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택정책에 따른 서울 자치구별 주택시장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Market of Seoul Districts in Responses to Housing Policies

  • 이우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김경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김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Lee, Wumin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 Kim, Kyung-min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 Kim, Jinseok (Dep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 투고 : 2019.12.10
  • 발행 : 2019.12.31

초록

부동산의 물리적 특성상 주택시장은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분화된다. 그러나 주택시장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주택정책은 지역에 따른 세부적 시장 분화를 반영하는데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주택정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자치구별 정책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2003년에서 2018년까지의 주택정책을 월별로 조사하고 두 종류로 구분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뒤 각 자치구의 지정지역 현황에 따라 자치구별 주택정책지수를 수립하였다. 주택정책지수가 자치구별 아파트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VECM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정책은 시장가격변화에 반응하여 수립되나 반대로 주택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주택가격이 주택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택정책이 주택 가격에 유의한 효과를 미치는 지역은 서울 동북권 위주의 일부 지역에 한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 내에서도 자치구별로 주택정책에 대한 반응에 차이가 존재하며, 따라서 주택정책 시행 시 보다 미시적인 지역별 반응 양상 차이에 대한 세부적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Though housing market varies spatially, housing policy is limited in reflecting detailed regional differentiation.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Seoul Gu Districts' response to housing policy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housing policies in the future. Housing policy index was established by each Gu-districts' according to investigated housing policies from 2003 to 2018, weighted in two categories(financial/urban planning) and the status of designated areas. The VECM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housing policy on the housing market. According to the analysis, although housing policies were established in response to market prices change, the impact of policies on prices was lower than the impact of vice versa. The housing policy's impact to the housing market is limited in some areas in northeastern Seoul.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to housing policy in Seoul districts', and theref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al aspects of housing policy is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2013, 제2차 장기주택종합계획.
  2. 김경민.이창석, 2017, "노무현정부 부동산정책의 교훈과 문재인정부의 부동산정책 방향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71(0), pp.20-33.
  3. 김대용, 2013, "우리나라 부동산정책 변화에 대한 검토 및 시사점 - 역대 정부별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주택금융월보 106, pp.4-19.
  4. 김태호.정재화, 2012, "경기동행과 후행관계에서 실업률 변동성향의 추정," 응용통계연구 25(1), pp.45-54. https://doi.org/10.5351/KJAS.2012.25.1.045
  5. 남동희, 2007,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목표변화: 참여정부의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6, pp.255-271.
  6. 박완규.홍성표 공역, 2009, Gujarati의 계량경제학, 서울: 지필 (= Gujarati, D. N. and Porter, C., 2009, Basic Econometrics, Boston: McGraw-Hill Irwin).
  7. 박유석, 2015, 주택시장과 경기변동에 대한 주택정책 반응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종철, 2008,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한 금리, 아파트가격, 주가의 상관관계,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박천규.권수연.손학기.이수욱.전성제.천현숙, 2011, 지역별 부동산시장 분석 및 정책방안 연구(1), 국토연구원.
  10. 박천규.김유현.권수연.지대식, 2012, "주택금융정책의 효과분석 연구," 지역개발연구 44(2), pp.57-74.
  11. 서수복, 2008, "부동산정책이 아파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6, pp.79-102. https://doi.org/10.15793/KSPR.2008.56..005
  12. 오정석, 2005, "부동산정책의 유형별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주택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7(3), pp.51-60.
  13. 윤형호.임병인, 2012, "서울시의 권역 간 소득격차와 소득불평등 추이 분석(2001-2009년)," 서울도시연구 13(2), pp.1-15.
  14. 이재삼, 2017,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변천과정에 있어서 파생된 문제점 및 보완사항," 법학연구 17(2), pp. 57-87.
  15. 이종아.정준호, 2010, "주택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을 활용한 위험과 수익 분석: 서울 강남 3개구 아파트시장의 경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2), pp.234-252. https://doi.org/10.23841/EGSK.2010.13.2.234
  16. 전해정, 2012, "유동성 관련 변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585-600.
  17. 전해정, 2012, 주택가격과 거시경제변수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정준호, 2014, "주택시장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의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80-295. https://doi.org/10.23841/EGSK.2014.17.2.280
  19. 정창수, 2004, 住宅政策의 政策效果 分析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조수희.정재호, 2007, "VAR모형을 이용한 주택정책 실증 연구," 부동산학보 31, pp.5-18.
  21. 조태진.김동중, 2012, "주택정책의 정책시차에 관한 실증 연구," 부동산학연구 18(1), pp.25-41.
  22. 최차순, 2012, "주택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MB정부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30(2), pp.25-40.
  23. Bourassa, S. C., Hamelink, F., Hoesli, M. and Macgregor, B. D., 1999, "Defining Housing Submarkets,"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8(2), pp.160-183. https://doi.org/10.1006/jhec.1999.0246
  24. Clapham, D., 2018, "Housing Theory, Housing Research and Housing Policy," Housing, Theory and Society 35(2), pp.163-177. https://doi.org/10.1080/14036096.2017.1366937
  25. Engle, R. F. and Granger, C. W.,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55(2) pp.251-276.
  26. Johansen, S. and Juselius, K., 199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with applications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2(2), pp.169-210. https://doi.org/10.1111/j.1468-0084.1990.mp52002003.x
  27. Malpass, P. and Murie, A., 1999, Housing Policy and Practice, Macmillan.
  28. Ume, E., 2018, "The impact of monetary policy on housing market activity: An assessment using sign restrictions," Economic Modelling 68, pp.23-31. https://doi.org/10.1016/j.econmod.2017.04.013
  29. Vargas-Silva, C., 2008, "Monetary policy and the US housing market: A VAR analysis imposing sign restrictions," Journal of Macroeconomics 30(3), pp.977-990. https://doi.org/10.1016/j.jmacro.2007.07.004

피인용 문헌

  1.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Impact of Living Social Overhead Capital on Housing Price by Residential type vol.25, pp.3, 2021, https://doi.org/10.1007/s12205-021-1250-z