 연구한 결과이다. 이글에서는 아이쿱생협과 빛고을생협의 역사를 살펴본 위에, 빛고을생협의 위상과 정체성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준 더불어사건과 매장사업을 둘러싼 지역시민사회단체 간의 알력과 갈등 양상을 살펴보았다. 빛고을생협은 창립 준비기부터 여러 어려움을 겪었고 창립 이후에도 생협이 표방하는 핵심 가치의 근간을 훼손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침체기를 겪기도 하였으며 지역사회, 특히 시민사회운동 측으로부터도 일부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지만 빛고을생협은 꾸준히 조합원의 수를 늘려나가고 있고 지역 시민사회와의 연대활동도 생협의 고유 영역을 벗어나 정치적, 사회문화적 영역으로까지 한층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영 및 활동영역의 확장은 매장사업의 순조로운 안착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그러나 매장사업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경영합리화를 위해 불가피하게 조합원의 수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는 점, 실무조직의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관료화의 경향이 엿보인다는 점, 전업주부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핵심적인 여성 활동가를 양성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다는 점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앞에 놓여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istory and adaptive strategies of Bitgoul iCOOP Consumer's Coopertive Association(BCCA). BCCA have twofold identity as civil society organization and economic management organization. Going through several ups and downs from the founding up to now date, BCCA has adapted successfully. The numbers of association member have steadily increased and activity areas have extended consistently. Moreover united activity with local civil society have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se success results from store business which stated from 2008. But maintaining successful management conditions, the numbers of association member should increase steadily and staff organization have grown in size. At the results, BCAA have been bureaucratized and recruitment of core staffs is difficult more and more.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도완, 1996, 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2. 구양미, 2015, "사회적경제와 지리, 공간, 지역," 사회적경제의 혼종성과 다양성: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설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pp.112-122.
  3. 김명혜, 1998, "공동체와 여성," 현대사회과학연구 9, pp. 87-117,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김재현.장주연.이효정, 2011, "농촌지역활성화를 위한 기업의 지역사회투자활동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농촌사랑운동본부의 1사1촌 운동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pp.211-224.
  5. 김종숙, 1996,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농산물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354.
  6. 박주희, 2009, 주부의 생협운동과 가치 지향-광주 지역 생협의 경험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7. 빛고을아이쿱생협20년사발간위원회, 2019, "빛고을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 걸어온 길," 미발간 자료집.
  8. 세이프넷(SAFENet), 2019, 2018년 세이프넷 공동연차보고서, 서울: 아이쿱생협연합회.
  9. 이홍택.정성훈,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의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708-720.
  10. 주성재.노경란, 2018,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73-191.
  11. 현기순.이금숙, 2011, "한국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확산 양상과 그 지리적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77-393. https://doi.org/10.23841/EGSK.2011.14.3.377
  12. 현기순.이금숙, 2013, "한국 친환경농업 생산공간의 변화와 여성노동력의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4), pp.613-630.
  13. 홍성흡 외, 2016, 사회적경제와 지역혁신,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14. Held, D. and McGrew, A. (eds.), 2007 Globalization Theory: Approaches and Controversies, Cambridge: Polity Press
  15. (사)한국생협연대, 2002, 새로운 생협운동, 서울: (주)봄인터랙티브미디어.
  16. (재)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엮음, 2018, 협동하는 사람들의 가치와 실천: 스무살 아이쿱, 서울:(재)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17. iCOOP생협연대, 2008, 협동, 생활의 윤리: iCOOP생협 10년사, 서울: 도서출판 푸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